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1.5] 1924 의열단원 김지섭, 도쿄 일본 궁성에 투탄의거 1951 독립운동가 서재필 사망 1958 의병장 임용상 사망

by 딧플 2016. 1. 6.


(사진 - 1월 5일 - 위키백과)





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637 병자호란 발발"이라고 나와 있지만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위키백과>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병자년 12월부터 1637년 1월까지 조선과 청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1636년 12월 28일 ~ 1637년 2월 24일)

인조와 조정이 남한산성에서 항전하였으나 청의 포위로 인한 굶주림과 추위, 

왕실이 피난한 강화도의 함락, 남한산성의 포위를 풀기 위한 근왕병의 작전 실패 등으로 말미암아 항복하였다.

동아시아 역사에서는 명청교체기를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이며, 

조선으로서는 짧은 전쟁 기간에도 불구하고 전쟁 포로로 수십 만의 백성이 청으로 끌려가 

그 사회적 피해가 유례없이 막심하였다.

https://ko.wikipedia.org/wiki/%EB%B3%91%EC%9E%90%ED%98%B8%EB%9E%80


한명기,'병자호란'으로 읽는 조선의 역사

https://youtu.be/0kdS_2U4yCk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50 소설가 김동인 사망"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951 소설가 김동인 사망"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사진 - 위키백과>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2009년 11월 27일 “김동인의 소설과 글 등을 통해 

일본이 일으킨 전쟁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전쟁 참여를 독려하는 등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규정한 친일반민족행위를 했다”고 결정했다. 

그러나 그의 아들은 소설의 한 부분만 떼어놓고 친일행위라고 단정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또 “당시 행위에는 적극성이 결여돼 있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했었다. 

2010년 11월 26일 재판부는 다음과 같이 친일 행위를 인정했다.


김동인은 1944년 1월 16일부터 1월 28일까지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황민화-징병제 실시 수감’을 

10회 연재했고, 20일 ‘일장기 물결-학병 보내는 세기의 감격’이라는 글을 발표했는데 

징용을 직접적이고 자극적으로 선전 또는 선동했다.


“당시 매일신보는 유일한 우리글 일간지로, 게재 횟수가 11회에 이르는 점 등을 비춰보면 

김씨가 전국적 차원에서 징용을 주도적으로 선전 또는 선동한 것으로 보인다.


“소설 <백마강>은 일본이 조선과 일본의 내선일체를 주제로 기획한 시국소설인데 

김씨가 ‘작자의 말’ 등을 통해 우리나라와 일본이 역사적으로도 한 나라나 

다름없었다는 것을 그리려 한 것으로 보인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8F%99%EC%9D%B8


(사진 - 1939.4.8 매일신보 - 위키백과)

(사진 -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3)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시인 홍사용 사망이라고 나와 있지만 

1947.1.7일 입니다

(타임라인 한국사앱 1.7일자에도 나옵니다)


<위키백과>

홍사용(洪思容, 1900년 5월 17일 ~ 1947년 1월 7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극작가, 수필가이다.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일제 강점기 후반에 대부분이라 할 만큼 많은 시인들이 친일 작품을 남기게 되는데

홍사용은 이 시기에도 친일시를 창작하거나 친일 활동을 하지 않은 시인 중 한 명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D%99%8D%EC%82%AC%EC%9A%A9


나는 왕이로소이다 - 홍사용 (낭송 윤정희) 

https://youtu.be/GGHMroiJfNQ



4)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07 수필가 김소운"이라고 나와 있는데


<위키백과>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발간을 위해 발표한 예비명단에 포함되었다. 

2002년까지 발견된 친일 저작물 수는 1943년 《매일신보》에 발표한 〈야마모토 원수의 국장일〉 등 3편이다.

친일 작품 발표 시기가 강압적인 분위기가 조성된 일제 강점기 말기에 몰려있고 편수도 적은 점, 

평생에 걸친 주요 관심사가 한국 문학의 번역 소개였고 일본에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데 

일조한 공으로 1980년 은관 문화훈장을 받았다는 점, 보통학교 재학 중 밀항으로 도일한 

김소운에게는 일본이 문학적인 고향이었다는 점 등 여러 요소로 인해 유가족의 부당하다는 항변이 있었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서는 제외되었다.

부인 김한림은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의 전신인 구가협 창설을 주도했고, 

딸 김윤은 민청학련 사건으로 복역한 농민운동가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6%8C%EC%9A%B4



5)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809년 - 프랑스의 사상가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이라고 나와 있지만


두산백과에는 1809.1.15일생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9570&cid=40942&categoryId=33462














1885

우정총국에서 우편 업무 폐지.- 위키백과


<위키백과>

우정총국은 조선 말기 우체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이었다. 

우정총국은 고종 21년(1884년) 4월 22일(음력 3월 27일)에 재래의 역전법(驛傳法)을 

근대식 우편제도로 고쳐 설치되어, 4월 23일(음력 3월 28일) 책임자로 홍영식(洪英植, 1855∼1884)이 

임명되어 법령을 마련하는 등 개국 준비를 하였으며, 같은 해 11월 18일(음력 10월 1일) 처음으로 

우체업무를 시작하였다.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우정총국 청사의 낙성 및 개설 축하연을 이용해 

개화파들이 갑신정변(甲申政變)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12월 8일(음력 10월 21일) 폐지되었다. 

폐지된 이후에도 우체업무는 계속되다가, 실제로 우체 업무가 폐쇄된 것은 

1885년 1월 5일(1884년 음력 11월 20일)이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0%95%EC%B4%9D%EA%B5%AD


[tbs TV] 영상기록 서울, 시간을 품다 - 제80회 국내 최초 우체국 우정총국

https://youtu.be/EPpFXN6X_DA




1920

피아니스트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출생 - 위키백과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Ravel Piano Concerto - www.arsdei.org/festival

https://youtu.be/9zIXSqyYyq0








1924

의열단원 김지섭, 일본 천황 폭살 기도 실패 - 위키백과


<위키백과>

김지섭(金祉燮, 1885년 ~ 1928년 2월 2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로 호는 추강(秋岡)이며, 

경상북도 안동(安東) 출생이다.

1924년 1월 3일 도쿄에 잠입하였으나, 제국의회가 무기한 연기되었다는 신문기사를 보고 

계획을 변경하여 일본 궁성(宮城)의 니주바시(二重橋)에 폭탄 3개를 던지기로 했다. 

1월 5일에 왕궁진입을 시도하며 폭탄을 던졌으나, 3개 모두 불발되고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그의 변호사 후세 다쓰지는 "조선 민중 전체의 의사를 대표한 사람"이고 폭탄이 불발했으니 

불능범이라 무죄를 주장했으나, 검찰은 사형을 구형하고 재판부는 무기징역을 선고했다.

그러나 1928년 2월 20일에 이치가야(市谷) 형무소에서 복역 중 사형당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A7%80%EC%84%AD


<네이버캐스트>

김지섭(金祉燮, 1884. 7. 21~1928. 2. 20) 선생은 1884년 7월 21일 

경북 안동군 풍북면(豊北面) 오미동(五美洞)에서 풍산(豊山) 김씨(金氏)인 

부친 김병규(金秉奎)와 모친 신천 강씨(信川康氏) 사이에 2남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6076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4.1.7일자 오일오후칠시 조선인이 이중교전에 폭탄투척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24-01-07&officeId=00020&pageNo=1


국민tv 조선의열단_9회_김지섭의의거

https://youtu.be/qOcHWChfhqM








1932

기호학자/철학자/역사학자 움베르토 에코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6063&cid=40942&categoryId=33476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 논문 잘 쓰는 방법

https://youtu.be/T7SD1YV6gcI




1941

미래소년코난, 미야자키 하야오 출생 - 위키백과


미야자키 하야오 [바람이 분다] 메인 예고편 (한글 자막)

https://youtu.be/KmIn0XjaWAQ


[미야자키 하야오/한겨레]“생각 모자란 인간이 일본 헌법 손대선 안돼”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596437.html


"아베 사죄하라"...日 안팎 비난 '봇물' / YTN

https://youtu.be/x7lvTN0qsCo




1942

피아니스트 마우리치오 폴리니 출생 - 위키백과


Maurizio Pollini - Mozart - Piano Concerto No 21 in C major, K 467

https://youtu.be/lCYycVNrLTI








1951

독립운동가 서재필 사망 - 위키백과(1864.1.7 ~ 1951.1.5)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E%AC%ED%95%84


서재필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1s3852b

(사진 - 독립운동가 서재필 - 네이버캐스트)



시사통 김종배입니다 

[07/16pm]인권통-서재필의 진실 https://youtu.be/Rj-0MsVL8QQ








1958

의병장 임용상 사망 - 두산백과


<두산백과>

경상북도 청송(靑松)에서 출생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김재서(金在瑞) 등과 영덕군(盈德郡) 청련사(靑蓮寺)에서 의병을 모아 

동해창의군(東海倡義軍)을 조직하고, 

대장으로 추대되어 영덕·청하(淸河)·강구(江口)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1907년 4월 정용기(鄭鏞基)의 산남창의진(山南倡義陣)에 합진, 유격장으로 임명되어 

청송(靑松)·영천(永川)·흥해(興海) 등지에서 일본군과 격렬한 전투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그해 입암(笠巖) 전투에서 정용기가 전사하자 정환직(鄭煥直)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총장(總將)이 되어 청송·영덕·청하 등지에서 일본군을 공격하였다. 

1909년 6월 울산(蔚山)·언양(彦陽)·양산(梁山) 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하다 체포되어 

대구지방재판소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1910년 한일병합 특사로 출옥하였다. 

출옥 후 해체위기에 처한 산남의진을 재정비하고 청송·의성(義城) 등에서 

일본군수비대를 공격하였으나, 안평(安平) 전투에서 다시 체포되어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임용상 [林龍相]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8244&cid=40942&categoryId=33385


임용상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8a1790a








1982

대한민국의 야간통행금지가 해제되다.-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2.1.6일자 통금없는 첫날... 조용한 서울 0시 16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2-01-06&officeId=00020&pageNo=1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7.1.5 한-미 새 어업협정 조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7-01-05&officeId=00020&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4.1.5 중소기업 "다투면 손해" 짓눌려 살아간다 서러운 약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10500209203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1.5 연초부터 노동쟁의 강경진압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9-01-05&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0.1.5 미국,전씨 증언 반박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0-01-05&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1.5 광주외곽 무차별 총격 확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1-05&officeId=00028&pageNo=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