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597 정유재란"이라고 나와 있지만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연말까지 지속된 전쟁이다.
KBS 역사 교육 프로젝트 ‘설민석의 십장생한국사’ 제9편
피로 쓴 교훈 임진왜란, 선조는 왜 조선을 버렸나?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09 나철, 대종교 창시(음력)"이라고만 나와 있는데
<원불교대사전>
나철(弘巖羅喆)이 1909년에 창립한 한국신종교. - 중략 -
종통을 이어받은 김교헌은 군관학교를 설립하여 항일투사를 양성하는 한편
1918년에는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를 작성 발표했고, 중광단(重光團)을 조직하여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로 발전시킴으로써 청년들로 독립군을 편성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니
일제는 만주에까지 대종교 포교금지령을 내렸다.
1920년 서일(徐一)은 북로군정서의 총재가 되어 김좌진(金佐鎭)ㆍ이범석(李範奭) 등을 지휘,
청산리전투(靑山里戰鬪)에서 일본군 1개 연대를 완전 섬멸시키는 전과를 거두기도 했다.
1921년에는 일본군이 대종교를 토벌하여 10만여명이 일제에 의해 살해당했고,
1923년에는 김교헌도 순교했다. 3세교주가 된 윤세복(檀崖尹世復)은 일제의 탄압을 피해
총본사를 만주의 여러 곳으로 옮겨 다니며 포교활동과 독립운동을 하나로 보고
흥업단(興業團)이란 지하조직으로 항일투쟁에 전력했으며 상해임시정부 수립에도
대종교인들이 주축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대종학원을 설립하고 많은 교서를 간행하는 등
교세확장에 힘썼으나 1942년 그와 20여명의 교단 간부가 일제에 검거되어 김교헌은 무기징역형을 받았고,
이중 10여명이 고문으로 사망하거나 옥사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종교 [大倧敎]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1069&cid=50765&categoryId=50778
민족 종교인 대종교를 창시한 나철 (1863년 - 1916년)
3)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905년 - 대한민국의 교육자 송금선."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에 포함되었고,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도 선정되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4)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15 조선국권회복단 결성"이라고 나와 있는데
<21세기 정치학 대사전>
조선국권회복단이 언제부터 태동되었는가는 알 수 없으나
1915년 2월 28일 대구 안일암에서 대회를 열고 조직이 결성되어 이를 안일암사건이라고 한다.
이 조직은 의병계통의 박상진과 천도교 계통의 홍주일, 은행원, 변호사, 선비 등
당시의 각계 지도적 인물이 다 망라되어 있으며 주로 대구경북지역의 인사이지만
충남, 전라도 출신자들도 참가하였다. 이 조직원들은 활동자금 마련을 위해
단원마다 일정금액을 내어 활동하였고 단원들이 국내외에 보낼 독립진정서를 입안하였으며
이것은 후일 파리장서의 바탕이 되었다.
완성된 독립진정서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조선 국권회복단 중앙총부의 이름으로 상해로 보냈으며
단원들은 자금을 모집하고 민중을 깨우치기 위해 국민들을 계몽하기를
"상해에는 우리의 임시정부가 있고
만주의 소항령에는 노백린 장군이 3만 명의 독립군을 훈련시키고 있다"고 했다.
조선국권회복단의 단원인 변상태는 서울의 3ㆍ1의거에 이시영과 함께 참가한 후 이시영은 중국으로 떠나고
변상태 는 고향으로 돌아와 1919년 3월 28일 창원군 진전면 오유리 장터 시위를 주도하고,
3ㆍ1의거의 4대 격렬시위로 꼽히는 4월 3일 삼진(의창군의 진전, 진북, 진동의 3개면을 말함)
대시위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조선국권회복단은 부산의 안희제가 경영하는 백산상회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이와 같은 위장상회로 대구에서인 서상일이 경영하는 태궁상회가 있어 활동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국권회복단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29442&cid=42140&categoryId=42140
2015-8-15
[BTN뉴스]항일결사 '조선국권회복단' 본거지 안일사를 아십니까
961
EBS(사회탐구)한국사-고려 광종과 성종의 정책은?
1622
1850
1919
독일의 사회주의 혁명가 로자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가 암살됨 - 위키백과
독일방송zdf - 로자 룩셈부르크 (역사다큐 한글자막)
1929
I have a dream 마틴루터킹 연설https://youtu.be/8TbLOX7Gi0A
1937
1975년 4월 8일 대법원에서 사형 확정.(대통령긴급조치 위반, 국가보안법 위반, 내란 예비음모, 반공법 위반)
1975년 4월 9일 사형집행(당시 39세), 경남 의령군 신반리에 안장.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5.4.8 인혁당 8명 사형 확정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040800329201012&officeId=00032
1957
독립운동가 지청천(이청천) 사망 - 위키백과(1888.2.15 ~ 1957.1.15)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C%B2%AD%EC%B2%9C
지청천 - 다음백과(1888.1.15 고종25 ~ 1957)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0j0820a
지청천 - 두산백과(1888.2.15 ~ 1957.1.1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4476&cid=40942&categoryId=33384
(사진 - 독립운동가 지청천 네이버캐스트 1888.2.15 ~ 1957.1.15)
민족문제연구소 - 독립운동가들이 꿈꾼 나라
1974
비상보통군법회의 검찰부,
긴급조치 1호 위반혐의로 장준하-백기완씨 구속 발표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4.1.16일자 장준하-백기완씨 구속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4-01-16&officeId=00032&pageNo=1
2013.1.23
NocutView - 유신반대' 故 장준하 선생, 재심서 39년만에 무죄
1987
대한민국, 박종철 사망 발표.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7.1.16일자 대학생 경찰조사받다 사망 민민투관련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7-01-16&officeId=00020&pageNo=1
시사통 김종배입니다 2015 -
[03/25am] 박종철 형 "박상옥은 5공 모범검사인데..."
1987
김만철 일가 11명 북한탈출 - 타임라인 한국사앱
경향신문 2011-1-14
[어제의 오늘]1987년 김만철씨 일가 탈북·‘제27 동진호’ 납북
1987년 1월15일 새벽 1시. 북한 함경북도 청진시의 바닷가에선
북한군의 삼엄한 경비망을 피해 배에 오르는 11명의 민간인이 있었다.
68세 노인부터 11세 어린이까지, 김만철씨 일가의 탈북은 그렇게 시작됐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1142138155
1991
국사학자/언론인 천관우씨 사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2%9C%EA%B4%80%EC%9A%B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91.1.16일자 타계한 천관우씨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1-01-16&officeId=00020&pageNo=1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1974)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47&contents_id=8992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4.1.15 윤보선씨 징계동의 가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115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8.1.15 마유미는 북한 외교관 딸, 김현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11500209201003&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1.15 광주특위, 본격 현장조사 나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9-01-15&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2.1.15 정신대등 태평양전쟁 희생자 일본 정부에 보상청구 가능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2-01-15&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6.1.15 발포 두시간전 "자위권 발동"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1-15&officeId=00032&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1.15 무궁화 2호 위성 발사성공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1-15&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1.15 코트 떠나는 농구황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1-15&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7] 1948 시인 고정희 출생 1974 독립운동가 박열 사망 (0) | 2016.01.17 |
---|---|
[1.16] 1929 독립운동가 편강렬 사망 1944 독립운동가 이육사 사망 (0) | 2016.01.16 |
[1.14] 1987 박종철 고문 치사 2010 이태석 신부 사망 (0) | 2016.01.14 |
[1.13] 1937 독립운동가 유여대 사망 1958 조봉암 자진 출두 1964 초대 대법원장 김병로 사망 (0) | 2016.01.13 |
[1.12] 1923 독립운동가/의열단 김상옥이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다 (0) | 2016.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