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10.6] 1398 1차 왕자의 난(이방석,이방번,정도전,남은 사망) 1946 경향신문 창간

by 딧플 2016. 10. 3.

(사진 - 10월 6일 - 위키백과)





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671 신라 당군 축출"(링크없슴)이라고 나와 있지만


기벌포전투 - <두산백과>

676년(문무왕 16) 지금의 금강 입구인 기벌포에서 신라의 해군이 당나라의 해군을 크게 무찌른 전투. 

나당연합군에 의해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다음 당은 본심을 드러내어 신라까지 병합하려고 했고 

이에 대해 신라는 필사적인 대당항쟁을 전개하게 된다. 대당항쟁은 670년부터 676년까지 계속되었는데 

675년 매소성(買肖城) 전투에서 크게 패한 당군의 잔여부대가 설인귀의 지휘로 남하하는 것을 신라가 공격하여 대파한 전투이다. 

신라는 이 전투에서 크고 작은 전투 22회를 승리로 이끌어 대당항쟁 최후의 승리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벌포전투 [伎伐浦戰鬪] (한국고중세사사전, 2007. 3. 30., 가람기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158&cid=42957&categoryId=42957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351 공민왕 즉위"라고 나와 있지만


<위키백과>

공민왕 재위기간 : "1351년 음력 12월 27일 ~ 1374년 음력 9월 22일"


<네이버캐스트>

1330년에 태어난 공민왕이 전례에 따라 볼모로 원의 연경에 간 것은 12살 때였다. 

이후 조카인 충정왕이 폐위되어 1351년 12월에 귀국할 때까지, 약 10년을 연경에서 살았다. 

그 사이 두 차례의 왕위계승에서 실패하는 아픔을 겪다가, 

21세 때 원 위왕(魏王)의 딸 보타시리[寶塔實理, 노국대장공주]와 혼인하면서 

왕위계승의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2725


EBS 기획 시리즈 - 한국인물사 연속특강_공민왕과 신돈_#001

https://youtu.be/EIMyzoOePwE



3)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임진왜란 1차 진주성 전투"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위키백과>

1592년 11월 7일(음력 10월 4일) 왜군은 군사 3만 명을 이끌고 진주성을 포위하였다. 

전투에 앞서 조선의 관군과 의병들은 군을 나누어 기각의 지세를 이루었다. 

성내에는 진주 牧師 목사 김시민을 위시한 관군 3천8백여 명과 백성이 합세해 결전을 준비했고, 

성외에서는 홍의장군 곽재우가 이끄는 경상도 의병들이 왜군을 배후에서 견제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왜군은 섣불리 공격을 시작하지 못하다가 결국에는 주위의 민가를 모조리 불 지르고 

총탄과 화살을 마구 쏘아대며 마침내 공격을 개시했다. 성내에 있던 조선 관군은 화차와 현자총통을 

비롯한 총포와 화살로써, 백성은 돌과 뜨거운 물로써 대항하였다. 더불어 임계영과 최경회가 

이끄는 전라도 의병 2천여 명은 성외에서 왜군의 후방을 기습공격했고, 

나아가 홍의장군 곽재우도 유격전을 전개하여 왜군을 혼란에 빠뜨렸다. 

덧붙여 항우가 이끌던 초나라 군사와 장량의 고사를 생각해내고 이를 흉내낸 것일지는 몰라도, 

곽재우는 피리를 불어 왜군의 군심을 흔들었다. 

11월 12일(음력 10월 9일) 승리가 점차 목전에 다가오는 중 진주 목사 김시민이 왜군이 쏜 총탄에 맞아 정신을 잃고 쓰러졌다. 

진주성을 공격한 지 이레 만인 11월 13일(음력 10월 10일) 싸움에 지친 왜군은 진주성을 포기한채 마침내 퇴각하였다.

















1398

1차 왕자의 난 - 위키백과


의안대군(이방석) 사망 - 위키백과

무안대군(이방번) 사망 - 위키백과

남은 사망 - 위키백과


(사진 - 자조/정도전 - 위키백과)


1865년(고종 2년) 9월 대비 조씨의 건의로 다시 공신 칭호를 돌려받았다. 

1865년 고종은 경복궁을 중건하고 그 설계자인 정도전의 공을 인정해 그의 관작을 회복시켜 주었으며 

문헌(文憲)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그 뒤 고종은 후손들이 사는 경기 양성현(안성군 공도면, 평택시 진위면)에 사당을 건립하였다.

고종은 정도전의 조선 건국과 제도와 법령 마련, 체제 정비 등의 치적을 기려 유종공종(儒宗功宗) 현판을 특필하여 하사하였다. 

사당은 1986년 4월 경기도유형문화재 132호로 지정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8F%84%EC%A0%84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2권 1부, '태조,정종 실록' 정도전의 개혁과 왕자의 난

https://youtu.be/1BsvLYhssrI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2권 2부, '태조,정종 실록' 정도전의 개혁과 왕자의 난

https://youtu.be/jRcP8P-sku4


정도전을 위한 변명, 7부: 성공한 혁명가 정도전, 새로운 나라 조선을 만들다 

https://youtu.be/iRrox4ry_BI




1552

선교사 마테오 리치 출생 - 미술대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6198&cid=42636&categoryId=42636




1582

그레고리력의 전면 시행 때문에, 

이 날은 이탈리아,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의 달력에서 삭제되었다.- 위키백과


1582년 10월 4일(목) 다음날을 1582년 10월 15일(금)로 한다.(10일의 편차를 제거함)


한국은 1895년 음력 9월 9일에 조선 정부(을미개혁, 김홍집 내각)가 

같은 해 음력 11월 17일을 1896년 1월 1일로 하고, 태양력 채택을 기념하여 

건양(建陽)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이래 

대한제국을 거쳐, 대한민국도 그레고리력을 쓰고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7%B8%EB%A0%88%EA%B3%A0%EB%A6%AC%EB%A0%A5


그레고리력에서는 윤년은 원칙적으로 4년에 한 번을 두되, 연수가 100의 배수인 때에는 평년으로, 

다시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으로 하고 있다. 이 개력(改曆)에 의해서 1년은 약 365.2425일이 되고, 

태양년(회귀년)과의 차는 불과 3000년에 하루 정도가 된다. 

그러나 이 역법은, 

① 1개월의 길이에 불합리한 차이가 있으며, 

② 주(週)와 역일(曆日)을 맺는 법칙이 없고, 

③ 연초의 위치가 무의미하며, 

④ 윤년을 두는 방법이 번잡하다는 등의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그레고리력 [Gregorian calendar, ─曆]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877&cid=40942&categoryId=32295




1831

수학자 리하르트 데데킨트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2230&cid=40942&categoryId=34344


26. 데데킨트가 들려주는 실수 1 이야기 1/3

https://youtu.be/bbKxM2SUJCc




1846

발명가 조지 웨스팅하우스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1621&cid=40942&categoryId=33487




1882

작곡가 카롤 시마노프스키 출생 - 음악사대도감/두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0890&cid=42595&categoryId=42595


Szymanowski Violin Concerto No.1 conducted by Penderecki in Seoul

https://youtu.be/taezwCqnDXM




1937

유전학자 마리오 카페키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62146&cid=40942&categoryId=34452




1946

경향신문 창간 - 위키백과

(사진 - 1946.10.6일자 경향신문 - 위키백과)


<두산백과>

1946년 10월 6일 천주교 서울교구가 운영주가 되어 창간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74번지에서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초대 사장은 양기섭(梁基涉) 신부이다.


1974년 7월 24일 한국 문화방송주식회사(MBC)와 통합하기에 이르러 

같은 해 11월 1일 주식회사 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개편하여 매스커뮤니케이션 기업으로 재출발하였다. 

따라서 새로 설립된 문화방송·경향신문의 경영권은 5·16장학회가 소유하였다. 

소공동 사옥을 처분하고 정동(貞洞) 문화방송 빌딩에 연결된 새 건물로 옮겼다


1990년 8월 1일 한화그룹이 인수, 주식회사로 전환되었다. 

그후 1998년 한화그룹에서 독립, 사원주주회사로 출범하였다. 

사원들의 전체 회사 주식의 보유율은 96%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경향신문 [The Kyunghyang Shinmun, 京鄕新聞]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632&cid=40942&categoryId=31755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6.10.6 김수환 추기경 본지 창간50돌 특별대담 '더불어사는 사회가 통일원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0600329103001&officeId=00032




1950

나비학자 석주명 사망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22618


지식채널e - 나비에 미치다

https://youtu.be/S2SFXneySJY




1951

대한민국과 일본, 도쿄서 해방후 

첫 한일회담 예비회의가 열렸으나, 1년만에 결렬되었다.-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51.10.7일자 한일우호예비회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1100700209102001&officeId=00020




1998

익산 충전소 가스 폭발 사고 발생.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10.7일자 또 터진 '안전불감증' 익산가스충전소 폭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10-07&officeId=00028&pageNo=1




2005

이천 물류창고 붕괴 사고 발생.-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5-12-8일자

이천물류센터 붕괴, “삼성물산 무리한 공법 탓”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6034.html




2010

한-EU 자유무역협정 서명 - 타임라인 한국사앱


한겨레신문 2010-10-6

한-EU FTA 공식 서명 “내년 7월 발효”

피해대책 없이 벼락치기…비준 진통 예상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442558.html


[STV]전현희, "세 번째 국회 상정된 한-EU FTA 협정문에 또 오류발견" 

https://youtu.be/dlcoz4JK_JI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57.10.6 정부,대미 엄중항의/김천 등지서의 미병사 총격사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7100600209201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매일경제 1970.10.6 합리성 잃은 세정 7개월동안 제기된 이의 9천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00600099203001&officeId=00009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6.10.6 한국 군작전권 확보대책등 추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100600209201005&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9.10.6 '10.4'제명 회오리 정국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100600209201007&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3.10.6 중년여성 일자리 갈망한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100600329201003&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8.10.6 '광주항쟁에 투입된 20사단 진압군 한미연합사 작전통제권내 있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8-10-06&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10.6 만자당,5.18위증 수사 반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10-06&officeId=00028&pageNo=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