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542 서애 유성룡 출생"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1542.11.7일생
https://ko.wikipedia.org/wiki/%EB%A5%98%EC%84%B1%EB%A3%A1
설민석 선생님
400년 전의 반성문 징비록, 류성룡이 없었다면 이순신은...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593 임진왜란으로 피란간 선조 한성으로 환도"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사진 - 조선왕조실록 선조 - 1593년 음력 10.1)
1407년(태종 7) 송도(松都) 영빈관(迎賓館)을 모방하여 서대문 밖에 건립, 모화루(慕華樓)라 하였다.
모화루 앞에 영은문(迎恩門)을 세우고, 남쪽에 못을 파 연꽃을 심었다.
1429년(세종 11) 규모를 확장 ·개수하고 나중에 모화관이라 고쳤다.
[네이버 지식백과] 모화관 [慕華館]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3954&cid=40942&categoryId=31667
3)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에는
"1945년 - 조선체육회(현 대한체육회) 발족(초대 회장 이병학)."이라고 나와 있지만
<위키백과>대한체육회(영어: Korean Olympic Committee, KOC[1], 大韓體育會)는
체육 운동의 범국민화 및 우수 선수 양성으로 국위 선양과 민족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1920년 7월 13일 전신인 조선체육회로 설립되어 대한체육회로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특수법인이며,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스포츠 단체를 총괄, 지도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방이동 올림픽회관)에 위치하고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C%B2%B4%EC%9C%A1%ED%9A%8C
<두산백과>
1920년 7월 13일 ‘건민(健民)’과 ‘저항’을 이념으로 창립한 조선체육회를 모체로 하여 출발하였다.
1920년 11월 4일 전국체육대회의 기점인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를 연 이후 종목별 전국대회를 주최하다가
1934년 종목별 경기대회를 통합하여 전조선종합경기대회를 열었다.
조선체육회는 1938년 7월 4일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으나, 1945년 11월26일 해방과 함께 부활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체육회 [Korean Olympic Committee, 大韓體育會] (두산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C%B2%B4%EC%9C%A1%ED%9A%8C
2015.9.22
[팩트TV] 국정감사 -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민체육진흥공단/대한체육회) 1부
4)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에는
"1953년 - 한미 상호 방위 조약, 미국 워싱턴 D.C.서 조인"이라고 나와 있지만
1953.9.30일입니다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53.9.30 한미방위조약 오늘 정식조인 국무성 대변인 언명 한국 중립화설은 미가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3093000329201001&officeId=00032
*.
방위조약은 9월 30일 체결
안보조약은 10월 1일 체결
5)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51 대한신문 발족"이라고 나와 있지만 링크도 없고
<두산백과>
1907년 이완용(李完用) 내각의 기관지로 발간되었던 친일신문.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신문 [大韓新聞]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769&cid=40942&categoryId=31755
이렇게만 나오죠.
1910
일본, 조선총독부 설치. 초대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 위키백과
<두산백과>
1905년(광무 9) 을사조약(乙巳條約)을 발판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장악한 일제는 통감부(統監府)를 설치하고
통감을 주재시켜 이른바 보호정치를 시행하다가 1910년에는 그나마 명목만의 대한제국의 국가체제를 강제로 해체하고
국권피탈을 단행하여 한반도를 일본의 영토로 편입시켰다.
일제는 이로부터 대한제국의 영토를 조선이라 개칭하였으며, 국가적 통치를 시행함에 따라 종래의 통감부를 폐지하고
이보다 강력한 통치기구를 두기 위해 칙령(勅令) 제319호로 조선총독부설치령을 공포하였다.
이에 따라 1910년 9월 30일 총독부 및 소속관서의 관제가 공포되어 10월 1일부터 조선총독부의 기능이 가동되었으며,
초대 총독에 앞서 통감으로 있던 육군대장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취임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총독부 [朝鮮總督府]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1874&cid=40942&categoryId=31667
지식채널e - 다시 돌아올 것이다 - 1부 침략자가 쓴 역사
지식채널e - 다시 돌아올 것이다 - 2부 사라진 역사들
1926
나운규 감독의 영화 《아리랑》, 단성사서 개봉. - 위키백과
IU - Arirang | 아이유 - 아리랑
1942
조선어학회 사건 - 두산백과
조선어학회 관련 학자들이 1942년 10월 1일부터 1943년 4월 1일까지 모두 33명이 검거되었고,
그리고 증인으로 붙잡혀간 사람도 48명이나 되었다. 이들은 검거과정과 취조과정에서 혹독한 고문을 당하였다.
일본 검사에 의하여 처벌 수준에 따라 분류되었는데,
이극로(李克魯)·이윤재(李允宰)·최현배(崔鉉培)·이희승(李熙昇)·정인승(鄭寅承)·정태진·김양수(金良洙)·김도연(金度演)·
이우식(李祐植)·이중화(李重華)·김법린(金法麟)·이인(李仁)·한징(韓澄)·정열모(鄭烈模)·장지영(張志暎)·장현식(張鉉植) 등
16명은 기소 처분되었고, 12명은 기소 유예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어학회사건 [朝鮮語學會事件]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1849&cid=40942&categoryId=31778
2006.10.9
지식채널e - 말모이 대작전
1949
대한민국 육군항공사령부가 국방부 항공국과 통합하여 대한민국 공군 창설. - 위키백과
1956
제1회 국군의 날 기념식 열림 - 위키백과
<두산백과>
10월 1일이다. 종전에는 육군기념일은 10월 2일, 해군기념일은 11월 11일, 공군기념일은 10월 1일 등
각 군별로 거행하였다. 이것을 1956년 9월 14일 국무회의에서
1950년 10월 1일 육군 3사단 23연대 병사들이 강원도 양양 지역에서 최초로 38선을 넘어 북진한 것을 기념하여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공포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군의 날 [國軍─]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6765&cid=40942&categoryId=32179
1987
세계저작권조약(UCC) 적용 - 타임라인 한국사앱
<두산백과>
베른조약은 국내법에 요구하는 사항이 많고 가입 전에 나온 저작물까지 소급해서 보호대상이 되는 반면
UCC는 상호주의 원칙에 의해 외국인이라도 자기나라에서 보호받는 것과 동일한 보호만 해주면 되고
조약가입 이전에 나온 저작물에 대해서는 보호의무가 없는 불소급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7년에 가입함으로써 1987년 10월 1일부터 이 조약의 적용을 받게 됐다.
[네이버 지식백과] 세계저작권조약 (매일경제, 매경닷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887&cid=43659&categoryId=43659
1996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최덕근 영사, 괴한에 피습 사망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10.3일자(10.1) 블라디보스토크 영사 피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10-03&officeId=00028&pageNo=1
1997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유네스코가 정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7.10.2일자 훈민정음-조선왕조실록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7-10-02&officeId=00032&pageNo=1
'조선왕조실록이란 무엇인가?' -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우리가 모르는 한글 이야기 - (주)크레듀 세리시이오
1997
개인 휴대통신 PCS 상용서비스 개시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매일경제 1997.10.1 PCS개통 7조시장 격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100100099101001&officeId=00009
2003
한국통신, 대한민국 사상 최대규모 5,500명 명예퇴직 실시 - 타임라인 한국사앱
오마이뉴스 2003-10-3일자
KT, 5500명의 대규모 명예퇴직을 보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146483
프레시안 2014-4-8일자
"이석채가 망친 KT, 대거 명예퇴직으로 뒷수습"
황창규發 구조조정 신호탄…전체 직원 72%가 명예퇴직 대상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16110
뉴스타파 - '노사 상생' KT?...쫓겨나는 직원들(2014.6.17)
2005
청계천 복원사업이 완료되었다 - 위키백과
경향신문 2015-9-30일자
[정리뉴스]청계천 복원 10년, 그리고 ‘잊혀진 사람들’
http://h2.khan.co.kr/201509301936361
뉴스타파 김진혁 미니다큐 Five minutes -
청계천 복원 사업이 성공한 이유(2015.8.26)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47.10.1 조선점령 미소양군 철퇴안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71001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8.10.1 '삼청교육대 학살' 책임자 처벌 촉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8-10-01&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4.10.1 시국경찰이 19% 범죄수사는 16% 민생 역부족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4-10-01&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7.10.1 0-157 검출파동 미국 네브래스카산 쇠고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7-10-01&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10.1 일 방사능 누출사고 연쇄핵반응 피해확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10-01&officeId=00028&pageNo=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