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809년 - 러시아의 작가 고골."이라고 나오지만
<두산백과>
1809.3.31 ~ 1852.3.4
러시아의 소설가·극작가. 러시아 자연파의 중심적인 작가이며, 러시아 사실주의 문학의 창시자이다.
그의 작법은 주로 문학적 데포르마시옹(deformation)의 초현실적이고 그로테스크한 긴장과 함께
비상한 사실주의를 느끼게 한다. 대표작으로는 《넵스키 거리》(1835), 《광인일기》(1835)
《코 Nos》(1836), 《외투》(1842), 《죽은 혼》제1부(1841)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 [Nikolai Vasil'evich Gogol]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1162&cid=40942&categoryId=34409
이현우, 고골의 작품, 『검찰관』의 줄거리 - 아트앤스터디
1735
화학자 토르베른 베리만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1341&cid=40942&categoryId=33475
1770
시인 횔덜린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5997&cid=40942&categoryId=33455
1815
나폴레옹 100일 천하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9b0889a
1828
극작가 헨리크 입센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7101&cid=40942&categoryId=40467
고전읽기 - 헨릭 입센의 페르귄트 1편 (2013.08.26)
1902
민간 최초로 한성~인천간 전화가설 - 타임라인 한국사앱
1902년 3월 서울∼인천 사이의 전화가 가설되었고, 같은 해 6월 시내교환전화가 가설되었다.
1903년 부산에도 전화가 가설되었다. 당시의 전화기는 에릭슨사(社)에서 제작한 자석식 단식교환기와
벽괘형(壁掛型) 전화기였다. 1905년 한국 통신권이 일본에 의해 강탈당함에 따라 한국의 전화사업도
일본의 손에 넘어가, 8·15광복 때까지 40년간 일본인에 의하여 운영되었다.
당시의 시설은 각종 단식 교환기 40석, 벽괘형 교환기 8석, 시외교환기 6석이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의 전화사업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8485&cid=40942&categoryId=31897
1923
방정환, 월간잡지 "어린이"창간 - 두산백과/한국잡지백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80710&cid=42192&categoryId=51063
방정환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5302
역사채널e - 소파 방정환
1938
1946
미소공동위원회 1차 회담 개최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8m1636a
*.
미소공동위원회는
1946.1.16 예비회담.
1946.3.20 서울 덕수궁에서 제 1차 회담
1947.5.21 제 2차 회담
1947.10 한국문제 UN으로 이관,
(도덕수업용)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김구 방북, 남한 단독정부 수립 _한국전쟁 1편 분단
5분사탐-한국근현대사 - 16강 광복과 분단
1956
ebs 박인환 세월이가면, 노래가 된 시 명동백작 中
1957
김창룡 사건 관련 강문봉 중장에 사형구형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57.3.20 강문봉 중장에 사형구형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7032000329203001&officeId=00032
<강문봉 - 위키백과>
4·19 혁명 성공으로 풀려난 뒤에 국회의원과 외교관을 지냈다.
최경록, 강문봉, 전규홍, 이철승, 양일동 및 전 주미 대사관 참사관 부인들은
1963년 3월 21일, 미국 대통령 관저 앞에서
"군대는 정치에 간섭하지 말라", "박정희군사독재타도",
"한국인은 군부정치를 원치 않는다", "한국인은 진정한 민주주의를 지지한다" 등의
플래카드를 들고 박정희의 군정연장제안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1963년 ~ 1967년까지 제6대 국회의원 (민정당)을 지냈고,
1967년 9월 16일, 주스웨덴 대사에 임명되었다.
주 덴마크·노르웨이·아이슬란드·스위스 및 교황청 대사도 지냈다.
1973년 ~ 1979년 : 제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을에 지명되었다.
제20차 유엔 총회 대한민국 대표도 지냈다. 기타, 민정당 당무위원이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B%AC%B8%EB%B4%89
<위키백과>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군 부사관으로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여순 사건의 진압과 한국 전쟁에 참여하였다.
이승만의 총애를 받던 대한민국 육군 특무부대 지휘관이자 정치군인이었으며,
여순 사건과 관련해서 체포된 박정희(朴正熙, 후에 5~9대 대통령을 역임) 소령을 수사하기도 했다.
함경남도 영흥 출생이며, 현재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군 부문에 포함이 되어있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선정한 친일파 708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도 포함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B0%BD%EB%A3%A1
백년전쟁 : 일본군 헌병보조원에서 대한민국 특무대장으로 변신한 김창룡 1
백년전쟁 : 일본군 헌병보조원에서 대한민국 특무대장으로 변신한 김창룡 2
이이제이 35회 친일파 김창용 특집
1970
독립운동가 이규갑 사망 - 위키백과(1887.11.5 ~ 1970.3.20)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A%B7%9C%EA%B0%91
이규갑 - 두산백과(1888.11.5 ~ 1970.3.2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5521&cid=40942&categoryId=33385
(사진 - 독립운동가 이규갑 - 다음백과 1888.11.5 ~ 1970.3.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0.3.21일자 항일투사 이규갑옹 별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0-03-21&officeId=00020&pageNo=1
1995
옴진리교 신자들이 도쿄 지하철에 사린 가스를 살포하다. - 위키백과
2003
[프레지PT] 미국의 이라크 침공이 만든 'IS'…국가급으로 세력 확장(2014.09.10)
미국 전쟁범죄의 진실을 알린 청년, 브래들리 매닝(Bradley Manning)
나눔문화 - 매닝을 아시나요?
http://www.nanum.com/site/sign_manning
2006
서울대, 황우석 교수 파면 - 타임라인 한국사앱
2005.11.22 PD수첩의 황우석 사건 보도 - 위키백과
jtbc뉴스룸 2014-10-27
[탐사플러스] '황우석 제보' 류영준 교수 "검증 안 된 줄기세포를 아이에…"
한겨레신문 2006-3-21일자
서울대, 황우석 교수 파면 의미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109982.html
한겨레신문 2015-12-23일자
‘줄기세포 논문조작’ 황우석 서울대 전 교수 파면 확정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23155.html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1.3.20 구국단원 대검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1032000209203001&officeId=00020
태서문예신보(독립운동가 장두철 창간)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7352&cid=41708&categoryId=41737
독립운동가 정인호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4019&cid=40942&categoryId=34299
독립운동가 전우진 - 다음/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6520&cid=46623&categoryId=46623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32.3.20 소년부원 오십여명 제 2차 유치장 습격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2032000209202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48.3.20 장씨(친일파 장덕수 암살)사건 군재판 속개, 살해 후회 않는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8032000329202006&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0.3.20 시청앞에서의 발포명령만은 '내가 한것으로 된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0032000209103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1.3.20 석봉 한호 천자문 초간본 발견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1.3.20 사찰규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1-03-20&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7.3.20 오늘 춘분... 논갈이 한창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7-03-20&officeId=00028&pageNo=1
(사진 - 2016.3.20 춘분 - 국민달력)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매일경제 1999.3.20 재계 '고용안정 협약 못한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32000099101001&officeId=00009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2] 1987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알려지다 (0) | 2016.03.22 |
---|---|
[3.21] 국제 인종차별 철폐의 날 (0) | 2016.03.21 |
[3.19] 1876 독립운동가 여순근 출생 (0) | 2016.03.19 |
[3.18] 1963 최영오 일병 사형집행(1962.7.8 사건) (0) | 2016.03.18 |
[3.17] 1970 정인숙 피살사건 (0) | 2016.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