1)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950년 - 한국의 시인 정지용"이라고 나와 있지만
내용으로 들어가면
2000년 남한을 방문한 정지용의 둘째 아들은 북조선에서의 아버지의 행적을 전혀 알지 못하였고,
2003년 문학평론가 박태상은 그가 납북되던 중
1950년 9월 25일 미군의 동두천 폭격에 휘말려 폭사하였다는 내용의 자료를 공개하였다
단, 박태상이 공개한 자료는 북조선 언론 자료에 기초한 것이어서 남한에서는 신빙성을 크게 인정받지 못하였고,
현재까지 정지용의 정확한 사망 일자나 원인에 대해서는 확실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A7%80%EC%9A%A9
2014-2-13
[KTV 인문학열전] 길 위의 인문학 "향수의 시인, 정지용"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251 해인사 팔만대장경 조판완료"라고 나와 있지만
대장경은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을 말하며, 불교경전의 총서를 가리킨다.
이 대장경은 고려 고종 24∼35년(1237∼1248)에 걸쳐 간행되었다.
<두산백과>
고종 24년(1237)부터 35년(1248년)까지 12년 동안 새겼음을 알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해인사 대장경판(팔만대장경)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대한민국 구석구석, 2013. 6., 한국관광공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10497&cid=42856&categoryId=42856
<다음백과>
1236년 몽골의 침입을 불력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호국불교적인 의미에서
당시 최우를 중심으로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251년에 완성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4h3703b002
2013-10-13
한국의 세계유산시리즈 - 해인사 장경판전
3)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776 정조, 규장각 설치"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위키백과>
정조가 즉위한 뒤 1776년(정조 1년) 음력 9월 25일에 창덕궁 금원의 북쪽에 규장각을 세우고,
제학·직제학·직각(直閣)·대교(待敎)·검서관(檢書官) 등의 관리를 두었다.
‘규장’(奎章)은 임금의 시문이나 글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때 규장각은 그 이름대로
역대 왕의 글과 책을 수집 보관하기 위한 왕실 도서관의 역할을 하였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7%9C%EC%9E%A5%EA%B0%81
(사진 - 정조 1년 음력 9월 25일자 - 조선왕조실록)
[대한민국 대표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NMK)] 외규장각 의궤
1683
작곡가 장필리프 라모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6643&cid=40942&categoryId=40449
Minuet in A Minor, Jean Philippe Rameau - 미뉴엣 A (하프시코드의 첫번째 책), 장 필리프 라모
1846
기상학자 블라디미르 쾨펜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0685&cid=40942&categoryId=33456
1897
작가 윌리엄 포크너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8461&cid=40942&categoryId=33488
2013-1-19
[온북TV] 소리와 분노 / 곰 https://youtu.be/6yOzsnHmdSk
1922
독립운동가 신규식 사망 - 위키백과(1880.1.13(음력)~1922.9.25)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A%B7%9C%EC%8B%9D
신규식 - 다음백과(1880.1.13(음력)~1922.9.25)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3s2545b
신규식 - 두산백과(1879.1.13~1922.9.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8716&cid=40942&categoryId=37154
(사진 - 독립운동가 신규식 - 네이버캐스트 1879.1.13~1922.9.25)
*.
음력 1879.1.13 -> 양력 1879.2.3
음력 1880.1.13 -> 양력 1880.2.22
1925
상해판 독립신문 폐간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4620&cid=41708&categoryId=41711
1947
지휘자 금난새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1112&cid=40942&categoryId=32994
2015.3.2 -
금난새의 해설이 있는 음악회중 "동물의 사육제 1곡"
1998
대한민국과 일본, 한일어업협정 개정 교섭 타결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9.25 한일 새 어업협정 타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92500289101001&officeId=00028
2002
건설교통부, 아산 신도시 107만평 택지지구 지정.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2-9-25
아산신도시 개발 본격추진
특수교육원.고속철건설공단 공공기관도 이전
1단계 107만평 택지개발지구 지정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4100020/2002/09/p004100020200209251123468.html
2011
여성환경 운동가 왕가리 마타이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8373&cid=40942&categoryId=34290
2013
소설가 최인호 사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9D%B8%ED%98%B8
한겨레신문 2010-1-11
[이사람] 아, 젊음이여…참말로 다시 일어나고파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98254.html
2014
영화 《변호인》의 소재가 되었던
부림사건에 연루된 피고인 5명이 재심서 무죄가 확정되었다.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14-2-13
‘변호인’ 33년 만에 승소…‘부림 사건’ 피해자들 ‘무죄’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23982.html
한겨레신문 2014-9.25
영화 변호인 소재 ‘부림사건’ 피해자 33년 만에 무죄 확정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56840.html
2013.11.27 -
[팩트TV] 이작가의 결정적 순간 27회-조세변호사가 맡은 운명적사건, 부림사건 1부
2013.12.4 -
[팩트TV] 이작가의 결정적 순간 27회-조세변호사가 맡은 운명적사건, 부림사건 2부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0.9.25 독립선언사건의 공소공판 한용운의 맹렬한 독립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0092500209203001&officeId=00020
2013.2.16 -
강신주의 철학적 시 읽기,27 한용운,행복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3.9.25 윤보선씨 발언으로 선거전에 새 양상
"국가 안보에 관한 문제로 보고 진상을 철저 규명" 위협적인 처사 민정당서 반박 진상 가려져야 한다 재야 삼당주장
허정 후보도 박의장 이념에 공개질문 -> "합헌정부를 전복하고 쿠테타를 감행한 그의 사상적 근거가 자유민주주의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3092500209201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1.9.25 세모 불법조선소 방치 추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1-09-25&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9.25 한석봉 친필본 추정 '유금강산기' 서첩 나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09-25&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7] 1938 만화가 고우영 출생 (0) | 2015.09.26 |
---|---|
[9.26] 1974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발족 2000 방송인 홍석천 커밍아웃 선언 (0) | 2015.09.26 |
[9.24] 1964 독립운동가 양우조(본명:양명진) 사망 (0) | 2015.09.24 |
[9.23] 1592 임진왜란: 제2차 금산 전투 발발 1927 종교인 변선환 출생 1974 민주수호 국민협의회(대표 함석헌, 김재준, 천관우) 유신 규탄 성명 (0) | 2015.09.23 |
[9.22] 1948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포 1949 반민특위 폐지법안 가결 1966 국회 오물투척 사건 (0) | 2015.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