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862 진주민란 발발"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1862년 3월 14일
<위키백과> 1862년 3월 14일(음력 2월 14일) ~ 3월 23일(음력 2월 23일)
1861년 4월 29일 경상도우병사로 새로 부임한 백낙신의 학정은 백성들을
더욱 절망에 빠지게 했다. 그는 갖은 명목으로 거액의 세전(稅錢)을 강제 징수하여
사욕을 채워서 민읍(民邑)을 소란케 했다. 그는 6만 냥의 돈을 가호에 배정하여
죽은 이에게도 세금을 부과하는 백골징포의 만행을 저질렀고,
난민들에게 패악을 저질렀다 ---중략---
진주농민항쟁은 관군에 의해 곧 제압되었지만, 이 진주 민란의 영향은 심각하여 이후
삼남 일대엔 민란(임술민란)의 큰 홍수가 잇달아 휩쓸고 지나갔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C%A3%BC%EB%AF%BC%EB%9E%80
중2역사1[6-4]농민 의식의 성장과 농민봉기
(세도정치의 전개와 폐단,새로운 종교와 사상의 유행,농민 봉기의 발생)
2)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968 대한민국의 화가 김용진"이라고 나와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의
전쟁 승리를 기원하는 부채를 제작해 기증한 일이 있다
이 사실은 김승학이 작성한 친일파 명단에도 적혀 있다.
2008년 선정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미술 부문에 포함되었다.
3)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404년 - 이탈리아의 철학자, 건축학자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라고 나와 있지만
내용으로 들어가면 2월 18일생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Leon Battista Alberti, 1404년 2월 18일 ~ 1472년 4월 25일)는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의 철학자이자 건축가이다
1766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2211&cid=40942&categoryId=33450
1876
각각 전화에 대한 특허를 등록하다. - 위키백과
1895
1910
한국의 독립 운동가 안중근에게 사형이 선고되다.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A4%91%EA%B7%BC
(사진 -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15가지 이유 - 안중근/위키백과)
2008년 3월 25일 국제한국연구원은 안중근이
사형선고를 받은 2월 14일부터 순국한 3월 26일까지의 행적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공개하였다.
1910년 2월 14일 : 오전 10시 30분 뤼순 관동도독부 지방법원에서 사형 선고를 받음.
안중근은 당시 천주교 조선대목구(현재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뮈텔 주교에게 전보를 보내
사제를 보내줄 것을 요청함. 자신의 사형 집행일로 성금요일을 희망한다는 뜻을 전함.
1910년 2월 17일 : 안중근은 고등법원장을 면담하여 한 국가의 독립을 위한 의병장으로서의 행동을
살인범으로 심리한 것에 이의를 제기함.
1910년 3월 9일 : 고해성사를 조제프 빌렘 당시 황해도 천주교 신천본당 주임신부에게서 받음.
1910년 3월 10일 : 빌렘 신부의 집전으로 마지막 미사를 봉헌.
1910년 3월 25일 : 사형 집행 연기. 세계적으로 성탄절, 정월 초하루, 황제의 탄신일에는 사형이 없다는 관례와
대한제국내의 의병활동이 강하게 전개되고 있어 통감부에서 이를 고려, 사형을 연기 요청.
이날은 대한제국 황제 순종이 태어난 건원절이었음.이에 안중근은 면회를 온 두 동생에게 당부를 남김.
당부 내용은 노모의 안부를 묻고, 불효의 죄를 용서를 청하였고, 장남을 천주교 사제로 길러 달라고 부탁.
동생 안정근에게는 한국의 발전을 위해 공업 또는 식림 같은 한국을 위한 일에 종사토록 부탁.
1910년 3월 26일 : 오전 10시 사형 집행. 향년 32세. 참석자: 미조부치 검찰관, 구리하라 감옥장.
당시 안중근을 지원한 사람은 거부 최재형이었는데, 최재형은 안중근의 체포에 대비, 변호사와 상의할 정도로
안중근을 현실적으로 도왔다. 한편 안중근은 글씨가 뛰어나, 뤼순 감옥 수감 때 많은 유묵을 남겼고
보물 569호로 지정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다.
<안중근 평화재단/안중근 평화신문 - 동아일보 2016.2.14>
"안중근 의사 묘지는 뤼순감옥 동남쪽 야산"
우당 이회영 손자 이국성씨 주장,,,기존 추정지와 400m 차이
http://www.danji12.com/sub_read.html?uid=204
(사진 - 안중근의사 유해를 찾아라 - 이상호 기자)
고발뉴스 정윤희 곽현화의 빨간책
김삼웅 블로그 - '지나간 미래상' 안중근 평전을 쓰면서
http://blog.ohmynews.com/kimsamwoong/170048
EBS 특집 다큐 - 안의사 유해를 찾아라! https://youtu.be/wNOnXet2cdc
안중근의사 순국100주년 특별기획다큐 https://youtu.be/a5PKXG5nui0
아사히tv 1995.7 슬픈 테러리스트의 진실, 안중근(1995) https://youtu.be/s3gViezMO5s
大韓國人 안중근, 평화의 투쟁 https://youtu.be/7ev_sEhqCQc
역사채널ⓔ0017][2012 01 27] 네 개의 단서(안중근) http://youtu.be/2cinXUGtrjU
다듣사 - 18강 코레아우라 대한국인 안중근 https://youtu.be/mXwVJmibn8Q
민중의소리 2014.2.14
[발칙한뉴스] 안중근 사형선고일, 그리고 강기훈-부림사건 무죄
ebs 안중근 의사의 수의 https://youtu.be/CHMSmyczdEY
1943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6823&cid=40942&categoryId=34344
1946
세계 최초의 전자계산기 에니악이 만들어지다.- 위키백과
1947
민주주의자 김근태 출생 - 위키백과(1947.2.14 ~ 2011.12.30)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A%B7%BC%ED%83%9C
김근태 - 두산백과(1947.2.14 ~ 2011.12.3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1454&cid=40942&categoryId=33385
김근태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3g1493n11
민주주의자 고 김근태님에 대한 기록 간략 정리
http://cafe.daum.net/NAingyeo/OlGi/1367
팟캐스트 - 나는 잉여다
http://www.podbbang.com/ch/4317 (2014.1.22~ 1.29, 2.05 방송)
민주투사 김근태 1부. http://file.ssenhosting.com/data1/ingyeoin/kimkeuntae1bu.mp3
민주투사 김근태 2부. http://file.ssenhosting.com/data1/ingyeoin/kimkeuntaeuijang2bu.mp3
민주투사 김근태 3부. http://file.ssenhosting.com/data1/ingyeoin/kimkeuntaeuijang3bumajimag.mp3
한겨레신문 2011-12-30
‘민주화운동 대부’ 김근태 민주당 상임고문 별세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12606.html
'남영동 1985' 故 김근태 의원 헌정 영상
김근태의 유언
1948
1954
1979
3년만에 최저임금제 폐지 - 타임라인 한국사앱
<서울육백년사 연표 1979 2월 14일>
정부, 1976년부터 시행한 최저임금제 폐지. 기업별 지불능력에 따라 임금 지도방침 수립.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45108&cid=56780&categoryId=56780
2007
고려 왕릉급 무덤 강화도서 발굴(링크없슴) - 타임라인 한국사앱
(사진 - 고려 왕릉급 무덤 강화도서 발굴 - 구글검색)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47.2.14 "삼팔선은 미 외교의 실패"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70214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2.14 민정당안에도 보안법 폐지 주장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021400289101001&officeId=000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0.2.14 성직자 5백명 합당반대 시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0-02-14&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1.2.14 검찰 청와대 수사 "기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1-02-14&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2.14 노-사-정 협의안 변질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02-14&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6] 1945 독립운동가 윤동주 옥사, 1974 독립운동가 채원개 사망,2009 김수환 추기경 사망 (0) | 2016.02.16 |
---|---|
[2.15] 1875 독립운동가 노백린 출생1894 동학농민혁명 1차 고부봉기 발발 1960 독립운동가 조병옥 급서 (0) | 2016.02.15 |
[2.13] 1961 민족일보가 창간 1994 시인 김남주 사망 (0) | 2016.02.13 |
[2.12] 1968 퐁니·퐁넛 양민 학살 사건 (0) | 2016.02.12 |
[2.11] 1896 고종 아관파천 (0) | 2016.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