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1.17] 1948 시인 고정희 출생 1974 독립운동가 박열 사망

by 딧플 2016. 1. 17.

(사진 - 1월 17일 - 위키백과)





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43 한국 정신대조직 징용강화(링크없슴)"이라고 나와 있는데


<두산백과>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총독부는 ‘국민근로보국협력령’을 공포하여 노동력 동원을 본격화했다. 

1942년 3월에는 대규모 ‘국민동원계획’을 수립하고, 

더욱 강화된 ‘관 알선’ 방식으로 다수의 조선인들 ‘근로보국대’라는 이름으로 동원했다.


1944년 4월에는 ‘긴급학도근로동원방책요강’, ‘학도동원비상조치요강’ 등 

각료회의 결정에 기초한 학생동원 계획이 수립되었고, 

4월부터는 초등학교에서 대학, 전문학교에 이르는 모든 학생들을 

군수물자 및 식량증산, 국방시설 건설 등에 동원했다.


1944년 2월 8일 총독부는 이른바 ‘현원징용(現員徵用)’ 실시를 발표했다. 

‘현원징용’이란 조선 내 공장이나 광산에서 이미 일하고 있는 공장장 이하 종업원을 전원 징용하여 

작업장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들에게는 영장이 전달되었고, ‘응징사(應徵士)’, 즉 징용에 응한 전사라는 호칭이 주어졌다. 

1944년 8월부터는 ‘일반징용’이 시작되었다. 

일반징용이란 일정한 연령대의 남성에게 영장을 발부하여 신체검사를 한 뒤, 

노무자로 일본 본토와 조선, 기타 전선으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모집’, ‘관 알선’, 그리고 ‘징용’에 의해 1939년 이후 1945년까지 

일본으로 강제연행된 이는 112만 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1944년에 약 38만 명, 1945년에 약 33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은 일본에서 석탄광산, 금속광산, 토건, 항만 하역, 공장노동 등에 투입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시체제와 강제동원 (한국독립운동사, 2014. 5. 30., 역사비평사)


일본의 미쓰비시 주식회사가 대마도에서 강제징용 된 조선인을 말살하다!

https://youtu.be/IfEVuE4ryfo


역사채널e - 지워지지 않는 상처, 강제동원 https://youtu.be/wEoavGVudKg

역사채널e - 청춘만장 https://youtu.be/FqghFhpNjUE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51 국제전신연맹 가입(링크없슴)"이라고 나와 있지만


<두산백과>

국제연합(UN)의 전문 기관으로, 모든 종류의 전기 통신의 개선과 합리적인 사용을 위해 

국제 협력을 유지, 증진하고 전기 통신 업무의 능률 향상, 이용 증대 및 보급의 확대를 위해 

기술적 수단의 발달과 효율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는 범세계적인 정부 간 국제 기구. 

현존하는 국제 기구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기구이며,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다. 

1865년에 설립된 국제전신연합과 

1906년에 설립된 국제무선전신연합이 

1932년 통합되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으로 발족했다. 

1995년 1월 현재 가입국은 187개국이며 우리나라는 1952년에 가입했다. 

ITU의 법률 문서는 국제전기통신연합 헌장, 국제전기통신연합 협약 및 업무 규칙이며, 

협약에 의해 보충되는 헌장은 기본적 법률 문서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제전기통신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國際電氣通信聯合]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45197&cid=42346&categoryId=42346



3)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926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래혁."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994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일권."


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들 입니다


<위키백과 - 정래혁>

2008년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 선정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9E%98%ED%98%81


<위키백과 - 정일권>

1940년대 만주국군 장교로 지냈고 2008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친일파이다

정인숙 살해 사건 이후 그는 정인숙의 암살 배후로 의심받기도 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9D%BC%EA%B6%8C



(사진 -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4)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860년 - 러시아의 소설가 안톤 체호프."라고 나와 있지만

내용으로 들어가면


<위키백과>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러시아어: Анто?н Па?влович Че?хов, 

영어: Anton Pavlovich Chekhov, 문화어: 안똔 체호브, 

1860년 1월 29일 ~ 1904년 7월 15일)는 

러시아의 의사, 단편 소설가, 극작가이다.


<두산백과> 1860.1.29 ~ 1904.7.15

[네이버 지식백과] 체호프 [Anton Pavlovich Chekhov]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7025&cid=40942&categoryId=34409


“청혼” 안톤체홉 작품, 여름해변연극제 [극단 자투리]

https://youtu.be/bJPkaSzWA6E














1706

과학자/정치인 벤자민 프랭클린 출생 - 네이버캐스트


<네이버캐스트>

1753년에는 프렌치 인디언 전쟁을 앞두고 인디언 지도자들과의 동맹 회담에 참석했고, 

영국 정부에 의해 식민지 전체를 관장하는 체신장관 대리로 임명된다. 

이듬해 5월에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식민지군이 프랑스군에 패배하자, 

프랭클린은 식민지의 분열이 패배의 원인이라며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라는 

유명한 구호를 신문에 게재해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사진 - 전기실험 - 벤자민 프랭클린)





1893

하와이 왕국 전복 - 위키백과


하와이 왕국의 몰락 신비한TV서프라이즈 中 110814 

http://youtu.be/WysJZ0b03j0




1911

인류학자 프랜시스 골턴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2889&cid=40942&categoryId=32326




1942

무하마드 알리 출생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5&contents_id=167


ebs 지식채널 - Muhammad Ali 

http://youtu.be/aoA82VLaroo




1948

시인 고정희 출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C%A0%95%ED%9D%AC


고정희 - 다음백과(1948.1.17 ~ 1991.6.9)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1g4149a


고정희 - 디지털안산문화대전


(사진 - 고정희 - 다음검색)



강신주의 철학적 시 읽기_61 고정희,상한 영혼을 위하여

https://youtu.be/-EAJdmtGtMw








1974

독립운동가 박열 사망 - 위키백과(1902.2.3 ~ 1974.1.17)

https://ko.wikipedia.org/wiki/%EB%B0%95%EC%97%B4


<위키백과>

1922년 김약수·정태성 등과 함께 

동경조선고학생동우회에서 '전국노동자 제군에 격함'이라는 선언을 발표했다.

박열은 1923년 4월 불령사(不逞社)라는 비밀 결사를 조직했다가, 직접행동의 기회를 노리던 중, 

그해 관동대지진 이후 험악한 분위기 속에서 일본인 연인인 가네코 후미코(일본어: 金子文子)와 함께 

1923년 10월에 일본 왕자 히로히토의 혼례식 때 암살을 기도한 죄로 체포되었다. 

불령사가 일왕 다이쇼와 히로히토 왕세자 등을 폭탄으로 암살하기로 모의했다는 혐의 때문이었으나, 

사건 자체가 과장, 조작되었다는 설도 있다.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는 1926년 사형 선고를 받았다

두 사람은 곧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지만 가네코 후미코는 몇달 뒤 감옥 안에서 자살 후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박열은 22년 2개월을 복역하고 해방후 미군에 의해 풀려났다. - 중략 - 


1946년 2월 ~ 6월까지 김구의 부탁으로 3의사(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유해발굴 봉환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1946년 12월과 1947년 4월 2차례에 걸쳐 국제연맹 회의에 참가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이승만과 회담했다.

그 후 1947년 6월 〈민단신문〉에 '건국운동에서 공산주의를 배격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1947년 10월 민단 정기대회에서 이승만 계열의 남한단독정부수립 노선을 지지했다. 

민단은 1948년 남한 정부수립 직후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으로 이름을 바꾸어 활동하였다.

1948년 재정문제와 민단 내 반대파들 때문에 단장직에서 물러났다. 

정부 수립 이후 이승만의 초청으로 1949년 귀국했다가 한국 전쟁 당시 납북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B0%95%EC%97%B4


박열 - 다음백과(1902.2.3 ~ 1974.1.17)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8b3581b


흑도회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6408&cid=40942&categoryId=33385


(사진 - 독립운동가 박열 - 네이버캐스트 1902.2.3 ~ 1974.1.17)



경상별곡 E40 문경편 조선을 사랑한 아나키스트,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

https://youtu.be/SWf6Uxc9gR8








1992

김보은 김진관 사건 발생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2.1.19일자 상습적인 성폭행 앙심 의붓딸이 아버지 살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2-01-19&officeId=00028&pageNo=1


시사저널 2012.11.22 - 

[표창원의 사건 추적] '짐승' 의붓아버지 죽인 비운의 연인

아홉 살 때부터 12년간 성적 노리개로 능욕당해 '성폭력특별법' 탄생시킨 김보은·김진관 사건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9279


ㅍㅍㅅㅅ

1992년 1월 19일 김보은, 김진관의 존속살해사건

http://ppss.kr/archives/37719




1995

고베 대지진. 일본의 효고현 남부에서 지진이 발생하다.-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1.18일자 일본 간사이지방 큰 지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01-18&officeId=00028&pageNo=1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7.1.17 직선제 관철 - 합의개헌 대화노력"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011700209201003&officeId=00020










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1.1.17 미 전쟁 개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1-01-17&officeId=00032&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2.1.17 "일본왕은 사죄하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2-01-17&officeId=00028&pageNo=1


2015-7-2

일제 강제징용 조선인 846명 추가 확인 / YTN https://youtu.be/rmimHD2pG9M


2014-10-31

日 역사학자들, "위안부 강제 연행은 사실" / YTN https://youtu.be/b1jK51uXD9E


jtbc뉴스룸 2013.10.7

"네덜란드 여성 끌고가..." 위안부 강제동원 자료 첫 공개 https://youtu.be/tBS20OrrZCM


반크 코리아 - 

반성하지 않는 일본정부의 움직임(한글)_일본 강제징용시설 유네스코유산 등재반대

https://youtu.be/aqAEZgybUcU


양영은의 인터뷰 선물 12회 강제 위안부 이용수 할머니 "일왕 내 앞에 무릎 끓고 사죄해야"

https://youtu.be/H9mR6_Ej2ns


뉴스매거진 시카고 2013-12- 28 

김복동 할머니 - 14세 소녀의 빼앗긴 봄 https://youtu.be/wB9f_0qPkiU


뉴스타파 - 목격자들 9회 

"온몸에 각인된 기억들 - 일본군 위안부를 기록한 일본인들"(2015.6.1)

https://youtu.be/8fVzWfHgJOk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1.17 백화점-슈퍼 비닐포장지 내달부터 사용금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01-17&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1.17 15년세월 쥐락펴락 신군부 핵심-부역자 군-관-정계 요직 독식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1-17&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7.1.17 법원 "날치기"위헌 제청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7-01-17&officeId=00028&pageNo=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