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2.16] 1945 독립운동가 윤동주 옥사, 1974 독립운동가 채원개 사망,2009 김수환 추기경 사망

by 딧플 2016. 2. 16.


(사진 - 2월 16일 - 위키백과)




1)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992년 - 대한민국의 조각가 김경승."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위키백과>

김인승과 김경승 형제는 어릴 때부터 미술에 재능을 보였다 

국회의사당에 있는 이순신장군상과 세종대왕상을 조각했다. 

친일미술가가 독립운동가, 민족의 영웅을 조각하는 모순이 생겨났다 

1943년에는 추천 작가가 되었다. 추천 작가로서 출품한 작품까지 선전에 

총 다섯 점의 인물 조각 작품을 출품하였는데 마지막 작품인 

〈제4반〉(1944)이 애국반원인 조선 여성을 묘사하는 등 작품 전부가 

일제의 구미에 맞는 시국성을 띠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관변 조직으로 결성된 친일 미술인 단체 조선미술가협회에서 조각부 평의원을 맡기도 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미술 분야에 선정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A%B2%BD%EC%8A%B9

(사진 -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60 시인 기형도 출생"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 2월 16일(1960.3.13)생 입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A%B8%B0%ED%98%95%EB%8F%84


EBS 기획특강 - 기형도의 시 세계에 담긴 미감(taste) -문학평론가 조강석_#001

https://youtu.be/6LxA9oZaYEI



3)


위키백과에는

"1921년 - 조선의 신념형 친일파 민원식이 목수로 변장하고 찾아온 

독립운동가 양근환의 칼에 찔려 도쿄제국대학 병원에 이송되었다."

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독립운동가 양근식 - 네이버캐스트>

선생은 민원식과 같은 친일인사들이 참정권 청원운동을 벌인다는 것은 민족적 치욕이며, 

이런 자의 소행을 그대로 방치해 두면 장차 친일파가 더욱 창궐하여 

독립운동에 큰 방해가 될 것이라고 단정했다. 

그리하여 단연 그를 처단하기로 결심한 후, 

비수를 품고 민원식이 체재한다는 도쿄역 호텔 제14호실로 찾아갔다. 

1921년 음력 2월 16일 한낮이었다. 선생은 자신을 ‘이기령’이란 이름의 유학생으로 속이고 

면담을 요청하여 민원식과 쉽게 대면할 수 있었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12723
















1822

유전학자 프랜시스 골턴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2889&cid=40942&categoryId=32326




1923

물산장려회 발족 - 위키백과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20 조선 물산장려회 발족"이라고 나와 있지만


<위키백과>

1920. 평양 물산장려회 발족

1923. 1.9 서울 발기준비대회

1923. 2.16 3,000명 민족단체 참가 물산장려회 발족

(사진 - 물산장려회 강령 - 위키백과)


EBS(사회탐구)한국사-물산장려운동이란? 

http://youtu.be/EcfyTjWbGFQ




1926

안네프랑크 언니 마르고트 프랑크 출생 - 위키백과


'안네 프랑크'가 꿈꾸던 세상 / YTN

https://youtu.be/VJawSmqgl9g








1945

독립운동가 윤동주 옥사 - 위키백과(1917.12.30 ~ 1945.2.16)

https://ko.wikipedia.org/wiki/%EC%9C%A4%EB%8F%99%EC%A3%BC


윤동주 - 다음백과(1917.12.30 ~ 1945.2.16)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7a2060b


윤동주 - 두산백과(1917.12.30 ~ 1945.2.1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3201&cid=40942&categoryId=33384

(사진 - 독립운동가/시인 윤동주 - 네이버캐스트 1917.12.30 ~ 1945.2.16)



sbs 그것이 알고싶다 - 윤동주, 그 죽음의 미스테리 090815

https://youtu.be/5EiJMqDF3QY


여수mbc 2015-9-11 [특집다큐] 잊지 못할 윤동주

[특집다큐] 잊지 못할 윤동주 #1 https://youtu.be/T0QjYCBsGvs

[특집다큐] 잊지 못할 윤동주 #2 https://youtu.be/BxqC_9JaRCQ

[특집다큐] 잊지 못할 윤동주 #3 https://youtu.be/I-ZekMrQr9k


2013-2-27

[NocutView] 저항시인 윤동주의 중학생 모습은?

https://youtu.be/81_ECYIvHqY








1958

창랑호 납북 사건 - 위키백과








1974

독립운동가 채원개 사망 - 다음백과


<다음백과>

본관은 평강(平康). 일명 형세(衡世). 호는 거평(居平). 아버지는 병묵(秉默)이다. 

향리의 의명소학교를 졸업하고, 1910년 서울에 올라와 오성학교에 입학했으나 학교가 폐쇄되자 

1915년 조선보병대에 들어가 4년간 근무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으로 돌아와 

예준기(芮俊基)·이운서(李雲瑞) 등과 함께 모의, 3월 28일 군민을 규합하여 만세운동을 벌였다. 

이때 체포되었으나 탈옥하여 만주 류허 현 싼위안푸로 망명, 그곳에서 대한독립단 훈련부의 책임을 맡았다.


1920년 11월 국내로 들어와 영변군 고성면 부근에서 일본군과 교전했으나 중과부적으로 후퇴했다. 

1921년 김창환(金昌煥)·심용준(沈龍俊)·김이대(金履大) 등과 함께 통의부 대표로 상하이[上海]에서 

개최된 국민대표자대회에 참석했다. 

1922년 상해 임시정부의 지령으로 뤄양 육군강무학교에 파견되어 40여 명의 한국인 유학생 지도책임을 맡았으며, 

1924년 직봉전쟁이 일어나자 실전 경험을 위해 한국인 유학생들과 함께 참전했다.


1925년 임시의정원 평안남도대의원으로 보선되었으며, 같은 해 3월 임시대통령 이승만 탄핵안 심판위원에 피선되어 

이승만의 파면을 판결했다. 1926년 임시정부로부터 주만참의부 군무위원에 임명되었으며, 

이듬해 황푸 군관학교에 파견되어 한국인 유학생을 지도했다. 

1930년 중국육군 제59사 작전참모를 시작으로 이후 10여 년 간 중국군에서 고급장교로 복무했다. 

1940년 한국광복군이 창설된 이후에도 중국군의 작전에 참가하다가 

1942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총무처장으로 취임했다.

1943년에는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에 선임되었다. 

1944년 한국광복군 제1지대장이 되어 항일활동을 계속하다가 8·15해방을 맞아 1946년 12월 귀국했다. 

귀국 후 육군사관학교 3기특과를 나와 연대장·여단장·사단장을 거쳐 1950년 준장으로 예편했다. 

1968년 건국훈장 국민장을 받았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0c1932a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4.2.18일자 독립투사 채원개씨 별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4-02-18&officeId=00020&pageNo=1







1996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가 12·12 및 5·18 특별법에 대해 합헌 판결하다.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2.17 "5.18 특별법은 합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2-17&officeId=00028&pageNo=1


유네스코가 말하는 5.18의 진실

https://youtu.be/1pVgNtzDklY


[김현정의 뉴스쇼]조국 서울대 교수 "종편의 5.18 왜곡보도는 정치포르노"(20130520)

https://youtu.be/YrosD-_cqgY




2005

교토의정서 발효 - 위키백과


<위키백과>

1997년 12월 11일 일본 교토 시 국립교토국제회관에서 개최된 지구 온난화 방지 교토 회의(COP3) 

제3차 당사국 총회에 채택되었으며 2005년 2월 16일 발효되었다. 

정식 명칭은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규약의 교토 의정서

(Kyoto Protocol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5%90%ED%86%A0_%EC%9D%98%EC%A0%95%EC%84%9C




2009 

김수환 추기경 사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8%98%ED%99%98


김수환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3g1704a


한겨레신문 2009-2-17일자

김수환 추기경 선종을 애도하며 / 수경 스님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39377.html

(사진 - 김수환 추기경 - 네이버캐스트)



EBS 특집다큐멘터리, 2009년 2월 20일 사랑하라, 고맙습니다 인간 김수환 

http://youtu.be/aD3OZIoBBRg


mbc뉴스 - 518과 김수환추기경, 그리고 교황의 광주방문 

http://youtu.be/CiuR_p_kbhc


김수환 추기경이 생전에 밝힌 천주교의 구원관 (2001 04 27 도올의 '논어이야기58강' 중) 

http://youtu.be/l3F7aXJccSc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3.2.16 옥외집회도 색색인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3021600209201002&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1.2.16 주권옹호위한 공약 - 장면정부 한미경제원조협정 체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10216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9.2.16 이순자씨 30억 임야 소유의혹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021600209201003&officeId=000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