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시인 김광섭 출생"이라고 나와 있지만
<네이버지식백과> 1905. 9. 21~1977. 5. 23
미군정청 공보국장 자리에 앉아 있다가 정부수립 뒤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초대 공보비서관을 지냈다
김광섭 [金珖燮] - 채석장 포성이 메아리치는 “성북동산의 비둘기들” (나는 문학이다, 2009. 9. 9., 나무이야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5831&cid=41708&categoryId=41713
<두산백과> 1906.9.21 ~ 1977.5.23
[네이버 지식백과] 김광섭 [金珖燮]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2036&cid=40942&categoryId=33385
<한국현대문학대사전> 1905. 9. 22. ~ 1977년
[네이버 지식백과] 김광섭 [金珖燮]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3192&cid=41708&categoryId=41737
<위키백과> 1905. 9. 22~1977. 5. 23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A%B4%91%EC%84%AD
<다음백과> 1905. 9. 22~1977. 5. 23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3g1461b
1791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7437&cid=40942&categoryId=34352
2011.10.31
지식채널e - 최고의 실험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Michael Faraday)
1839
정약용의 조카 정하상 순교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D%95%98%EC%83%81
가톨릭성인이야기 - 정하상 바오로
1862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 '노예해방 예비선언’ 발표 - 위키백과
2011.11.15
지식채널e - 노예 해방을 이뤄낸 링컨 대통령의 또 다른 이면
1937
중화민국에서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에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다.- 위키백과
<두산백과>
1937년 3월 국민당은 대회를 열어 서안사건 이후의 정책 변화에 대한 문제를 논의했다.
이 대회 앞으로 공산당은 다음과 같은 3개 항목의 제안서를 보내왔다.
1. 내란을 중지하고 국력을 집중하여 외적에 대항할 것
2. 언론, 집회, 결사의 자유와 정치범을 석방할 것
3. 각당 각파의 대표자회의에 의한 공동구국의 실시
국민당은 이 제안을 받아들일 것인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였으나 결국 그 골격을 수용하기로 결정하였다.
1937년 9월 22일, 마침내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었다.
장개석은 오랫동안 뿌리 뽑으려고 노력했던 공산당과 다시 손을 잡을 수밖에 없었다.
이는 노구교 사건을 일으킨 일본의 침략이 더욱 노골화되고 있었고,
이에 공동 대처해야 한다는 공산당의 주장이 국민들로부터 명분을 얻었기 때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항일 통일전선의 성립 - 제2차 국공합작(1937년)
(중국사 다이제스트 100, 2012. 3. 23., 가람기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3051&cid=42976&categoryId=42976
5분사탐-세계사 - 21강 국공합작 _#001
1948
대한민국 친일파 단죄를 위한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포.-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48.9.23일자 '외세의 아부자'에 '단' 반족법 작일 공포 우여곡절 마침내 발효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8092300209201001&officeId=00020
반족법-> 반민족행위처벌법
작일 -> 어제(9.22)
단 斷, 끊을 단 - > 동강을 내다, 베다, 쪼개다
논의 끝에 9월 7일 찬성 103명, 반대 6명으로 '반민법'은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승만 정부는 '반민법' 시행을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정부가 제출한 양곡매입법안에 대해
국회에서 이 법안의 강제매입 조항을 자유매입으로 하는 등의 수정안을 마련한 상태여서
반민법을 거부할 경우 양곡매입법안 통과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1948년 9월 22일 반민법을 서명하고 법률 3호로 공포하였다.
<두산백과>
1948년 9월 22일 법률 제3호로 반민법이 공포되자
국회는 곧 반민특위 구성에 나서 10월 12일 그 구성을 완료하였다.
이어 11월 25일 국회 제113차 본회의에서는 반민특위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반민족행위특별조사기관 조직법안'
'반민족행위특별재판부 부속기관 조직법안'
'반민법 중 개정법률안'을 모두 통과시켰다.
[네이버 지식백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8677&cid=40942&categoryId=34709
1949
대한민국 국회,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약칭 반민특위) 폐지법안 가결.-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49.9.22 특위-특검-특재등을 해체
대검찰청-법원에 이관 이인의원등 반민법개정안 제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9092200329202001&officeId=00032
1949년 이승만은 6월 9일 AP통신사와 가진 기자회견에서 반민특위 습격은 자신이 직접 지시한 한 것이라고 밝히고
6월 11일에는 반민특위 활동으로 민심이 소요되어 부득이하게 특경대를 해산하였다는 담화문을 발표하며 국회의 요구를 거절하였다
1949년 6월 4일 친일 경찰 최운하가 체포되자 내무차관 장경근과 치안국장 이호는 특위에 최운하를 석방하지 않을 경우
실력행사를 하겠다는 위협하였다. 특위가 석방을 거부하자 이들은 내무차관 장경근, 치안국장 이호, 시경국장 김태선의 주도로
6월 6일 오전 7시에 중부서장 윤기병의 지휘 하에 반민특위 사무실을 습격하여 특경대장 오세윤 등 특경대원 35명을 폭행하고
중부서와 기타 경찰서로 분산 감금하였다.
<두산백과>
1949년 1월 5일 반민특위는 중앙청 205호실에 사무실을 차리고 8일 박흥식을 체포함으로써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그러자 이승만은 담화를 통하여 견제하기 시작했는데, 그 요지는 반민특위가 삼권분립의 원칙에 위반되며
안보상황이 위급한 때 경찰을 동요시켜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대법원장(반민특위특별재판부장) 김병로는 반민특위활동이 불법이 아니라는 담화를 발표하고
정부의 협조를 촉구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은 계속 비협조로 일관하더니 2월 24일 반민법을 유명무실하게 만드는
반민법 법률개정안을 제2회 39차 본회의에 상정하였다. 결과는 부결되었으며, 특위의 활동은 계속되었다.
그 기간 동안 특위의 활동성과는 총 취급건수 682건 중
기소 221건, 재판부의 판결건수 40건으로, 체형은 고작 14명에 그쳤다.
실제 사형집행은 1명도 없었으며, 체형을 받은 사람들도 곧바로 풀려났다.
[네이버 지식백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8677&cid=40942&categoryId=34709
<두산백과>
조작 여부로 논란 많은 국회프락치 사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29279&cid=55653&categoryId=55653
다듣사 - 36강 끝내지 못한 친일청산, 반민특위 01 https://youtu.be/Qz0AjniHyXk
다듣사 - 37강 반민특위 02, 김구를 암살하라 https://youtu.be/Z7QnPmdtkjg
이이제이 50회 국회 프락치 사건 특집 https://youtu.be/JIRK-cdpXSM
MBC 이제는말할수있다 032회 반민특위.승자와 패자 010525
1964
2014.10.7 [팩트TV] 김미화의 잭슨 노래 패러디 '넌 언론도 아니야!'
1965
1966
정기국회 때 국회의원 김두한이 사카린 밀수사건에 대한 항의로
정일권 국무총리 이하 국무위원들에게 오물을 투척한 이른바 국회 오물투척사건이 터짐.-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9.12.30 국회오물사건 - 고바우10년
<두산백과>
대정부 질의 두번째 날인 9월 22일 마지막 질의자로 단상에 오른 무소속의 김두한은 ‘행동으로 부정·불의를 규탄한다’고
소리치며 정일권(丁一權) 국무총리, 장기영(張基榮) 부총리 등이 앉아 있는 국무위원석에 비닐 봉지에 담아
미리 준비해 온 인분(人糞) 등의 오물을 던졌다. 이 사건으로 이 날의 회의가 중단되었음은 물론이고,
국회의 밀수사건에 대한 추궁 자체를 더 이상 진행할 수 없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회오물투척사건 [國會汚物投擲事件]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9651&cid=40942&categoryId=31778
첫번째는 박정희 정부가 내걸은 국정 구호가 구악 일소, 즉, 부패척결이었는데
이번 사카린 사건으로 정권의 모순이 드러났다는 점이었고
또, 두번째는 당시 삼성家에서 중앙일보를 세우고 언론계에 진출할 시기와 맞물렸다는점.
그렇기에 사카린 사건에 대한 경쟁사 언론들의 공격이 따가웠던 것이다
2013.11.13
[팩트TV] 이작가의 결정적 순간 24회-삼성의 사카린 밀수 사건
1971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문점에 남북직통전화 개설. - 위키백과
<남북회담본부>
남북 적십자 회담 연락사무소
1971. 9. 20 남북적십자회담 제1차 예비회담 합의
1971. 9. 22 판문점에 설치
회담연락사무소간 직통전화 2회선 개통 (※ 남북간 최초의 직통전화임)
http://dialogue.unikorea.go.kr/home/panmunjeom/org_talk_contacts
1975
민방위대 창설 - 위키백과
1975년 7월 25일에 제정된 민방위기본법에 의해 같은 해 9월 22일에 발족했다
민방위 기본법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5802&cid=40942&categoryId=31703
1977
소비자보호기본법 제정.-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7.9.23 소비자 보호법 제정키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92300209201005&officeId=00020
1982
전자시보(전자신문) 창간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9E%90%EC%8B%A0%EB%AC%B8
국민tv
[리포트] 전자신문, 사실상 항복 선언…삼성, 3억 대 민사소송 취하(2014.09.30)
1983
2008
여주 가스 폭발 사고가 일어났다.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8-9-23일자
여주상가 가스폭발…1명 사망, 21명 부상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11780.html
2011
성문종합영어 송성문 사망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25455&cid=55772&categoryId=55836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0.9.22 선거원흉처리등 "특별법"제정에 장면총리 난색표명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0092200209101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4.9.22 인혁당 사건에 "정치적인 모종 작용"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922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6.9.22 재벌밀수 규탄 신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60922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2.9.22 하루 11시간에 월 11,000원 전국근노여성의 현황(남자임금의 절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2092200209202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3.9.22 김대중씨 사건 대정부 질문 개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092200209201004&officeId=00020
김대중 납치사건 - 한국근현대사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0423&cid=42958&categoryId=42958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2000.7.16.] KT 공작의 실체, 김대중 납치 사건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8.9.22 전두환씨등 13명 증인채택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8-09-22&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9.22 대만 강진 1600명이상 숨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9-22&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4] 1964 독립운동가 양우조(본명:양명진) 사망 (0) | 2015.09.24 |
---|---|
[9.23] 1592 임진왜란: 제2차 금산 전투 발발 1927 종교인 변선환 출생 1974 민주수호 국민협의회(대표 함석헌, 김재준, 천관우) 유신 규탄 성명 (0) | 2015.09.23 |
[9.21] 1947 반공 청년단체인 대동청년단 결성. (단장 지청천/김구선생 지지) 1985 분단이후 처음 남북 이산가족 상봉 (0) | 2015.09.21 |
토정 이지함 선생처럼...... (0) | 2015.09.21 |
[9.20] 1875 운요호 사건 1909 의병장 이인영 사망 1967 독립운동가 김학규 사망 (0) | 2015.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