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키백과와 다음백과에는
"1974년 - 대한민국의 NGO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 발족"이라고 나와 있지만
<다음백과>
9월 23일 원주교구 원동성당 세미나에 모인 300여 명의 사제들은 전국 규모의 사제단을 결성,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으로 명칭을 정하고 다음 날 출범을 발표했다.
사제단은 9월 26일 서울 명동성당에서 제1차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0c2257a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4.9.27일자(9.26) 천주교신도들 한때 가두시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4-09-27&officeId=00020&pageNo=1
<두산백과>에는...
약칭은 정의구현사제단이다.
1974년 7월 23일 지학순(池學淳) 주교가 '유신헌법 무효'라는 양심선언을 발표하고 체포되어 징역 15년형을 선고받은 뒤,
젊은 가톨릭 사제들이 중심이 되어 같은 해 9월 26일 강원도 원주에서 결성되었다.
결성 목적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정신에 따라 사제의 양심에 입각하여
교회 안에서는 복음화 운동을,사회에서는 민주화와 인간화를 위해 활동하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天主敎正義具現全國司祭團]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358&cid=40942&categoryId=34483
<천주교 정의구현 전국사제단> 사이트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초교구적 전국 사제들의 자발적 모임으로
1974년 9월 26일에 창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군부독재 때에는 전국사제 900명 중 500명의 사제들이 서명하여 동참하였고,
1987년 이후에는 각 교구의 사정에 따라 교구별 모임을 갖고 각 교구에서 파견한 대표사제 2-3인이
사제단의 운영위원회의를 구성하여 매월 셋째 주 월요일 정기회합을 갖고 있습니다.
http://sajedan.org/sjd/contents/?doc=sjd01_03
2014.5.13
kbs길 위의 신부들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https://youtu.be/8nBH5-3_B8w
오마이tv 2013-12-25
[인터뷰] 함세웅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고문 https://youtu.be/HCSLSV1PYdU
2)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241년 - 아이슬란드의 시인·역사가·정치자 스노리 스툴루손."이라고 나와 있지만
<두산백과> 1179~1241.9.2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6712&cid=40942&categoryId=33474
<다음백과> 1179~1241.9.22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3s0147a
두산/다음백과에는 다르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1592
임진왜란: 제2차 금산 전투 발발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8%88%EC%82%B0_%EC%A0%84%ED%88%AC
700의총 <다음백과>
1592년(선조 25) 8월 18일 조헌(趙憲)이 이끄는 의병과 승장 영규가 거느리고 있던 승병이 합군하여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의 왜군과 금산성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중과부적으로 모두 전사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1c0266a
*.1592년 음력 8월 18일(9월 23일)
1846
독일 베를린 천문대의 갈레와 다레스트가
영국의 애덤스와 프랑스의 르베리에가 예측한 위치에서 해왕성을 발견하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5%B4%EC%99%95%EC%84%B1
2014-9-4
명왕성 탐사선 '뉴 호라이즌스' 8년만에 해왕성 궤도 통과 [161회] / YTN 웨더
1868
의병장 이인영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5342&cid=40942&categoryId=34332
2015-4-24
[안동MBC뉴스] R)김희곤의 독립운동이야기(4)..신돌석(요약)
1870
소설가 프로스페르 메리메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2601&cid=40942&categoryId=33462
음악극 카르멘 티저영상 Music Theater Carmen Teaser 1
1901
시인/언론인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7825&cid=40942&categoryId=33476
1903
안창호, 샌프란시스코에서 정치단체 친목회 조직 - 위키백과
<두산백과>
190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 이대위, 박선겸, 김성무 등이
처음 조직할 때는 상호친목을 목적으로 상항친목회(桑港親睦會)라고 하였으나,
점차 샌프란시스코의 한국인 이민자 수가 늘고 본국 내의 일본침략이 심해지자
1905년 조직을 확대개편하여 단체목적을 항일 독립운동으로 하여 이름을 공립협회로 바꿨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립협회 [共立協會]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3247&cid=40942&categoryId=33384
2015-5-26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식민지 조국에 희망의 빛을 밝히다 도산 안창호
1910
시인 이상 출생(1910.8.20일(음력->양력 9.23일) ~ 1937.4.17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801&cid=40942&categoryId=33384
라디오 독서실 - 청소년 필독서 시리즈 9탄 : 이상 작가 / 지팡이 역사 (2013.10.27)
1913
일제,육해군형법(陸海軍刑法)을 조선에 시행하는 법률 공포 시행 - 위키백과
일제, 육해군 형법을 한국에 시행하는 법률 공포 시행.
[출전] 일제하민족언론사론(최민지) p.632
1919
임시정부 사료편찬위원회 한일관계사료집 4권 발행 - 타임라인 한국사앱
<다음백과>
박은식은 대원군 집권 이후부터 1911년까지의 한국근대사를 일제의 침략과정이라는 면에 초점을 맞추어
근대역사학적 방법론으로 분석·서술한 〈한국통사〉를 1915년에 간행했다.
그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한국통사〉의 뒤를 이어 한민족의 독립운동사를 본격적으로 저술하기로 결심하고,
그 준비로 같은 해 7월 상해임시정부에 설치된 임시사료편찬위원회에 참여하여 9월 〈한일관계사료집〉을 간행했다.
이 사료집에 수록된 자료들을 토대로 자신과 동지들이 체험한 독립운동의 경험을 덧붙여
다음해 상하이[上海] 유신사(維新社)에서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간행하기에 이르렀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4h2640a
1927
종교인 변선환 출생 - 위키백과
그는 "다른 종교인들, 다른 신앙도 존중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992년 감리교 교단 총회 끝에 감리교 교단으로부터 "출교 당하"였다.
당시 한국 기독교계의 종교재판에 회부된 변선환은 최후진술에서
"개종을 전제로 한 전도활동은 다른 종교를 정복의 대상으로 보는 종교적 제국주의적인 발상"이라고 비판하였다.
""기독교는 더 이상 정복자의 종교가 아니며 전체 인류의 구원을 위해 종교간 장벽을 허물어야 한다.
종교적 다원주의는 감리교의 세계적 추세"라고 역설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B3%80%EC%84%A0%ED%99%98
프레시안 2005-9-5
'종교다원론자 변선환', 사후 10년만에 사실상 복권되다
한국교회 근본주의에 맞서다 '출교'…5일 감신대에서 추모식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47271
변선환 박사 은퇴 송별사(음성만...)
1939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 사망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5&contents_id=1123
고전이용 시즌1-7회 - 꿈의 해석, 지그문트 프로이트
1974
민주수호 국민협의회(대표 함석헌, 김재준, 천관우) 유신 규탄 성명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4.9.24일자(9.23) 함석헌,천관우씨 연행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4-09-24&officeId=00020&pageNo=1
인물을 말하다_함석헌
천관우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2%9C%EA%B4%80%EC%9A%B0
1996
<두산백과>
극장판 도라에몽 - 노비타의 애완견 시공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97263&cid=55626&categoryId=55626
2013
대구 대명동 가스 폭발 사고 발생.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13-9-24일자
대구 주택가 가스 ‘펑’…경찰관 2명 사망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04351.html
2013
여주군, ‘여주시’로 23일 승격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13-9-22일자
여주군, ‘여주시’로 23일 승격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04037.html
2014
경상북도 김천시의 한 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10명이 부상당하였다.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14-9-23일자
김천 페인트공장서 폭발·화재…12명 부상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56417.html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6.9.23 또 늘어날 가계 주름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092300329204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7.9.23 정부 불양식품등 불매운동 법적보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92300329201003&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9.23 원전11-12기 안전성 논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9-09-23&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3.9.23 약국 내일부터 전면 휴업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3-09-23&officeId=00028&pageNo=1
의약분업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7a2738a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9.23 미국요구 대폭수용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09-23&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9.23 이명박의원 측근 2명 구속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9-23&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9.23 홍승우 비빔툰 '순수한 추석' 되세요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9-23&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5] 1922 독립운동가 신규식 사망 2014 부림사건에 연루된 피고인 5명이 재심서 무죄가 확정되었다 (0) | 2015.09.25 |
---|---|
[9.24] 1964 독립운동가 양우조(본명:양명진) 사망 (0) | 2015.09.24 |
[9.22] 1948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포 1949 반민특위 폐지법안 가결 1966 국회 오물투척 사건 (0) | 2015.09.22 |
[9.21] 1947 반공 청년단체인 대동청년단 결성. (단장 지청천/김구선생 지지) 1985 분단이후 처음 남북 이산가족 상봉 (0) | 2015.09.21 |
토정 이지함 선생처럼...... (0) | 2015.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