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419 조선 정종 사망"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1357.7.18~1419.10.15)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_%EC%A0%95%EC%A2%85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2권 1부, '태조,정종 실록' 정도전의 개혁과 왕자의 난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2권 2부, '태조,정종 실록' 정도전의 개혁과 왕자의 난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08 소설가 김정한 출생"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1908.10.20~1996.11.28) - 위키백과
3)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50 국군 서울 탈환"이라고 나와 있지만
서울 수복 전투(-收復戰鬪)는 한국전쟁의 전투 중 일부로,
1950년 9월 15일 실시된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 이후 9월 28일까지 서울 수복을 위해 치러진 전투이다.
서울 시가 전투는 26일에도 시내 전역에서 계속되었다.
9월 27일 새벽 국군 제17연대와 해병대 용사들은 중앙청으로 돌입하여 태극기를 게양했으며, 그 잔당을 소탕하고
9월 28일에는 적치하에서 신음하던 서울시민을 완전히 구출하였다.
반격이 개시된 지 2주일이 채 안 되는 9월 28일 정오, 감격의 수도탈환식이 국회의사당에서 거행되었다.
1849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 출생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5&contents_id=359
EBS [과학탐구]생명과학1-의식적인 반응과 무조건 반사의 차이는?
1881
조선, 신식무기 제조및 사용법 배우기 위해 청나라에 영선사 파견 - 위키백과
<두산백과>
유학생은 우선 무기 제조술을 배울 대상으로 공도(工徒)라 하였으며, 학생수는 청나라와 합의된대로 38명을 선발하였다.
그 밖의 관원과 수종(隨從)을 합하여 총 69명이 구성되었다. 영선사 일행은 1881년 9월 26일에 출발하여 11월 17일에
북경에 도착하였다. 김윤식은 보정부(保定府)에 있는 이홍장과 세 차례 협의를 하고, 다음해 초 학생들을 학습할 각 기기국에
배정하여 화약 및 탄약의 제조법·전기·화학·제도(지도제작법)·제련·기초기계학 및 외국어를 학습하였다.
신분에 따라 학생들을 구분하였는데, 중인 신분 학생들을 ‘학도’라 하였고, 이들은 주로 이론학을 학습하였고,
천민 신분 학생들은 공장(工匠)이라 하였으며, 이들은 주로 기계 기술을 학습하였다. 그러나 이들 학생들중 일부 학생들은
성적이 부진하기도 하였고, 그 위에 체재비 조달에 어려움이 겹쳤으며, 마침 국내에서 임오군란(1882)이 일어나 일부는
조기 귀국하게 되었다. 그 후 김윤식에 의해 남은 학생을 인솔하고, 국내에서 기기창을 설립하기 위해 약간의 무기를 구입하여
완전 귀국하였다(1882. 11).
[네이버 지식백과] 영선사 [領選使]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271&cid=40942&categoryId=31675
1889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 출생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5&contents_id=367
2012-3-29
[JBN기획영상] 존재의 이유 "하이데거"
국민tv
[02.13] 김수영과 풀, 그리고 하이데거
1898
재즈음악가 조지 거슈윈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0816&cid=42595&categoryId=42595
G. Gershwin - Rhapsody in Blue, FORTISSIMO FEST 2010
1921
부산 부두 노동자 5천여 명, 임금인상 요구하며 총파업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1.9.28일자 부산의 대파업 사건익 확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1092800209203001&officeId=00020
1945
작곡가/음악학자 버르토크 벨러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7495&cid=40942&categoryId=34384
Bela Bartok - Concerto For Orchestra (1943) (Full)
1946
일제강점기의 군인 홍사익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9%8D%EC%82%AC%EC%9D%B5
1960
미국에서 존 F. 케네디와 리처드 닉슨이 처음으로 대통령 후보 텔레비전 토론을 벌이다. - 위키백과
Kennedy-Nixon First Presidential Debate, 1960
On September 26, 1960, Senator John F. Kennedy and Vice President Richard Nixon stood before
an audience of 70 million Americans?two-thirds of the nation's adult population?in the first nationally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This first of four debates held before the end of October gave a vast
national audience the opportunity to see and compare the two candidates,
and ushered in a new age of Presidential politics.
1969
일간스포츠 창간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6512&cid=40942&categoryId=31755
1974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발족 - 타임라인 한국사앱
<두산백과>에는...
약칭은 정의구현사제단이다.
1974년 7월 23일 지학순(池學淳) 주교가 '유신헌법 무효'라는 양심선언을 발표하고
체포되어 징역 15년형을 선고받은 뒤, 젊은 가톨릭 사제들이 중심이 되어
같은 해 9월 26일 강원도 원주에서 결성되었다.
결성 목적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정신에 따라 사제의 양심에 입각하여
교회 안에서는 복음화 운동을,사회에서는 민주화와 인간화를 위해 활동하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天主敎正義具現全國司祭團]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358&cid=40942&categoryId=34483
<천주교 정의구현 전국사제단> 사이트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초교구적 전국 사제들의 자발적 모임으로
1974년 9월 26일에 창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군부독재 때에는 전국사제 900명 중 500명의 사제들이 서명하여 동참하였고,
1987년 이후에는 각 교구의 사정에 따라 교구별 모임을 갖고 각 교구에서 파견한 대표사제 2-3인이
사제단의 운영위원회의를 구성하여 매월 셋째 주 월요일 정기회합을 갖고 있습니다.
http://sajedan.org/sjd/contents/?doc=sjd01_03
2014.5.13
kbs길 위의 신부들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오마이tv 2013-12-25
[인터뷰] 함세웅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고문
2013-8-25
[경향신문]천주교 수도자 5038인 "쌍용차 사태, 약속은 목숨"
1984
영국과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반환 협정에 가조인.-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4.9.27일자 영-중공 홍콩 반환협정 가조인의 배경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92700209205001&officeId=00020
1993
우리별 2호 위성,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우주기지서 발사 성공.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3.9.27일자 '우리별 2호' 발사성공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3-09-27&officeId=00028&pageNo=1
2000
방송인 홍석천 커밍아웃 선언 - 위키백과
시사인live
2013-4-17일자
홍석천 커밍아웃 13년 비극에서 희극으로
http://media.daum.net/breakingnews/newsview?newsid=20130417021412517
2013.06.07(금) 이야기쇼 울림 21회 연예인 홍석천
2002
대구 달서구 와룡산에서 발생한 성서 초등학생 실종 사건의 다섯 명 유골이 11년 만에 발견 - 위키백과
(개구리소년)
한겨레21 2002-10-2일자
유골은 무엇을 증언하는가
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6246.html
그것이 알고싶다 E801 110514 살인 무기를 찾아라 개구리소년실종사건 ??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1.9.26 폭탄으로 관청을 파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1092600209203001&officeId=00020
독립운동가 김새협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2490&cid=40942&categoryId=33384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6.9.26 중재하는 조선인을 엽총으로 사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6092600209202016&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0.9.26 부정선거 원흉 결심공판 개정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0092600329203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3.9.26 박정희씨 등록취소청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30926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8.9.26 이영희 고문 집행유예 석방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9-09-26&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9.26 국민인권위 내년 설립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09-26&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8] 독립운동가(1914 김재호 출생, 1920 유관순 순국 1926 강윤국 출생) 1956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 (0) | 2015.10.01 |
---|---|
[9.27] 1938 만화가 고우영 출생 (0) | 2015.09.26 |
[9.25] 1922 독립운동가 신규식 사망 2014 부림사건에 연루된 피고인 5명이 재심서 무죄가 확정되었다 (0) | 2015.09.25 |
[9.24] 1964 독립운동가 양우조(본명:양명진) 사망 (0) | 2015.09.24 |
[9.23] 1592 임진왜란: 제2차 금산 전투 발발 1927 종교인 변선환 출생 1974 민주수호 국민협의회(대표 함석헌, 김재준, 천관우) 유신 규탄 성명 (0) | 2015.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