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136 묘청의 난 진압"이라고 나와 있지만
<위키백과>
묘청의 난(妙淸-亂, 1135년 1월 19일(음력 1월 4일) ~ 1136년)은
고려 인종 때 승려 묘청 등이 금국정벌론과
서경천도론이 개경 귀족들의 방해로 무산되자
서경(西京)에서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
군호(軍號)를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이라 하여
대위국(大爲國)을 선언하고 일으킨 반란이다.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주의 사학의 선구자인
단재 신채호는 묘청의 난을 두고
'조선역사상 1천년래 제1대 사건'이라 했다.
묘청의 난을 가리키는 요즘 이름으로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C%98%EC%B2%AD%EC%9D%98_%EB%82%9C
<국역 고려사> 1136년 2월
정사일. 김부식(金富軾)이 군사를 집결해 서경을 공격 함락시키자
2) 조광(趙匡)은 불에 뛰어들어 자결했다.
무오일. 김부식이 승리를 알리는 표문을 올렸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069&categoryId=49629&cid=49629
*. 1895 을미개혁 이전의 날짜는 음력이 기본입니다
[중학교 역사]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EBS(사회탐구)한국사-고려시대 문벌귀족이란? (3분44초~)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403 동활자 제조(태종3년)이라고 나와 있지만
조선왕조실록 1403년 2월 19일자(음력)에도 기록은 보이지 않고
다만 타임라인 한국사앱에 링크된 글에
"1403년 2월" 주자소의 명칭을 붙인
인쇄기관을 대궐안 아문으로 신설하고 승정원의 직속으로 하였다
이때 조선시대 최초의 구리 활자인 계미자가 만들어졌다"라고만
나와 있습니다
*. 구리활자 -> 동활자
<네이버 지식백과>
1403년(태종 3) 조선 최초의 구리활자인 계미자(癸未字)의 주조 이후,
1420년(세종 2) 경자자(庚子字), 1434년(세종 16) 갑인자(甲寅字),
1436년(세종 18) 병진자(丙辰字), 1450년(문종 즉위) 경오자(庚午字),
1484년(성종 15) 갑진자(甲辰字) 등 다양한 종류의 활자가 주조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활자인쇄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2004. 12. 31., 솔출판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123&cid=42955&categoryId=42955
1473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출생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5&contents_id=2193
자음과 모음 -
코페르니쿠스가 들려주는 지동설 이야기 1/3
1821
언어학자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6655&cid=40942&categoryId=33456
1887
소설가 물타툴리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5916&cid=40942&categoryId=33443
1895
독립운동가 최해 출생 - 두산백과(1895.2.19 ~ 1948.8.11)
<두산백과>
일명 해일(海日). 경상북도 울진에서 출생하였다.
1910년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1915년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졸업하고
동교 교관 및 흥업단(興業團) 간부 등을 역임하였다.
1919년 김좌진(金佐鎭) 등과 함께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를 조직,
여단장으로 청산리전투(靑山里戰鬪) 등에 참전(參戰)하였으며,
1923년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 총사령부관을 지냈다.
8·15 광복 후 귀국하여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 훈련원장으로 활약하였다.
1968년 대통령표창,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해 [崔海]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7488&cid=40942&categoryId=33384
최해 - 다음백과(1895.고종32.2.19 ~ 1948.8.11)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0c3321a
1897
수학자 카를 바이어 슈트라스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7775&cid=40942&categoryId=33456
1931
독립운동가 손정도 사망 - 위키백과(1872.7.26 ~ 1931.2.19)
그의 출생년도는 확실하지 않아 1872년생 설, 1881년생 설, 1882년생 설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6%90%EC%A0%95%EB%8F%84
손정도 - 다음백과(1872.7.26 ~ 1931.2.19)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2s2682a
손정도 - 두산백과(1881.7.26 ~ 1931.2.19)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4467&cid=40942&categoryId=33384
(사진 - 독립운동가 손정도 - 네이버캐스트 1882.7.26 ~ 1931.2.19)
1981
한전, 전남 영광군에 원전 7,8호기 기공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매일경제 1981.2.19 계마원전과 에너지 개발
CBS TV News 2012-7-30 영광원전 6호기 발전정지
민중의소리 2014-10-9
[정혜림의 1분] 삼척 주민투표 85% ‘원전반대’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49.2.19 UN한위,금일 삼팔선 시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90219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5.2.19 NYT 석방인사 고문,
더 타임즈 보도 전재 불면-구타-전기충격 번갈아가며 고문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2.19 재산등록 피하려 명의 변경 가능성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021900289101001&officeId=000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2.19 위안부 할머니 300회 집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02-19&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2.19 양심수 석방 요구 집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2-19&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 1936 독립운동가 신채호 사망 (0) | 2016.02.21 |
---|---|
[2.20] 2001 독립운동가/사학자 송남헌 사망 (0) | 2016.02.20 |
[2.18] 2003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0) | 2016.02.18 |
[2.17] 1869 독립운동가 이동녕 출생 1937 독립운동가 고이허(본명: 최용성) 사망 (0) | 2016.02.17 |
[2.16] 1945 독립운동가 윤동주 옥사, 1974 독립운동가 채원개 사망,2009 김수환 추기경 사망 (0) | 2016.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