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3.22] 1987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알려지다

by 딧플 2016. 3. 22.


(사진 - 3월 22일 - 위키백과)





1)


위키백과에는 

"1995년 러시아의 우주비행사 발레리 폴랴코프가 

미르 우주 정거장에서 437일의 우주 체류 기록을 세우고 귀환하다"이라고 나와 있지만

(사진 - 우주정거장 - 학생/두산백과)


(사진 - 미르호 - 다음백과)


두산백과/다음백과에는 연도가 다르네요. 



2)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913년 - 대한민국의 음악인 김동진."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위키백과>

1939년에 만주의 신경교향악단에 입단하여 제1바이올린 연주자 겸 작곡가로 활동했다. 

이때 만주작곡가협회에 가입하고 만주국 건국을 찬양하는 음악을 작곡하는 등 

일본 제국의 만주 정책에 협조한 행적이 있다. 이 때문에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음악 부문에 선정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8F%99%EC%A7%84_(1913%EB%85%84)

(사진 -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3)


위키백과에는

"1895년 - 프랑스의 뤼미에르 형제가 파리에서 처음으로 영화를 상영하다."라고 나와 있지만

내용으로 들어가면


<위키백과>

1895년 2월 13일에 시네마토그래프에 대하여 특허를 받았으며, 

이를 이용해서 처음으로 찍은 것은 그해 3월 19일로 기록되어 있다.

1895년 12월 28일, 프랑스의 한 카페에서 뤼미에르 형제는 자신들이 만든 작품을 

영화사인 고몽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보여 준다

이때 상영된 세계 최초의 영화는 《열차의 도착》 이라는 50초의 짧은 내용의 작품이였다.

이 영화는 아무런 스토리도 없이 단순히 열차가 도착하는 장면만 보여주는 것에 불과했지만 

19세기 후반의 사람들에게는 충격 그 자체였다. 그래서 이를 본 카페의 사람들은 모두 경악했고, 

스크린에서 열차가 올 때, 진짜로 들어오는 것으로 착각하여 '으악' 비명을 지르며 달아났다고 한다.



4)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917년 - 대한제국의 황족 영선군 이준용."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사진 - 이준용 친일행적논란 - 위키백과)


(사진 -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경향신문 2009-10-5

[200자 뉴스]“친일파 결정 피해” 대원군 후손 헌소 각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0051810125&code=940301



5)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889 화폐남발로 물가폭등, 주전소 폐지(링크없슴)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사진 - 1889년 음력 3월 22일자 -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1687

작곡가 장바티스트 륄리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9189&cid=40942&categoryId=34383


1832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사망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5&contents_id=2500


1897

경인선 기공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2%BD%EC%9D%B8%EC%84%A0


1913 

쑹자오런 사망(3.20 저격당함->3.22 사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1%B9%EC%9E%90%EC%98%A4%EB%9F%B0




1965

단일변동환율제 실시(링크없슴)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5.3.23일자 단일변동환율 275원에 첫 거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5032300209202004&officeId=00020









1987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8%95%EC%A0%9C%EB%B3%B5%EC%A7%80%EC%9B%90

(사진 - 형제복지원 사건 - 다음백과)



뉴스타파M_1회_ 최후변론_형제복지원_20130306 

https://youtu.be/ZXybG5kjWRo


[부산KBS] 2014.5.15 - 시선360 '부산형제복지원, 살아남은 그들의 외침' 다시보기 

https://youtu.be/JEjpCXPkgTU


gobalnews 2014.4.9 - '살아남은 아이' - 형제복지원을 말하다 

https://youtu.be/cf6rlOLPc6Q


jtbc뉴스룸 2014.12.4 - '수사 중단 압박 받아'…형제복지원 비공개문서 첫 공개

https://youtu.be/K3p3yCxNNb0


2014.03. 11. 

'87년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진상규명과 피해생존자, 실종자, 유가족 생활지원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라

'민주당 진선미 의원 

https://youtu.be/i-PMZTLceZY


시사통 김종배입니다 - 2014.9.3 - [09/03pm]인권통-국가의 범죄, 형제복지원 

https://youtu.be/aB303tRA01k


[이털남3-14회] 2014.3.27 - 취중진담 '누나는 성폭행, 아버지는... '살아남은 아이'의 충격증언'

https://youtu.be/PncoMlsM5PI


[변상욱의 기자수첩]형제복지원 - 국가가 국민을 짐승으로 만들었다(20131014) 

https://youtu.be/KdXx_h9IP9k


[김현정의 뉴스쇼] 형제복지원 피해자 "9살 아이에 물고문..지옥이었다"(20140325)

https://youtu.be/n6hTC2LdKlY


2014.3.22 - cbs 주말 시사자키 윤지나 입니다 - 500여명 죽은 형제복지원 사건, 사망자 추가확인

https://youtu.be/7NqvNHnomRw


[11.08 김일송의 떨림] 형제복지원 사건을 기억하십니까? 

https://youtu.be/ICTXUQgguGQ









2015

인천 강화도의 캠핑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 당하는 참사가 발생하였다.-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15-3-22

[속보] 강화도 캠핑장 화재…일가족 3명 등 5명 사망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83341.html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8.3.22 신민부 본부습격 김혁등 체포경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8032200209202001&officeId=00020


독립운동가 김혁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977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57.3.22 장면부통령 저격사건 관련 - 이덕신,최훈,김상붕에 사형언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7032200209203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7.3.22 카터-후쿠다 1차회담; 남북대화조속재개를 희망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32200209201004&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8.3.22 부정축재 횡령여부 초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32200329201003&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3.22 노동탄압 한국서 하던 버릇 언제까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32200289105001&officeId=000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