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9] 1790 순조 출생 1905 일본과 미국 간에 가쓰라-태프트 밀약 1974 미하원 법사위 '닉슨 탄핵안 가결"(7.28)
*)
위키백과 문화란에는
"1954년 - 반지의 제왕의 첫 책인 《반지 원정대》가 영국에서 출간되다."라고 나와 있지만
내용으로 들어가면
"초판은 1954년 7월 24일 영국에서 두 권으로 출판되었다."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A7%80_%EC%9B%90%EC%A0%95%EB%8C%80
EBS 자연 다큐멘터리_야생의 조선곡 호랑이 1부
EBS 자연 다큐멘터리_야생의 조선곡 호랑이 2부
1790
순조 출생(정조의 차남) - 위키백과
1800년부터 1834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1800년부터 1803년까지 계적증조할머니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金氏)가 섭정을 하였고
1803년부터 이듬해 1804년까지 장인 김조순(金祖淳)이 섭정을 하였으며
1804년부터 1827년까지 친정을 하였고
1827년부터 1830년까지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가 대리청정을 하였으며
1830년 아들 효명세자가 훙서(薨逝)하자 다시 친정을 하였고 그 친정 체제는
1834년 붕어(崩御)할 때까지 이르렀다.
정순왕후 김씨 - <두산백과>
정조의 장례가 끝나자마자 사도세자에게 동정적이었던 시파인물들을 대대적으로 숙청하였다.
이때 정조의 이복동생 은언군 인(恩彦君)과 정조의 친모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의 동생인
홍낙임(洪樂任) 등은 처형되었다. 다음해에는 격렬한 천주교 탄압을 일으켜 정약용(丁若鏞) 등의
남인(南人)들을 축출하고, 국왕 친위부대인 장용영(壯勇營)을 혁파하는 등
정조가 수립한 정치질서를 부정하였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0570&cid=40942&categoryId=33383
1856
Schumann - Traumerei, 슈만-트로이메라이
1883
파시스트 베니토 무솔리니 출생 - 위키백과
시사통 김종배입니다 [14.04.22.pm] 일베, 증오, 그리고 파시즘
1890
[책 읽는 토요일 - 서천] 반 고흐와 고갱, 근대 세계를 넘고자 했던 예술가(이택광 교수)
1905
일본과 미국 간에 가쓰라-태프트 밀약이 맺어지다.-위키백과
이 밀약은 대한제국에 대한 일제의 식민지배와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식민지배를 상호 양해한
일종의 신사협정이었고, 이 합의로 대한제국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차단한 일제는
같은 해 11월 대한제국에 을사조약을 강요했으며, 미국은 이를 사실상 묵인했다.-<위키백과>
EBS(사회탐구)한국사-1차 한일협약 이후 2차 한일협약전까지 국내상황은 어떻게 전개되나?
1906
문화재 수집가 전형필 출생 - 위키백과(1906.7.29~1962.1.26)
*.
위키백과에는
'1906.7.29일'로 생일을 표기하면서도
생애부분에 "1907년 서울의 대부호의 아들로 태어났다."로 표기했지만
경력부분에는 다시 "1906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4가 112번지에서 중추원의관
전영기와 밀양 박씨 사이의 차남으로 출생,"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2011-2-28 지식채널e - 바보같은 남자
1942
1947
에니악(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omputer; ENIAC) 작동시작 -위키백과
1964
계엄령(6월3일~)해제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4.7.29 해엄의 밤에 열린 본사 정치부 기자 좌담회 "계엄 두달의 고비를 넘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72900329203001&officeId=00032
1970
Brahms Symphony No.3 (3rd movement) - Barbirolli
1994
(1964년 비타민 B12의 구조를 결정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도로시 호지킨 104주년 구글로고
2000
2009
삼성 특검:삼성SDS 신주인수권부사채 저가 배정 사건으로 기소된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에 대한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6년에 벌금 3000억원이 구형됐다.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9-8-20
조준웅 특검 ‘삼성SDS 판결’ 재상고 포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72184.html
경향신문 2009-7-29
이건희 파기환송심서 징역 6년·벌금 3000억원 구형
http://news.khan.co.kr/kh_news/art_print.html?artid=20090729162137A
뉴스타파 - 삼성의 ‘꼼꼼한’ 3대 세습(2014.12.5)
뉴스타파 - 삼성의 영업비밀(2014.12.9)
2013-11-13
[팩트TV] 이작가의 결정적 순간 24회-삼성의 사카린 밀수 사건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34.7.29 함북 노농협회 사건 간부 십육명 송국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4072900209105001&officeId=00020
*.
농민의 생활조건·사회적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한 사회운동. 3·1운동으로
정치적·사회적 각성을 한 농민은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반일민족운동의 주체로 성장,
소작쟁의를 중심으로 농민운동을 전개했다.
소작쟁의의 원인은
토지조사사업으로 인한 농민의 토지 상실, 소작인화, 소작료 고율화,
소작권의 불안정, 중간수탈 심화, 공과금 부담 과중,
총독부 및 일본인 지주에 대한 저항심 등이며,
농민운동의 조직화에 힘입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다.
초기에는 면 단위의 소작인조합 같은 자발적인 조직으로 출발,
22년경에는 30여 개의 소작인조합이 있었고, 33년에는 1,301개로 증가했다.
분산적으로 조직된 소작인조합은 조선노동공제회와 연결되었고,
노동공제회는 지부에 농민부·소작인부를 두어 소작쟁의를 지도했다.
노동공제회 해체 후에는
조선노농총동맹의 지도를 받았으며, 노농총동맹이 분리됨에 따라,
27년 농민운동의 전국적 중앙조직인 농민총동맹이 발족되었다.
이 농민총동맹은 32개 산하단체 2만 4천여 명을 회원으로 했다.
이와 함께 농민단체는 종전의 남부지방 중심에서 벗어나 북부지방에까지 확대되었고,
소작인조합은 자작농을 포함하는 농민조합으로 개편되었다.
당시 농민들은 민족해방 없이는 자신들의 처지가 개선될 수 없음을 확신하고,
다른 정치·사회운동과 긴밀히 연대하여 일제와 투쟁을 벌여나갔다
[네이버 지식백과] 농민운동 [農民運動] (한국근현대사사전, 2005. 9. 10., 가람기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988&cid=42958&categoryId=4295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56.7.29 초유의 의원데모 단행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6072900209201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58.7.29 군의 선거간섭을 논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0729003291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0.7.29 12년만에 던지는 깨끗한 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00729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4.7.29(7.28) 미하원 법사위, 닉슨 탄핵권고안 가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72900329201003&officeId=00032
[타박타박 세계사 4/8] 불법사찰의 대명사, 워터게이트는 어떤 사건인가?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6.7.29 학생처벌 강경 일변도 아닌가/손기정씨의 그리스 투구 돌아온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72900209205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8.7.29 공무원 노동관계법 개정 추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8-07-29&officeId=00028&pageNo=1
한겨레신문 사설- 홍세화의 빨간신호등 : 불편하지만 지지합니다 99.5.24
http://www.hongsehwa.pe.kr/?mid=signalrouge&page=13&document_srl=5833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3.7.29 관제탑 착륙불가 통보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3-07-29&officeId=00028&pageN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