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링크된 위키백과에는
"1896 시인 김억"이라고 나와 있지만
<위키백과>
김억(金億, 일본식 이름: 岸曙生, 1896년 11월 30일 ~ ?)은 한국의 시인이다.
호는 안서(岸曙), 본관은 경주, 본명은 김희권(金熙權)이며 호를 따라 김안서(金岸曙)로도 종종 불린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사한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죽음을 애도하는
내용의 〈아아 야마모토 원수〉(1943) 등 친일 시를 발표했다.
친일 저작물 수는 시 4편을 포함하여 총 6편이 밝혀져 있다.
국민총력조선연맹과 조선문인협회, 조선문인보국회 간부를 지내기도 했다.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민족문제연구소가 2008년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문학 부문에 선정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그리고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생년(1896.음력 10.30)을 미루어보면 1896년 12월 4일생입니다
1835
톰소여의 모험의 작가 마크 트웨인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1086&cid=40942&categoryId=40525
책 읽어주는 사서 - 인간이란 무엇인가 / 마크 트웨인 (2011.08.02)
톰소여의 모험♧ 제6화 - 허크의 별장 짓기 (상) https://youtu.be/Is1BJ8DKqGE
톰소여의 모험♧ 제6화 - 허크의 별장 짓기 (하) https://youtu.be/tp1N0gHegsA
1858
음악가/화가/작가 로자 마이레더 출생 - 위키백과
(사진 - 로자 마이레더 오스트리아 지폐 - 위키백과)
1874
빨강머리앤의 작가 루시 모드 몽고메리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329&cid=40942&categoryId=32969
1986-03-31 빨강머리 앤 - 영원한 맹세
1874
윈스턴 처칠 출생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5&contents_id=118
1900
극작가 오스카 와일드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9234&cid=40942&categoryId=40488
EBS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 - 문화 예술과 윤리
Q : 플라톤의 절대적 도덕주의와 오스카 와일드의 절대적 심미주의 관점의 비교는?
1905
고종의 시종무관장 민영환, 을사조약 체결을 개탄하며 자결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AF%BC%EC%98%81%ED%99%98
민영환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8m2125b
민영환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6911&cid=40942&categoryId=33383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사이불사, 2천만 동포에게 죽음으로 남긴 애국정신 계정 민영환
1946
이작가와 이박사의 이이제이 106회 보도연맹 특집 http://youtu.be/5pR0CHSIts8
이작가와 이박사의 이이제이 105회 서북청년단 특집 http://youtu.be/NB7Rb4QBLRg
1954
지휘자/작곡가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8883&cid=40942&categoryId=34378
Wilhelm Furtwangler "Symphony No 3" Beethoven (2. Mov.) 1944
1972
남북조절위원회 개최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2.12.1일자 남북조절위원회 발족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2120100329201004&officeId=00032
1980
언론 통폐합 단행. TBC 동양방송, DBS 동아방송 고별방송.-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0.11.29 종방 동아방송 고별특집프로 30일 새벽5시~밤 12시까지 19시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112900209205001&officeId=00020
2014-1-22
[팩트TV] 이작가의 결정적 순간 32회-1980년 언론통폐합 사건
1987
115명 탄 KAL기 폭파사건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호외 1987.11.30 115명 탄 KAL기 추락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매일경제 1988.1.15일자 KAL기 폭파 김정일 지령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8.1.15일자 마유미는 북한 외교관 딸 김현희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9.4.25 김현희에 사형 선고(1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042500329201003&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0.3.28일자(3.27일 선고) 김현희 사형 확정(상고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32700289101001&officeId=000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0.4.13일자(4.12일) 김현희 특별사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41300289101001&officeId=00028
라디오 반민특위 KAL858기 사건 종합편 - 4'32"02 http://youtu.be/mPeZyMtz5CM
[KAL858특집] 김현희와 일본의 수상한 관계1부 http://www.youtube.com/watch?v=KcAZLogOqSg
[KAL858특집] 김현희와 일본의 수상한 관계2부 http://www.youtube.com/watch?v=aUKS9Q5mLWE
KAL858기 사건 - 믿을 수 없는 김현희의 진술들 http://www.youtube.com/watch?v=j__YFG8gVmc
이박사와 이작가의 이이제이 - KCIA 2 청소년편 http://youtu.be/jg-0pJrSQ4U?
1998
전라북도에서 전북원음방송 개국.- 위키백과
(사진 - 원음방송 - 위키백과)
<위키백과>
1998년 11월 30일 원불교 중앙본부가 위치해 있는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개국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C%9D%8C%EB%B0%A9%EC%86%A1
1999
통합방송법 통과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12.1일자 방송법안 5년만에 통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120100289102001&officeId=00028
2002
(사진 - 신효순/심미선 - 현재는 사진이 빠진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15-6-11
신경림 시인, 효순·미선 13주기 추모시 ‘다시 그날은 오는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95674.html
한겨레21 2002-8-9
반미 몸으로 말한다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5842.html
연합/미디어다음 2015-6-12
美장갑차에 숨진 미선·효순양 13주기 추모행사 열려
http://media.daum.net/society/all/newsview?newsid=20150612212507961&RIGHT_COMM=R5
[국민TV] 미선·효순 사건 13주기…SOFA 개정 지지부진 (2015.06.12)
2012.6.13 효순이,미선이 10주년이나~장갑차 언니의 눈물 (2002)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3.11.30 조선인참살 자경단원 121명중 실형을 가한자는 근히 18명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3113000209203001&officeId=00020
<관동 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사건 - 네이버/두산백과>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9분, 도쿄를 중심으로 한
관동 지역 이래에 진도 7.9급의 초강력 지진이 발생하였다
사회 불안 속에서 유언비어가 난무하는 이상한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유언비어 속에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킨다.', '조선인이 방화하였다.',
'우물에 조선인이 독을 넣었다.'는 등의 근거도 없는 낭설이
경찰 조직의 비상 연락망을 통해 확대되면서 자경단이나 경찰관에 의해서
조선인과 조선인으로 의심받았던 중국인이나 일본인까지도 학살당하는 비극이 발생하였다.
살해된 수는 정확하지 않지만 3000명에서 6000명까지 이야기되고 있고, 그 이상이라는 설도 있다.
이러한 학살 사건은 대부분이 불문에 부쳐지고 아직까지도 진상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사실로 존재하고 있다.
식민지 조선에서 좀 더 윤택한 생활을 위해 일본으로 건너 갔던 초기 이주자들과 소수이기는 했지만
소중한 인재였던 조선인 유학생들이 그 재난의 희생자가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관동 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사건 (일본사, 2009. 4. 20., 미래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08012&cid=42997&categoryId=42997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1.11.30 윤상군은 체육교사가 유괴 살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1-11-30&officeId=00032&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8.11.30 "12.12는 신군부세력 반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8-11-30&officeId=00032&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11.30 그법 그버릇 한술 더뜬 '구속남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11-30&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2] 1926 소설가 박경리 출생 (0) | 2015.12.03 |
---|---|
[12.01] 1917 판소리 명창 김소희 출생 2005 사회운동가 김영욱 사망 (0) | 2015.12.01 |
[11.29] 1920 독립운동가 강우규 순국 1954 사사오입 개헌 단행 1968 국문학자 이병기 사망 2004 시인 김춘수 사망 (0) | 2015.11.29 |
[11.28] 1941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 제정 공포 (0) | 2015.11.28 |
[11.27] 1921 시인 김수영 출생, 1989 국어학자/독립운동가 이희승 사망 (0) | 2015.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