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859 백암 박은식 출생"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B0%95%EC%9D%80%EC%8B%9D
대한사람 박은식 STB상생방송
2)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에는
"1910년 - 일본, 조선 토지 조사 사업 착수"라고 나와 있지만
<두산백과>
일본이 조선토지조사사업을 처음 계획한 것은 을사조약(乙巳條約)이 맺어지고 통감부(統監府)가 설치되었을 때부터로,
1910년 3월 토지조사국을 설치하여 국권피탈과 함께 한국토지조사국의 사무를 조선총독부로 이관,
총독부 안의 임시토지조사국에서 전담하였다. 조선총독부는 1개월간의 준비조사를 거쳐,
1911년 11월 지적장부 조제에 착수하여 1912년 3월 조선부동산등기령과 조선민사령, 동 8월 토지조사령,
1914년 3월 지세령, 동 4월 토지대장규칙, 1918년 5월 조선임야조사령 등을 공포함으로써
전국적으로 토지조사사업이 본격화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토지조사사업 [土地調査事業]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3180&cid=40942&categoryId=31904
<다음백과>
한일합병 이후 일제는 1910년 9월 기존의 토지조사국을 폐지하고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을 설치하여 토지조사 및 토지소유에 관한 법령을 정비했다.
조선삼림령(1911. 6), 관유재산관리규칙(1911. 7), 역택지수입수납규정(1911. 10),
조선민사령·조선부동산증명령·조선부동산등기령(1912. 3),
토지조사사업의 기간법령인 '토지조사령'(1912. 8) 등을 공포하여 본격적으로 사업을 개시했다
토지소유권조사는 토지의 소재·지목·지번·지적·소유권자를 조사하고 각 필지의 위치 및 형상을 지적도에 표시하는 것이었는데,
준비조사·1필지조사·분쟁지조사로 진행되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9j2548a
EBS(사회탐구)한국사-일제가 시행한 토지조사사업이란?
3)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에는
"1948 국회 한글전용법안 가결"이라고 나와 있지만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48.10.9일자 "한글전용법은 지난 10월 1일 국회에서 통과" 8일 공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8100900209202001&officeId=00020
1948년 10월 9일 ‘한글전용에관한법률’[제정 1948.10.9 법률 제6호]을 제정
세계언어학자가 바라 본 한글
4)
위키백과에는
"1963년 - 이준(李儁)의 유해, 56년 만에 네덜란드서 귀환해 서울 수유리에 안장"이라고 나와 있지만
<네이버캐스트>
선생의 유해는 순국 후 55년만인 1963년 10월 4일에 조국의 품 안으로 모셔와 온 국민의 애도 속에 국민장을 치른 후
서울 수유리 선열묘역에 안장하였다. 1964년에는 서울 장충단 공원에 열사의 동상을 건립하였으며
1972년에는 헤이그 묘소에 열사의 흉상과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4334
독도- 헤이그 특사(한글)
1791
오페라 《마술 피리》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초연되다.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88%A0%ED%94%BC%EB%A6%AC
EBS 오페라 하우스 마술피리
1885? 1887?
독립운동가 박서양 출생 - 위키백과(1885.9.30~1940.12.15)
https://ko.wikipedia.org/wiki/%EB%B0%95%EC%84%9C%EC%96%91_(1885%EB%85%84)
박서양 - 두산백과(1887.9.30~1940.2.1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82511&cid=40942&categoryId=34368
1905
물리학자 네빌 모트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3910&cid=40942&categoryId=34348
1946
제2차 세계 대전 전범 처벌을 위한
뉘른베르크 전범(戰犯)재판에서 12명의 나치 지도자에게 사형 선고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00176&cid=43082&categoryId=43082
지식채널e - 그가 유죄인 이유
아베 면전에서 日 역사 인식 꾸짖은 메르켈 / YTN
1951
미생물학/의학자 배리 마셜 출생 - 두산백과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 이 위 속에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입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35185&cid=40942&categoryId=34356
1961
유럽경제협력기구(OEEC),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로 확대개편.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09651&cid=42380&categoryId=42380
1969
심리학자 바틀릿 사망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8b3362a
1981
독일 바덴바덴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84차 총회,
제24회 하계올림픽 개최지를 서울특별시로 선정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1.10.1일자(9.30) 88년 올림픽 서울서 연다
1990
대한민국 - 소비에트 연방 수교, 85년 만에 국교 정상화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0.10.1일자 한-소 내년 1월 대사관 교환개설/'85년만의 수교'합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0-10-01&officeId=00028&pageNo=1
1999
미국 AP통신, 한국 전쟁 당시 미군의 노근리 양민 학살사건 첫 보도.-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9.30 "노근리 피난민 적으로 간주 사살하라" 미군 양민학살 공식문서 확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93000289101001&officeId=00028
한겨레21 2000-8-2
진실만 캐라, 진실만!
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159.html
1950년 7월 26일의 기록
노근리 사건은 사실(史實)이다. 그러나 아직 우리 역사의 정사, 그 어느 페이지에도 기록돼 있지 않다.
노근리 사건 대책위의 주장을 토대로 당시 사건을 재구성해보자.
사건은 1950년 7월26일 정오께. 당시 충북 영동군 황간면 주곡리, 임계리 등지의 피난민들이 황간면 서송원리를 지날 때였다.
미군 5∼6명이 나타나 피난민들을 경부선 철로로 인솔했다. 노근리에 이르자 소지품 검사를 했다.
그러다 미군 통신병이 어디론가 전화를 걸고, 얼마 뒤 미군 전투기가 날아와 피난민들에게 폭탄을 터뜨리고 기총사격을 가했다.
많은 사람이 죽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쌍굴다리 안으로 달아났다.
미군은 이날 오후 3시께부터 29일 새벽까지 무려 60시간 동안 쌍굴 양쪽에 기관총 진지를 구축하고
사람이 나오면 무조건 사살했다. 나중에는 아예 입구에서 마구 쏴댔다. 어린아이, 노인 할것없이 죽어갔다.
아비규환의 지옥이 따로 없었다. 몇명이 야음을 틈타 쌍굴을 탈출했고, 쌍굴 안에서 살아남은 이는 기껏 10여명.
아직도 남아 있는 숱한 탄흔은 당시의 참혹한 상황을 방증하고도 남는다.
이로 인해 희생된 사망자 수는 당시 400∼500여명이라고 했다.
대책위가 지금까지 확인한 수는 사망자 135명, 부상자 47명 모두 182명이다.
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159.html
2008-6-11
노근리 역사공원 ‘첫 삽’ 떴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292825.html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9회 노근리 사건의 진실 (1999. 11. 14 방송)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53.9.30 한미방위조약 오늘 정식조인 국무성 대변인 언명 한국 중립화설은 미가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3093000329201001&officeId=00032
*. 안보조약은 10월 1일 체결.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58.9.30 보성 환표사실을 폭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0930003291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8.9.30 새벽의 판자촌 철거 충돌 투석전 90여명 중경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8093000209203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7.9.30 두 김씨 동시출마 강행 태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093000209201004&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9.30 5.18 동맹휴업 돌입 전국서 격렬시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09-30&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7.9.30 전노씨 비자금 연루 기업인들 개천절 사면-복권 검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93000289102009&officeId=00028
*.
1995.7.19 전노씨 공소권없슴-면죄부
1995.7.20 5.18 책임자 법정에 세워라 항의시위 확산
1997.4.18 대법 전씨 무기확정 노씨 17년
1997.6.15 전-노씨 광복절 사면 검토
1997.9.3 김영삼 대통령 이회창 대표와 회동. 전노씨 "조기"사면 거부
1997.12.22 전노씨 사면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 1869 마하트마 간디 출생 1966 간호사 251명, 서독에 처음으로 파견 1988 서울올림픽 폐막 (0) | 2015.10.02 |
---|---|
[10.1] 1942 조선어학회 사건 1956(9월 14일) 국군의 날 제정 1997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유네스코가 정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 (0) | 2015.10.01 |
[9.29] 1970 신민당, 전당대회서 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출 (0) | 2015.10.01 |
[9.28] 독립운동가(1914 김재호 출생, 1920 유관순 순국 1926 강윤국 출생) 1956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 (0) | 2015.10.01 |
[9.27] 1938 만화가 고우영 출생 (0) | 2015.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