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1.13] 1937 독립운동가 유여대 사망 1958 조봉암 자진 출두 1964 초대 대법원장 김병로 사망

by 딧플 2016. 1. 13.


(사진 - 1월 13일 - 위키백과)





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771 성덕대왕 신종 완성"이라고 나와 있지만

날짜는? (& 1895년 이전까지 음력이 기본)


<위키백과>

성덕대왕신종에 '에밀레 종'이라는 별명이 붙은 시기는 일제 강점기이다. 

일제 강점기 이전의 어떠한 문헌에서도 성덕대왕신종을 에밀레종이라고 한 자료는 없다

따라서 계획적이고 의도를 알 수 있는 단서는 

1925년 8월 5일자 조선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창작문예란에 렴근수라는 무명인의 이름으로 《어밀네 종》 동화가 올라있다

얼마 후 친일 극작가 함세득이 많은 살을 붙인 희곡을 써서 현대극장에 올린다. 

성덕대왕신종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단순한 동화처럼 씌었던 

렴근수의 단편 동화 《어밀네 종》은 에밀레 종 이야기가 최초로 나타난 자료이며,

‘어밀네’를 처음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사진 - 성덕대왕 신종/선교사 헐버트의 글 - 위키백과)


2015.6.9 아리랑tv - 성덕대왕신종 https://youtu.be/bn-wRQqTGYI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62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발표"라고만 나와 있는데


<네이버지식백과>

1958년 3월에 종합경제계획의 조정 · 심의기구로서 설립한 산업개발위원회가 

1959년 12월 31일에 중소기업과 농업진흥을 포함한 ‘경제개발 3개년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이후 이 계획은 

1960년 4월 15일 국무회의에서 채택되었죠.

장면 정권은 1960년 7 · 29 총선으로 출범한 지 8개월 만에 쿠데타로 무너졌기 때문에, 

그들이 실행에 옮긴 경제개발계획을 평가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5 · 16 군사정권 역시 장면 정부의 경제개발계획을 계승하여 시행했다는 점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승만-장면 정부의 경제개발계획과 그 배경 

(문답으로 읽는 20세기 한국경제사, 2010. 11. 29., 역사비평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08895&cid=55625&categoryId=55625


<위키백과>

장면내각 당시 Caharles Jr Wolf박사가 The Oregon Advisory Group in korea (1961)를 통해 

도움을 주었고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여 만들어진 5개년계획은 5.16 이후 부흥부의 새 명칭인 

건설부의 이름아래 시안으로서 발표되는데 이는 장면내각 부흥부 산하 산업개발위원회에서 

만들어왔던 것이기 때문에 장면내각의 정책적 방향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3)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2002년 - 대한민국의 군인 이형근"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사진 -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4)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879 독립운동가 신규식 출생"이라고 나와있지만 

음력 1879.1.13 일입니다.


<위키백과>

신규식(申圭植, 1880년 음력 1월 13일 ~ 1922년 양력 9월 25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용우(龍雨)의 아들이며 아호는 예관. 다른 이름은 신성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A%B7%9C%EC%8B%9D



5)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911년 - 대한제국의 정치인 이범진"이라고 나와 있지만 


<네이버캐스트> 헤이그 특사 이위종 열사의 부친

이범진(李範晉, 1852.9.3∼1911.1.26, 러시아력으론 ~1911.1.13) 선생은 

대한제국 시기 정치가, 외교관이자 애국지사였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무관으로 이름났던 이경하(李景夏, 1811~1891)의 아들로 1852년 음력 9월 3일 태어났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5983


이범진 주러시아특명전권공사 순국 제 100주기 추모영상

https://youtu.be/AGZ5-6Dq4Uk














1338

포은 정몽주 출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AA%BD%EC%A3%BC


<위키백과>

태종은 정도전, 남은을 제거한 후 정도전 등을 격하시키기 위해 조선건국에 반대하고 

피살당한 그를 의도적으로 충절의 상징으로 격상시켰으며, 이는 사림파가 집권한 후에도 

그의 문하생이라서 그에 대한 현창과 성인화가 계속되었다. 그 뒤 1990년대에 와서 

성인화된 것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나타나고 있다


(사진 - 하여가/단심가 - 위키백과)



우리는 누구인가 제05강 정몽주와 정도전 https://youtu.be/-9E0qCzb2ww




1593

독성산성 전투 발발.- 위키백과




1864

작곡가 스티븐 포스터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8374&cid=40942&categoryId=34380


포스터 민요 모음

https://youtu.be/-unS-6Czdfg




1898

에밀 졸라가 로로르지에 나는 고발한다를 발표하다.- 위키백과


(사진- 나는 고발한다/에밀 졸라 - 위키백과)



<위키백과>

여러 지식인과 신문사 르 피가로 등이 드레퓌스의 무죄와 에스테라지 범인설을 주장했지만 

반유대주의에 휩싸인 가톨릭 세력과 보수 언론들은 '드레퓌스는 죽어라'는 등의 폭언을 일삼았다.

프랑스의 모든 사회가 반유대주의 사상에 물들어 흘러갈 때 졸라는 이 편지를 통해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하고 드레퓌스에게 죄를 뒤집어 쒸운 군부 세력을 비판했다. 이후 아나톨 프랑스,에밀 뒤르켐, 

마르셀 프루스트, 클로드 모네 등 예술가 과학자 교수들이 드레퓌스 사건 재심 청원서에 서명했다. 

드레퓌스 재심 운동이 불붙었다.


하지만 졸라는 이 글을 쓴 이후 명예훼손 혐으로 기소되어 1898년 2월 23일 유죄 판결을 받고 

영국으로 망명하였으며, 1899년 6월에야 돌아올 수 있었다. 그 후 지식인들의 끈질긴 요구에 의해 

드레퓌스는 1904년에 재심이 청구되었고 1906년에 무죄가 선고되어 모든 혐의를 벗고, 복권도 되어 

육군에 복직했다.


balnews 2014-3-26

국정원 간첩 증거조작... '드레퓌스' 사건과 닮은꼴

https://youtu.be/aOn5NNqvpsw








1937

독립운동가 유여대 사망 - 위키백과(1878.11.26 ~ 1937.1.13)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97%AC%EB%8C%80


<위키백과>

1898년 선교사를 통해 개신교에 입교했다. 당시의 많은 기독교인들이 그랬듯이 

교육을 통한 계몽 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의주에 일신학교(日新學校)와 여학교인 

양실학원(養實學院)을 세워 교육 사업에 종사했다. 

1915년에는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19년 2월에 선천의 양전백 집에서 이승훈을 만나 다음 달에 있을 3·1 운동에 

민족대표 33인으로 참가하기로 했다. 그는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할 수 있도록 

도장을 이명룡에게 맡기고 당일 경성부에서 열린 낭독 모임에는 참가하지 않았으며, 

양실학교를 중심으로 의주 지역의 만세 운동을 조직했다. 

정명채, 김두칠 등 의주의 기독교인들과 미리 뜻을 나누고 독립선언서를 등사한 뒤, 

탑골공원에서의 거사와 비슷한 시각에 군중을 모아 선언서를 낭독했다가 

곧바로 피검되어 징역 2년형을 선고 받고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97%AC%EB%8C%80


유여대 - 두산백과(1878.11.26 ~ 1937.1.1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2634&cid=40942&categoryId=33384


유여대 - 다음백과(1878, 고종 15 ~ 1937)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7a1596a








1958

진보당의 조봉암이 간첩 혐의로 구속됨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B%B4%89%EC%95%94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58.1.14일자 진보당 간부 칠명 구속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011400209103001&officeId=00020


독립운동가 조봉암 - 두산백과(1898 ~ 1959)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1728&cid=40942&categoryId=33385


조봉암 - 다음백과(1898.9.25 ~ 1959.7.31)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9j2296a


한겨레신문 2011-1-21

[왜냐면] 조봉암 선생의 무죄판결을 환영하며

http://www.hani.co.kr/arti/opinion/because/460007.html


이이제이 59회 조봉암 특집 1부 https://youtu.be/8hAviAx4VKA

이이제이 61회 조봉암 특집 2부 https://youtu.be/SBOtTdJy7pE


mbc이제는 말할 수 있다 003회 조봉암과 진보당 사건(1999.10.03). 

https://youtu.be/4G6DgMXqvgE








1964 

초대 대법원장 김병로 사망 - 위키백과(1887.12.15 음력 ~ 1964.1.13)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B3%91%EB%A1%9C


김병로 - 다음백과(1888.1.27 ~ 1964.1.13)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3g1605a


김병로 - 두산백과(1887.12.15 음력 ~ 1964.1.1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2365&cid=40942&categoryId=33384


(사진 - 독립운동가/변호사/대법원장 김병로 - 네이버캐스트 1887.12.15 음력 ~ 1964.1.13)



*.


음력 1887년 12월 15일 -> 양력 1888년 1월 27일


이이제이 107회 가인 김병로 특집 https://youtu.be/5X5scNIb5y0

지식채널e1 - 대법원장의 말 120206 http://youtu.be/4gd7P9nUT0w








1981

시인/소설가 박종화 사망 - 위키백과




1984

문교부,로마자 표기를 25년만에 정자법에서 표음주의 표기법으로 통일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4.1.14일자 '소리글'정착에 큰 몫 한글 로마자 표기법 확정 언저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11400329203001&officeId=00032




1986

대입논술고사 첫 실시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6.1.14일자 대입논술 학교별 논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11400329205006&officeId=00032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57.1.13 저격사건 질의전 전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7011300209201001&officeId=00020


장면부통령 저격사건 - 한국 근현대사 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0237&cid=42958&categoryId=4295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1.13 '명예선언' 가족 면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9-01-13&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1.13 "종군위안부 국가서 배상을" 김추기경,일본에 서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01-13&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1.13 전씨 비자금 9천5백억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1-13&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7.1.13 국제단체도 지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7-01-13&officeId=00028&pageNo=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