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에는
"1910 구한말의 우국지사 황현"사망이라고 나와 있지만
https://ko.wikipedia.org/wiki/%ED%99%A9%ED%98%84
두산백과,
다음백과에는 1910.9.10일 사망으로 표기됨
2)
위키백과에는
"1945년 - 미국 극동사령부, 38선 이남에 대한 군정을 선포"라고 나와 있지만
<두산백과>
미소간의 한반도 분단점령이 결정된 후 중장 J.R.하지의 지휘하에 미육군 24군단은 9월 8일 인천에 상륙, 서울로 들어와
9일 삼팔선 이남 지역에 대한 군정을 포고한 데 이어 12일 소장 A.V.아널드가 군정장관에 취임함으로써 미군정체제가 수립되었다.
미군정은 14일 총독부의 일본인 관리들을 행정고문으로 두고 일본의 식민지 통치기구를 그대로 이용하기로 결정하였다.
또 18일에는 미군장교를 각 국장에 임명하고, 19일 ‘재조선 미육군사령부 군정청’이라는 정식명칭으로 통치를 시작하였다.
이는 곧 미군정이 정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배타적인 권위와 강제력을 독점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7121&cid=40942&categoryId=33385
<다음백과>
미국과 소련은 1945년 8월 25일 북위 38°선 분할점령을 발표하고, 9월 2일 일본의 항복문서가 조인됨에 따라
점령지역 연합군의 분할진주를 발표했다. 하지 중장 휘하의 미 제24군단은 서울에 도착해
9월 9일 포고령 제1호로 38°선 이남의 조선과 조선민에 대하여 미군이 군정을 펼 것"이라고 포고하고,
9월 12일 아널드 소장이 미군정장관에 취임했다.
미군정은 일제강점기의 악법들은 폐지했으나 신문지법·보안법 등은 존속시켜 통치에 활용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8m1381b
3)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에는
"1950 사학자 정인보 사망"이라고 나와 있지만
<두산백과>
1948년 대한민국 수립 후 초대 감찰위원장이 되었으며, 이듬해 4월 장관 임영신이 관련된 독직사건의 처리를 두고
이승만 대통령과 마찰을 빚어 사직, 학문연구에 몰두하였다. 1950년 6 ·25전쟁 때 북한군에게 피랍되었다.
6 ·25전쟁 때 북한군에게 피랍되어 11월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0715&cid=40942&categoryId=33384
<네이버캐스트>
미처 피난을 가지 못한 선생은 1950년 7월 북한으로 납치돼 한동안 생사가 알려지지 않고 있다가
그 해 11월 사망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15289
<다음백과>
한문학의 대가로서 서지학·국사학·국문학에 두루 관여했다
6·25전쟁 때 납북되어 묘향산 근처에서 죽었다고 한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9j1347b
6.25납북자 정인보님 가족의 증언
4)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
1966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각경.
1992년 - 대한민국의 군인 김정렬"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들입니다
5)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80 연세대 충북 단양서 6~12만년전의 인류 유골 발견"이라고 나와 있지만
1981년 입니다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1.9.7일자 연세대 박물관팀 12만년전 네안데르탈인 화석발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090700329201004&officeId=00032
6)
위키백과에는
"1985년 - 김근태, 국가보안법 및 집회와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혐의로 구속"이라고 나와 있지만
<위키백과>
본인은 1985년 9월 한 달 동안, 9월 4일부터 9월 20일까지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각 5시간 정도 당했습니다.
전기고문을 주로 하고 물고문은 전기고문으로 발생하는 쇼크를 완화하기 위해 가했습니다.
고문을 하는 동안 비명이 바깥으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라디오를 크게 틀었습니다.
그리고 비명 때문에 목이 부어서 말을 하지 못하게 되면 즉각 약을 투여하여 목을 트이게 하였습니다
(어지러운 듯 말을 중단하고 난간을 붙들면서 잠깐 쉬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9월 4일 각 5시간씩 두 차례 물고문을 당했고,
9월 5일, 9월 6일 각 한차례씩의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골고루 당했습니다. 8일에는 두 차례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당했고.
10일 한차례, 13일 …… 13일 금요일입니다. 9월 13일 고문자들은 본인에게
"최후의 만찬이다." "예수가 죽었던 최후의 만찬이다." "너 장례날이다."
이러한 협박을 가하면서 두 차례의 전기고문을 가했습니다. ……
그 다음에 9월 20일날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한차례 받았습니다. 그리고 9월 25일날 집단적인 폭행을 당했으며
그 후 여러 차례 구타를 당했습니다.물론 잠을 못 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밥을 굶긴 것도 대략 절반쯤 됩니다.
고문 때문에 13일 이후에는 밥을 먹지 못했고 그 후유증으로 지금까지 밥을 먹지 못합니다.
... (중략) ...
— 김근태의 진술, 1985년 12월 19일 서울형사지방법원 118호 법정 서울형사지법 합의 11부
(재판장 서성, 배석 김희근, 여상훈) 심리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A%B7%BC%ED%83%9C
팟캐스트 - 나는 잉여다 http://www.podbbang.com/ch/4317 (2014.1.22~ 1.29, 2.05 방송)
민주투사 김근태 1부.http://file.ssenhosting.com/data1/ingyeoin/kimkeuntae1bu.mp3
민주투사 김근태 2부.http://file.ssenhosting.com/data1/ingyeoin/kimkeuntaeuijang2bu.mp3
민주투사 김근태 3부.http://file.ssenhosting.com/data1/ingyeoin/kimkeuntaeuijang3bumajimag.mp3
김근태님 블로그
1829
1901
청나라, 의화단 사건 최종의정서에 조인 - 위키백과
1901
고종 황제 탄신 50년 기념 축하 독일인 에케르트가 작곡한 대한제국 국가 처음으로 연주됨 - 위키백과
1901년 9월 7일 고종황제의 만수성절에 성공적인 데뷔를 치른다
1901년 한국에 초빙된 독일인 왕실악장 ‘프란츠 에케르트’, 쌀 한가마니가 5~6원하던 시절 그의 월급은 3백 원.
에케르트는 단순한 군악대장이 아닌 애국가 제정이라는 중차대한 임무가 주어졌고
그에 따라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특급대우를 받았다.
이러한 특급대우 속에 에케르트는 1902년 7월 1일 애국가의 작곡을 완성하였다.
http://www.kbs.co.kr/1tv/sisa/historyspecial/view/vod/1743787_30885.html
역사채널e - 대한민국 애국가
1924
독립운동가 안무 사망 - 네이버캐스트(1883.6.29~1924.9.7)
안무 - 두산백과(1883~1924.9.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2370&cid=40942&categoryId=33384
안무 - 다음백과(1883~1924)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4a3105a
1948
대한민국 국회, 반민족행위처벌법 통과.- 위키백과
9월 7일 찬성 103명, 반대 6명으로 '반민법'은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승만 정부는 '반민법' 시행을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정부가 제출한 양곡매입법안에 대해 국회에서 이 법안의 강제매입 조항을 자유매입으로 하는 등의 수정안을 마련한 상태여서
반민법을 거부할 경우 양곡매입법안 통과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1948년 9월 22일 반민법을 서명하고 법률 3호로 공포하였다.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48.9.8일자(9.7) 반족법 국회통과 대통령은 공포반대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8090800209201001&officeId=00020
[마방] '좌절된 친일파 청산' : 김삼웅 前 독립기념관장_20120922_154441
1991
1993
국회, 행정부, 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1급 이상 고위공직자와
국영기업체 상근 임원 등 1,166명의 재산을 일괄 공개하는 공직자 재산 공개 단행.-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3.9.8일자(9.7) 공개-등록 재산 모두 실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3-09-08&officeId=00028&pageNo=1
뉴스타파N_6회 4 억대 연봉, 10억대 재산 공무원도 학자금 무이자 혜택
1993
재벌그룹의 비업무용 부동산 과다보유실태를 폭로했다가
면직되었던 이문옥 전 감사원 감사관에 무죄 선고됨.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3.9.7 이문옥 전 감사관 무죄선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3-09-07&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3.9.8일자(9.7) 정의는 이긴다 이문옥 전 감사관 무죄판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3-09-08&officeId=00028&pageNo=1
이문옥 감사관 양심선언 20주년 기념식 축사
2009
세계 최대 익룡 발자국 화석, 경북 군위군에서 발견됨.-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9-9-7
국내 최대 익룡 발자국 화석 발견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375317.html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37.9.7 아군 작 육일 조 공륙 호응 동천진요색 점령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7090700209101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4.9.7 인민혁명당사건 싸고 담당검사의견을 무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90700329203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매일경제 1970.9.7 공공요금인상에 자극 생필품값 계속 오름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090700099203001&officeId=00009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6.9.7(9.6) 판문점 분할경비 합의서에 서명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090700209201005&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8.9.7 체제수호발언등 여권의 잇따른 극우책동 "의도적인 좌우대결 조작"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8-09-07&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5.9.7 가평에 UFO 출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09-07&officeId=00032&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9.7 중국동포 취업 대폭 확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9-07&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9.7 국세청 동원 불법모금 70억 더 드러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9-07&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 1945 독립운동가 차리석 사망 (0) | 2015.09.09 |
---|---|
[9.8] 1852 조선 고종(대한제국 광무황제) 출생 (0) | 2015.09.08 |
[9.6] 1903 아동문화가 윤극영 출생 1956 서양화가 이중섭 사망 (0) | 2015.09.06 |
[9.5] 1902 독립운동가 최용성(가명: 고이허) 출생 1997 테레사 수녀 사망 2004 김연아, 국내 피겨 스케이팅 사상 100년만에 국제대회 첫 우승 (0) | 2015.09.05 |
[9.4] 1909 일제, 청나라와 간도협약 체결 1921? 1922? 독립운동가 이애라 사망 1965 알베르트 슈바이처 사망 (0) | 2015.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