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11.19] 1947 독립운동가 전명운 사망

by 딧플 2015. 11. 19.



(사진 - 11월 19일 - 위키백과)




1)


위키백과에는

"1408년 - 조선 태종 8년 아패법(牙牌法) 제정(없는 문서)"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사진 - 1408년 음력 11월 19일 -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2)


위키백과에는

"1435년 조선 세종 17년 상정소(詳定所) 폐지(없는 문서)"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사진 - 1435년 음력 11월 19일 -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상정소 - 한국고전용어사전/두산>

조선 시대 국가의 법규?법전을 제정하거나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설치한 임시기구

[네이버 지식백과] 상정소 [詳定所]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6783&cid=41826&categoryId=41826



3)


위키백과에는

"1442년 - 조선 세종 24년 왜인과의 무역제도를 개정"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사진 - 1442년 음력 11월 19일 -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4)


위키백과에는

"1444년 - 조선 세종 26년 역대실록을 

춘추관·충주·성주·전주의 사고에 분장"이라고 나와 있지만

조선왕조실록 1444년 11월 19일자에는 그런 내용은 없고


<한국고중세사사전/두산백과>

조선은 고려의 사고를 그대로 이어 

한양의 춘추관(春秋館) 내사고(內史庫)와 충주의 외사고를 존속시켰다가, 

1439년(세종 21) 외사고를 전주·성주에 더 지어 4사고를 운영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고 [史庫] (한국고중세사사전, 2007. 3. 30., 가람기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064&cid=42957&categoryId=42957


<문화원형백과/두산백과>

 1445년(세종 27)에 전주와 성주에 사고를 설치하여 

모두 네 곳에 실록을 보관함으로써 손실의 위험에 대비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주사고를 지킨 손홍록 [全州史庫-孫弘祿]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2002.,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457&cid=49345&categoryId=49345


<사고/두산백과>

조선시대는 처음에 춘추관과 충청도 충주(忠州)에 실록보관소를 두고 실록을 보관하다가, 

1439년(세종 21) 경상도 성주(星州)와 전라도 전주(全州)에 사고를 설치

춘추관 외에 이들 충주·성주·전주의 사고를 3대 사고라 해서 

여기에 역대 실록을 분산 보관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고 [史庫]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6863&cid=40942&categoryId=33373



5)


위키백과에는

"1507년 - 조선 중종 2년 사관 (史官)의 정청(政廳) 입참(入參)을 허용."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사진 - 1507년 음력 11월 19일 -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한국고전용어사전/두산백과>

정청 [政廳]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이조(吏曹)나 병조(兵曹)의 전관(銓官)이 도목 정사(都目政事)를 보던 곳. 

여기에는 사헌부(司憲府)의 대사헌(大司憲), 이?

병조 당상관(堂上官), 이?병방 승지(吏兵房承旨), 사관(史官) 등이 

참예하여 관리의 전형(詮衡)?임면(任免)?출척(黜陟) 등 인사에 관한 일을 의논하고 처리하였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891&cid=41826&categoryId=41826



6)


위키백과에는

"조선 고종 19년 유학 김영효(金永孝)·이은우(李殷雨)·강기형(姜基馨), 

8도에 병영 설치 상소"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사진 - 1882년 음력 11월 19일 -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7)


위키백과 문화란에는

"1629년 - 조선 인조 7년 교서관, 《소학》 200권 인출,간행."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사진 - 1629년 음력 11월 19일 - 조선왕조실록 인조실록)



<소학 - 두산백과>

주자(朱子:朱熹)가 제자 유자징(劉子澄)에게 소년들을 학습시켜 교화시킬 수 있는 내용의 서적을 

편집하게 하여 주자가 교열·가필(加筆)한 것이다. 1185년(남송 순희 12)에 착수하여 2년 뒤 완성하였다. 

책의 구성은 내편 4권과 외편 2권으로 모두 6권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소학 [小學]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4243&cid=40942&categoryId=32927

*.


참고로

1895년 이전에는 음력이 기본이었습니다



8)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905년 - 한국의 연극인, 극작가 유치진"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사진 -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9)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598 임진왜란-노량해전"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1598년 12월 16일


<위키백과>

노량해전(露梁海戰)은 정유재란 당시 1598년(선조 31년) 음력 11월 19일(양력 12월 16일) 

이순신을 포함한 조명 연합수군이 노량해협에서 일본의 함대와 싸운 전투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5%B8%EB%9F%89_%ED%95%B4%EC%A0%84


따라서

위키백과 사망란에 나와 있는

"1598년 - 조선시대 중기의 장군 충무공 이순신."도 음력입니다

이순신 장군 : 1545.4.28 ~ 1598.12.16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8%9C%EC%8B%A0



(사진 - 노량해전 1598.12.16(음력 11.19) - 두산백과)






















1665

화가 니콜라 푸생 사망 - 네이버캐스트



(사진 - 자화상/니콜라 푸생 - 네이버캐스트)




1828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6497&cid=40942&categoryId=40492


Dietrich Fischer Dieskau & Andras Schiff

 - Schubert "Die schone Mullerin" op. 25 D 795

https://youtu.be/qaLSQ85FzV4




1833

역사/철학자 빌헬름 딜타이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6315&cid=40942&categoryId=33456




1863

남북 전쟁: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이 게티즈버그 연설을 하다.- 위키백과


지식채널e - 노예 해방을 이뤄낸 링컨 대통령의 또 다른 이면

https://youtu.be/_dprswT2V8E




1900

물리/수학자 미하일 라브렌티예프 출생 - 위키백과


1909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5450&cid=40942&categoryId=40507


1917

인도의 첫 여성 총리 인디라 간디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5791&cid=40942&categoryId=33424




1925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 출생 - 위키백과


2015-5-25 [경향신문] 21세기의 ‘사랑’을 말하다 

[‘마음’ 전문가들과의 대화] 지그문트 바우만 인터뷰

https://youtu.be/gHChU0EH5U4








1947

독립운동가 전명운 사망 - 위키백과(1884.6.25 ~ 1947.11.19)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B%AA%85%EC%9A%B4


전명운 - 다음백과(1884,고종21 ~ 1947.11.19)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9j0471a


전명운 - 두산백과(1884.6.25 ~ 1947.11.1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9519&cid=40942&categoryId=33384




(사진 - 독립운동가 전명운 - 네이버캐스트 1884.6.25 ~ 1947.11.18)



스티븐스 저격사건(1908.3.23) - 한국근현대사사전/두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686&cid=42958&categoryId=42958


독립운동가 장인환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4197


EBS(사회탐구)한국사-1910년대 미주지역의 독립운동은?

https://youtu.be/ilpj-Nj14aU


2015-10-26

한홍구"스티븐스 암살한 장인환,전명운... 당시 현장에서 처음 만난 사이"

https://youtu.be/0-qV-3rkW18








1959

심리학자 에드워드 톨먼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3245&cid=40942&categoryId=33488


1964

프랑스의 시사주간지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첫 발간.- 위키백과




1979

계엄당국의 휴교조처 해제로 대학교 전면 개교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9.11.19 23일만에 교문 활짝 면학열기로 대학가 활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9-11-19&officeId=00032&pageNo=1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0.11.19 김대중후보 예비군 폐지 대안발표 일보로 향토 경비대 조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11900209201004&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9.11.19 보선대통령 최규하대행 추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111900209201005&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2.11.19 서울 광주리씨 문중서 사도세자 '비극의 뒤주' 발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111900209201006&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8.11.19 국보위 설치 5월 16일 논의 시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8-11-19&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2.11.19 김복동 의원 "납치"파문 확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2-11-19&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7.11.19 한국경제 "부도" 위기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7-11-19&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11.19 반세기만에 열린 금강산 뱃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11-19&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11.19 "DJ 1만달러 수수" "조작 물증" 찾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11-19&officeId=00028&pageNo=1


<서경원 - 위키백과>

연행 25일 만에야 이루어진 첫 번째 변호인 접견에서 서경원은 간첩활동 부분을 부인했고, 

조사 과정에서 고문을 받았다고 진술했다. 특히 정형근 국장에게 직접 고문을 받은 사실을 폭로했다


그는 김대중의 정치자금 수수 관련자로도 지목되어 조사받았다. 김대중 총재 1만 달러 수수설에 대해 

사나흘 동안 나를 죽일 정도로 몰아치는 바람에 검찰조사에서 

내가 일단 1만 달러를 주었다는 요구대로 자백을 했다. 

그랬다가 재판에서 이를 전면 부인했다”고 말하면서

 “주려면 5만 달러 다 주지, 치사하게 1만 달러만 주겠냐”고 일축하기도 했다


"다음날 아침 내 얼굴을 보니 멍이 들어 까만색이 돼버렸다. 고문 앞에는 천하장사가 없다. 

내가 하고픈 말을 하기라도 하면 즉각 주먹이 날아오니까... (이하 생략)."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A%B2%BD%EC%9B%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