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10.3] 1949 개천절 제정 1963 전라북도 정읍시에 동학 혁명 기념탑 준공 1990 분단 41년 만에 서독과 동독이 하나의 독일로 통일 2009 독립운동가 강윤국 사망

by 딧플 2016. 9. 30.

(사진 - 10월 3일 - 위키백과)






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274 고려-원 연합군 1차 일본 정벌"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두산백과>

고려에서 건조한 전함에는 몽골군 25,000명, 고려군 8,000명, 사공 6,700명 등 도합 39,700명이 승선했다. 

제1차 원정군은 원종 15년(1274년) 음력 10월 3일에 마산을 출항해 일본에 이르러서 승전을 거듭했으나 

한밤에 갑자기 폭풍우가 몰려와 많은 전선과 병사를 잃고 귀환했다. 

제1차 원정에서는 60~70%만 돌아오고 30~40%의 병력 손실을 입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여몽연합군의 일본 정벌 (한국의 배, 2006. 2. 28., 지성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67545&cid=51087&categoryId=51087



2)


위키백과에는

"1972년 -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첫 핵무기제한조치인 전략무기제한협정(SALTⅠ) 조인."이라고

 나와 있지만 내용으로 들어가면,


<위키백과>

SALT I 협정을 위한 회담은 1969년부터 1972년까지 핀란드 헬싱키, 오스트리아 빈, 스위스 제네바 등지에서 열렸고 

SALT I 협정은 1972년 5월 26일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에서 조인되었다


<두산백과>

일명 'SALT I 잠정협정'이라고도 불리는 후자는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과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의 

수량을 제한하려는 것인데, 미국의 경우는 ICBM 1054기, SLBM 710기, 소련의 경우는 ICBM 1618기, SLBM 950기까지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여기에서 숫자에 차이가 있는 것은 명중도를 포함한 그 성능을 감안한 때문이다. 

SALT I 잠정협정의 유효기간은 1977년 10월까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두 협정은 모두 1972년 5월 닉슨 대통령의 소련 방문 때 조인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략무기제한협정 [Strategic Arms Limitation Talks, 戰略武器制限協定]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9481&cid=40942&categoryId=31659



<시사상식사전>

---SALTⅠ 제1차회담은 69년에 시작되어 

72년 5월 26일 미국 닉슨대통령의 소련방문 때 2가지의 협정이 체결되었다. 

하나는 방어용 전략무기(ABM) 규제에 관한 협정이고

다른 하나는 공격용 전략무기(ICBM,SLBM)의 수량 제한에 관한 잠정협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략무기제한협정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1797&cid=43667&categoryId=43667



3)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545년 - 조선중기의 왕족 하원군 이정"이라고 나와있지만

내용으로 들어가면


<위키백과>

"하원군 이정(河原君 李?, 1545년 1월 23일 ~ 1597년 10월)은 

조선 중기 왕손(王孫)으로 덕흥대원군의 사자(嗣子)이며, 

제14대 선조(宣祖)의 백형(伯兄)이다. 임진왜란 때 호성원종공신2등에 녹훈되었다."


"생애 초반[편집]

휘(諱)는 정(?), 자(字)는 백강(伯剛)이다. 1545년(인종 1) 2월 4일(음력 1월 23일)에 

한성 서부 인달방 도정궁(都正宮)에서 탄생하였다.


바깥고리 사망일자

선조실록에는 10월 6일로, 선조수정실록에는 10월 1일로 기록되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C%9B%90%EA%B5%B0


*.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545년 출생연도를 사망연도 오늘자로 잘못 표기

내용 첫부분 출생은 음력을 그냥 표기.

생애초반부분에는 생년월일 양력/음력 표기까지... 

오늘 날짜와 무슨 연관성이 있는 것일까요???


*.


선조실록 : 광해군때 편찬 (북인)

선조수정실록 : 인조때 다시 편찬 효종때 완성 (서인)

















(사진 - 10월 3일 개천절 - 국민달력)


<개천절 - 두산백과>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공포하여 이 날을 개천절로 정하고 국경일로 하였다. 

‘개천’의 본래의 뜻은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뜻한다기보다는, 

환웅(桓雄)이 천신(天神)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처음으로 하늘문을 열고 태백산 신단수(神壇樹) 아래에 내려와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BC 2457년(上元 甲子年)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음력 10월 3일을 개천절로 정하고 중국으로 망명한 대종교와 합동으로 경축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이를 계승하여 개천절을 공휴일로 정하고 

그때까지 경축식전에서 부른 대종교의 ‘개천절 노래’를 현행의 노래로 바꾸었다. 

그러나 음력 10월 3일을 양력으로 환산하기가 어렵고,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1949년부터 양력 10월 3일로 바꾸어 거행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천절 [開天節]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7993&cid=40942&categoryId=32179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49.10.3 오늘은 개천의 성절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9100300209201001&officeId=00020


개천절노래 

https://youtu.be/Kyy37vH72uM




1900

관립 화동중학교(현 경기고등학교) 개교 - 위키백과


1904

생화학자 찰스 피더슨 출생 - 위키백과




1929

염상섭, 장편 《광분(狂奔)》 조선일보에 연재(∼1930년 8월 2일) - 위키백과


광분 - 두산백과

1929년 10월 3일부터 1930년 8월 2일까지 모두 231회에 걸쳐 《조선일보》에 연재된 장편소설

[네이버 지식백과] 광분 [狂奔]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6721&cid=40942&categoryId=32876


2013-9-25

[tbs tv] 염상섭 '서울 테마기획전'

https://youtu.be/aA4xBEHZdqs




1944

수학자 피에르 들리뉴 출생 - 위키백과




1953

대한민국 정부, 신형법 공포 시행.-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53.10.3 개천절에 신형법공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3100300329202001&officeId=00032








1963

전라북도 정읍시에 동학 혁명 기념탑 준공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3.10.4일자(10.3) 동학혁명 기념탑 제막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63-10-04&officeId=00020&pageNo=1


<두산백과>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 392번지 내장저수지 옆에 있는 동학혁명을 기리는 기념탑이다.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을 기리는 탑으로, 1997년 5월 11일 건립되었다. 

내장저수지가 바라다 보이는 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바로 옆에 내장산조각공원이 있다. 

주탑(主塔)과 부탑(副塔)으로 구성되었으며, 화강암과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갑오동학혁명 100주년 기념탑 [甲午東學革命百週年記念塔]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08198&cid=40942&categoryId=38813


다듣사 12강 - 갑오농민혁명특집 : 앉으면 죽산 서면 백산 https://youtu.be/I84Kdw0jSR8

다듣사 13강 - 갑오농민혁명특집 : 새야 새야 파랑새야 https://youtu.be/kBp4JuaIRG8

ebs배움너머 - 동학혁명의 노래_#001 https://youtu.be/eCS-je6O3yo

역사채널e - 1894년 '그날'(동학농민운동) https://youtu.be/5o4tWeAr7fE


한겨레신문 2015-3-4

동학혁명 기념일 ‘전주화약일’로 잠정 결정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80825.html


[동학농민전쟁] 1차 전쟁 - 황토현전투, 전주화약 [한국사 근현대사 인강] 

https://youtu.be/h5WxhN4ZJeo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 사람, 다시 하늘이 되다 / 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의 해 (1894~2014)

https://youtu.be/Egqepkp05Xo


제07강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개혁 1/2 full [정기훈의 역사이야기] https://youtu.be/LN_x5sBje04

제08강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개혁 2/2 full [정기훈의 역사이야기] https://youtu.be/HeTG8xIT4Aw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중급 - 50강 동학 농민 운동_#001 https://youtu.be/xpZUbndubLI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중급 - 50강 동학 농민 운동_#002 https://youtu.be/5tNaffa2uvA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중급 - 50강 동학 농민 운동_#003 https://youtu.be/1TE3XM4N26E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중급 - 50강 동학 농민 운동_#004 https://youtu.be/cZVKeywXVY8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중급 - 50강 동학 농민 운동_#005 https://youtu.be/DJYYFyh6pVA








1990

독일의 재통일: 분단 41년 만에 서독과 동독이 하나의 독일로 통일되다.-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0.10.5일자 분단45년 청산... 독일 통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0-10-05&officeId=00028&pageNo=1


세상을 바꾼 리더십130130.독일 통일의 초석을 다지다 빌리 브란트

https://youtu.be/1kFZAsCUzdU


뉴스타파 김진혁 미니다큐 Five minutes - 

독일 통일의 설계사 '에곤 바르'가 남긴 조언(2015.9.9) 

https://youtu.be/KnDiKXaU35A




2001

대한민국,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이사국에 선출.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1-10-3

한국 ICAO 이사국에 가입 49년만에 '입성'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4000000/2001/10/p004000000200110032128765.html




2006 

충청남도 당진군 ~ 경기도 평택시를 연결하는 

서해대교에서 29중 추돌사고가 발생함. 

이 사고로 12명이 사망하고, 54명이 부상을 당함.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6-10-3

[속보] 서해대교 29중 추돌사고…사망 11명·부상 46명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61868.html








2009

독립운동가 강윤국 사망 - 위키백과(1926.9.28~2009.10.3)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C%9C%A4%EA%B5%AD


강윤국 - 두산백과(1926.9.28~2009.10.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7214&cid=40942&categoryId=34299


강윤국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1g1581n10


부민관 투탄의거(1945년 07월 24일)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35246&cid=40942&categoryId=31778


(사진 - 1945.부민관 폭파의거전 강윤국-조문기-유만수 :위키백과)


2014-1-19

[tbs TV] 영상기록 서울, 시간을 품다 - 제45회 경성의 복합문화공간 옛 '부민관'

https://youtu.be/yAgZ0QJIB-g








2010

제주도 9개명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 타임라인 한국사앱


한겨레신문 2010-10-4일자 

제주명소 9곳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 인증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442090.html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10.3 아황산가스 오염 '위험수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9-10-03&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10.3 '5.18 위증'본격수사 전씨등 7명... 15일께 이희성씨 소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10-03&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7.10.3 한국차 피해땐 wto제소/DJ 지지율 계속 상승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7-10-03&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10.3 안기부 조직적 개입흔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10-03&officeId=00028&pageNo=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