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1881 독립운동가 김규식 출생 1960 2.28 대구 학생의거 1978 (안창호선생 맏아들) 안필립 사망
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478 동문선 130권 편찬(성종9년)"이라고 나와 있지만
날짜는 ...? 조선왕조실록 해당 음력날짜에도 없고...
(사진 - 1478년 음력 2월 28일자 -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두산백과>
1478년(성종 9) 서거정(徐居正)등이 어명을 받들어 편찬된 역대 시문선집.
130권, 목록 3권, 합 45책 활자본 · 목판본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시문을 뽑아
엮은 것으로 당시 대제학이던 서거정(徐居正)이 중심이 되어
노사신(盧思愼) · 강희맹(姜希孟) · 양성지(梁誠之) 등을 포함한 찬집관(纂集官) 23인이
작업에 참여하였다. 《동문선》은 이 책 이외에
또 신용개(申用漑) 등에 의하여 편찬된 것과 송상기(宋相琦) 등에 의하여 편찬된 것 등
세 가지가 있는데, 서거정의 것을 정편 《동문선》, 신용개의 것을 《속동문선》,
송상기의 것은 신찬 《동문선》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동문선 [東文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732&cid=41708&categoryId=41711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897 인천 전보국 설치(링크없슴)"이라고 나와 있지만
<네이버지식백과>
전보사관제는 전보기관의 기능, 직제 및 신설 등을 규정하여 전선 확장을 추진할 근거가 되었다.
전보사관제에 정한 전보사는 모두 36개소였는데, 이 가운데 1889년 말까지 개설하여 업무를
개시한 곳은 서울·개성·평양·의주(1896년 7월)·인천(1897년 3월)·원산(5월)·공주·
삼화(지금의 진남포. 11월)·전주·무안(12월)·대구·부산(1898년 5월)·안주(8월)·
금성(1899년 6월)·옥구(7월)·창원(8월)·운산·함흥·해주(12월) 등 모두 19개 전보사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보사 설치 [電報司 --]
(기록으로 본 한국의 정보통신 역사 1, 2012. 8. 3., 진한엠앤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2153&cid=42348&categoryId=42349
<한국 근현대사 사전> 전보국
조선 말 통신사무를 맡아본 관청. 1885년(고종 22) 9월 28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서울~인천 사이에 전신이 개통된 것을 계기로 서울에 한성총국,
인천에 분국을 설치하고, 뒤이어 평양·의주에도 분국을 두었다.
당시의 전신시설은 청나라의 기기와 장비·기술에 의해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기술요원 대부분도 중국인이었다. 전신업무는 한문·영문·불문의 전보만을 취급하고 한글은 없었다.
1895년(고종 32) 우정국(郵政局)이 다시 생기자 보통서신의 우편까지도 전보국에서 취급했으며,
1897년에는 전보사(電報司)로 이름을 바꾸었고, 1905년 통신원(通信院)에 이관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보국 [電報局] (한국근현대사사전, 2005. 9. 10., 가람기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560&cid=42958&categoryId=42958
3)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2005년 - 대한민국의 화가 장우성."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입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미술 부문에 선정되었다.
2005년 서울대학교 교내 단체가 발표한 '서울대학교 출신 친일인물 1차 12인 명단'에도 들어 있다
친일 행적과 관련하여 그가 그린 유관순의 표준 영정을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으며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가족들은 장우성이
"일제시대 화가로 입문하기 위해 상을 받고 활동을 했을 뿐"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미디어오늘 2005-3-1
월전 장우성 타계와 친일보도
[온라인 기자칼럼] 친일행적 침묵하면서 식민통치 비판하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863
1452
황희 정승 사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9%A9%ED%9D%AC
청백리 황희? 실상은 '알짜배기' 탐관오리였다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29131
황희 정승은 청백리? 그 아들들은 간 큰 도둑? - 미디어다음/오마이뉴스
1533
사상가 미셸 몽테뉴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418&cid=40942&categoryId=33460
고전읽기 - 몽테뉴의 수상록 1편 (2014.07.14) http://youtu.be/raaBYQvaFbk
고전읽기 - 몽테뉴의 수상록 2편 (2014.07.15) http://youtu.be/WF_bVwxJsHI
1881
독립운동가 김규식 출생 - 위키백과(1881.2.28 ~ 1950.12.10)
http://ko.wikipedia.org/wiki/%EA%B9%80%EA%B7%9C%EC%8B%9D
김규식 - 두산백과(1881.1.29 음력 ~ 1950.12.1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2099&cid=40942&categoryId=33384
김규식 - 다음백과(1881 고종18 ~ 1950)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3g1487b
(사진 - 독립운동가 김규식 1881.1.29 음력 ~ 1950.12.10)
1901
물리화학자 라이너스 폴링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8717&cid=40942&categoryId=34352
1960
경북고는 일요일인 이날 등교지시를 내린다. 사유는 3월에 있을 중간고사를 앞당겨 친다는 사유였다.
대구시내 다른 국공립 고등학교 7개 역시 일요등교를 지시 한다. 사유는 토끼사냥, 영화관람과 같은
황당한 이유도 있었다.
1960년 2월 27일 오후 대구 동인동 이대우 경북고 학생부 위원장 집에 경북고, 대구고,
경북대부속고 학생 8명은 부당한 일요등교 지시에 항의를 하기 위해 시위를 조직했고,
'백만 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해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는 결의문도 작성했다.
2월 28일 오후 1시 학생 800여 명이 대구 반월당을 거쳐 도청으로 가는 과정에서
다른 학교 학생들이 합류하며 시위대는 커졌고 도중에 유세장으로 가던 장면 박사를 만났을 땐
'만세'를 부르기도 했다.
당시 도지사는 학생들에게 "이놈들 전부 공산당"이라고 한 반면,
시민들은 구타당하는 학생을 경찰에게 달려들어 말리고 박수를 쳤고,
치맛자락에 모자를 감춰 학생을 숨겨주는 부인이 대부분이었다.
1200여명의 학생이 시위에 참여를 했고 그 중 120여명이 경찰에 체포된다.
하지만 경찰은 시위가 번질 것을 우려해 주동자 일부를 제외 하고 대부분 학생을 석방하게 된다.
1973
고교평준화조치(링크없슴)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3.3.1일자 내년부터 달라질 대-고교입시제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3-03-01&officeId=00020&pageNo=1
1975
시인 한하운 사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D%95%98%EC%9A%B4
1976
시외버스 춘천호에 추락 32명 익사(링크없슴)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6.3.1일자 춘천호에 버스전락...32명 익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6-03-01&officeId=00020&pageNo=1
1978
안창호선생 아들 안필립 사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D%95%84%EB%A6%BD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8.3.2일자 안창호 선생 장남 필립 안 별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8-03-02&officeId=00032&pageNo=1
1987
평화의 댐 착공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7.3.2일자 5천만의 정성... 수공음모 분쇄"발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7-03-02&officeId=00032&pageNo=1
[팩트TV] 이작가의 결정적 순간 34회-금강산 댐 수공위협
1994
수학능력시험 년 1회 실시,
95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선안 발표(링크없슴)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4.3.1일자 수능 11월 23일 한번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4-03-01&officeId=00032&pageNo=1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9.2.28 재연한 각지의 반일운동 (중국)정부지원하에 상해배일축일격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9022800209201001&officeId=00020
중국의 배일운동으로 일본회사의 어려움을 겪고있슴을 언급하는 동아일보 기사.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7.2.28 미국무성 한국전 비사 공개 "원폭사용 6차례 검토"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9.2.28 60년만에 공개되는 일제의 애국지사 학살현장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4.2.28 '동학 고부봉기' 재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4-02-28&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2.28 원불교 대안학교 2곳 문연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02-28&officeId=00028&pageN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