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11.29] 1920 독립운동가 강우규 순국 1954 사사오입 개헌 단행 1968 국문학자 이병기 사망 2004 시인 김춘수 사망
딧플
2016. 11. 16. 09:32
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07 흥사단 설립"이라고 나와 있고 위키백과를 링크해놓았지만
1907년에 설립한 흥사단의 자세한 날짜가 나와 있는 곳은 없습니다
<흥사단 - 두산백과>
1913년 5월 13일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민족운동단체.
[네이버 지식백과] 흥사단 [Young Korean Academy, 興士團] (두산백과)
<다음백과>
흥사단의 전신은 1909년 2월 국내에서 창립된 청년학우회였다.
흥사단은 1913년 5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강영소(姜永韶)의 집에서 안창호의 주도로
경기도 홍언(洪焉), 강원도 염만석(廉萬石), 충청도 조병옥(趙炳玉), 황해도 민찬호(閔燦鎬),
경상도 송종익(宋鍾翊), 평안도 강영소, 함경도 김종림(金宗林), 전라도 정원도(鄭源道) 등의
8도 대표를 포함한 25명의 발기인에 의해 창립되었다.
흥사단의 목적 조항은 '건전인격'과 '신성단결'을 위한 '무실역행'으로
'우리 민족 전도(前道) 대업의 기초를 준비함'을 표방했다. 그러나 행동강령은 정치운동을 초월하고
기본적인 민족부흥운동으로 발전할 것 등으로 결의했다.
<위키백과>
흥사단(興士團)은 1907년 유길준이 설립한 계몽단체였고,
1913년 5월 13일 안창호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재결성한 민족운동단체이다.
1907년 유길준이 조직한 흥사단은 1911년 조선총독부의 탄압으로 해체되었으나
유길준 사후 안창호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 조직을 부활시켰다
[눈TV] 흥사단, "애국가 작사자는 도산 안창호 선생" https://youtu.be/1M2iNb4qCeM
안창호 선생가족 부인 이혜련 자녀 필립 안, 수산 안, 필손, 수라,랄프
포럼21 - 항일독립운동의 빛 도산 안창호 http://youtu.be/DTNDs7PMGUI
CWiB 특집 다큐 : 이상명 박사와 함께 하는 도산 안창호 캘리포니아 기행 (www.cwibusa.com)
2)
위키백과에는
"2011년 제6차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는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를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선정하였다.
이로써 한국은 인류무형유산을 모두 14건 보유하게 됐다"라고 나와 있지만
2011년 11월 28일 등재입니다
뉴시스 2011-11-28일자
[종합]한산모시짜기, 줄타기·택견과 무형문화유산
1544
조광조 - 네이버캐스트
ebs이야기 한국사 7강 미완의 개혁군주 중종 이역
EBS(사회탐구)한국사-조광조와 기묘사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1643
작곡가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사망 - 두산백과
Monteverdi - Vespers, "Vespro della Beata Vergine"
John Eliot Gardiner, Palace of Versailles [HD]
1766
1797
오페라 작곡가 가에타노 도니체티 출생 - 두산백과
[오페라-한글자막]도니제티 사랑의 묘약(솔 오페라)
1898
1913
1915
리모컨 개발자 유진폴리 출생 - 두산백과
1920
독립운동가 강우규 순국 - 위키백과(1855.4.20 ~ 1920.11.29)
강우규 - 두산백과(1859.6.2 ~ 1920.11.29)
강우규 - 다음백과(1855(철종 6)∼1920.11.29)
*.
독립운동가 강우규 선생의 생년월일이 모두 다르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뉴스타파 김진혁PD 미니다큐 Five minutes - 역사를 잊은 민족 1부 새로운 유형의 통치자(2014.1.8)
뉴스타파 김진혁 PD 미니다큐 Five minutes - 역사를 잊은 민족 2부 우리 안의 전쟁(2014.1.22)
지식채널e - 독립운동가 강우규
1924
작곡가 자코모 푸치니 사망 - 두산백과
Turandot on the Forbidden City of Beijing (1998).
Giacomo Puccini's Opera on the original site
1954
이승만 사사오입 개헌 단행으로 장기집권 기도 - 타임라인 한국사앱
<두산백과>
1954년 11월 29일, 집권당 자유당이 사사오입의 논리를 펼치며 정족수 미달의
헌법개정안을 불법으로 통과시킨 2차 헌법 개정. 제3대 민의원선거(1954년 5월 20일 실시)에서
자유당은 원내 압도적 다수석을 확보했는데, 목표로 했던 개헌정족수 136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그러자 초대 대통령만은 중임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헌법개정안을
자유당 의원과 무소속 의원 서명하에 국회에 제출하였다.
많은 국민적 관심 속에서 진행된 개헌안 과정은
여야의 사활을 걸 만큼 신경전이 치열했으며, 11월 27일 국회 표결에 부쳐지게 된다.
그 결과, 참여한 203명 가운데 찬성 135표, 반대 60표, 기권 7표가 나와 개헌정족수에 1표가 부족해
부결이 선포되었다. 그러나 자유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이틀 후인 29일에 사사오입이라는
이상한 논리를 펼치며 개헌안이 가결되었음을 선포하였다. 역사적으로 사사오입 개헌은 헌법 정신에
위배되는 위헌적인 개헌일 뿐만 아니라 자유당 소속 소장파의원 12명이 한꺼번에 탈당하는 소동을 낳기도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사오입 개헌 [四捨五入改憲] (Basic 고교생을 위한 정치경제 용어사전, 2002. 9. 25.,
(주)신원문화사)
사사오입 개헌(四捨五入改憲)은 대한민국의 제1공화국 시절의 집권 세력이었던 자유당이
사사오입(반올림)을 내세워 당시 정족수 미달이었던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대한민국 헌법 제3호가 제정된 사건이다.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54.11.29 개헌안 부결! 일괄표결결과
[개헌의 역사1] 이승만과 사사오입 선거
1968
국문학자 이병기 사망 - 두산백과
1968
서울시,69년만에 전차 퇴역 - 타임라인 한국사앱
(69년 -> 70년)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8.11.30일자 전차여 안녕...70년의 풍물지 남기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68-11-30&officeId=00032&pageNo=1
1979
수원 성곽 복원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9.11.29 옛모습 찾은 수원성 32억 들여 4년만에 복원 준공
[문화유산 코리아] 조선 최후의 신도시, 최첨단 전투요새, 수원화성
2004
시인 김춘수 사망 - 위키백과
김춘수 - 다음백과
권규호의 당신이 몰랐던 문학 [김춘수] 꽃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5.11.29 만여명 동척 소작민과 무장경관대의 대 충돌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0.11.29 사회불안 우려있는 집회시위금지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3.11.29 농촌-도시 총체적 위기 불러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11.29 5.18 공범도 시효정지 전원처벌 특별법 추진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6.11.29 남대문->숭례문,동대문-> 흥인지문 문화재 제이름 찾았다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11.29 사형제도 합헌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