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402 조선시대 신분증명서인 호패제도 실시"라고 나와 있지만
<네이버캐스트>
태종 13년(1413)에 처음 실시된 이래 세조 5년(1459), 광해군 2년(1610), 인조 4년(1626), 그리고
숙종 1년(1675)에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인조 대까지의 호패법은 시행 후 얼마 되지 않아 폐지되어
지속적으로 운영되지 못하였고, 숙종 대에 이르러야 호패법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었다.
이처럼 호패법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지 못한 것은 각종 국역을 부담하는 양인들의 반발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양인들은 호패의 착용이 각종 국역의 부담이 가중되는 것으로 여겨 세력가의 노비로 자신을 위탁하였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_id=5558
역사채널e - 조선판 주민등록증 호패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597 임진왜란-명량대첩"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1597년 10월 25일
https://ko.wikipedia.org/wiki/%EB%AA%85%EB%9F%89_%ED%95%B4%EC%A0%84
영화[명량] - 설민석 스페셜 인강
3)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965년 - 한국의 작곡가 안익태."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위키백과>
안익태의 1940년대 유럽 활동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김경래와 롤리타 탈라베라의 전기에
기록된 자료로 전해져 왔으나, 최근에 진행된 연구들에서 이들 자료의 잘못된 정보와
왜곡 사례를 지적하고 있어 상당한 파문이 예상되고 있다.
유럽 체류 시절 안익태가 관변 단체였던 '일본-독일 협회' 와 긴밀한 관계에 있었으며,
일본의 가가쿠를 주제로 한 '에텐라쿠' 와 일본제국에 의해 괴뢰정권인 만주국이 세워진 일을
기념한 '만주국 축전곡' 등을 작곡했다는 기록도 발표되었다.
2000년에는 음악연속간행물 '객석'의 베를린 통신원이었던 진화영이 안익태의 베를린 필 지휘에
대한 기록이 종전의 1940년이 아닌 1943년이며, 단 한 차례 뿐이었다는 기사를 발표했다.
같은 해 발굴되었다는 안익태의 지휘 모습이 담긴 기록 영화가 2006년에 독일에서
음악을 공부하고 있는 송병욱에 의해 만주국 축전 음악회의 실황 녹화였다는 사실이 밝혀져
국내 음악계에 충격을 주기도 했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의 음악 부문에 선정되었다.
안익태의 명단 포함에 대해 안익태기념재단 측은 "당시 본인 선택과 상관없이
국적을 잃은 안 선생은 일본인으로 활동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하였다.
이 명단의 군 부문에는 형인 안익조도 포함되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9D%B5%ED%83%9C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9월 16일자/9월 17일자에도
"1965년 - 대한민국의 작곡가 안익태"라고 중복 표기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9월17일자에는 1995년 - 대한민국의 작곡가 안익태"라고 잘못표기까지......)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9D%B5%ED%83%9C
그리고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도 9월 17일자에 나와 있지만
위키백과 내용<1906.12.5~1965.9.16>,
으로 1965.9.16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4)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983년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정인섭."이라고 나와 있지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자 입니다
<위키백과>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들어 있다.
연세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내 연세대의 교내 단체인 민주노동당 학생위원회가
2005년 공개한 '연세대학교 친일파 명단'과
서울대 교내 단체가 발표한 '서울대학교 출신 친일인물 1차 12인 명단'에 선정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9D%B8%EC%84%AD
5)
위키백과 사망란에는
"1782년 - 이탈리아의 카스트라토 파리넬리."라고 나와 있지만
출처도 분명하지 않고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B%A6%AC%EB%84%AC%EB%A6%AC
<다음백과>는 <1705.1.24~1782.7.15>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3p0617a
로 날짜가 서로 다르게 표기 되어 있습니다
[ZENITH TV] 뮤지컬 '파리넬리' 프레스콜 하이라이트 - 울게하소서 Musical ‘Farinelli’ Press Call
6)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882 박영효 수신사,일본서 최초의 태극기 게양"이라고 나와 있는데...
<오마이뉴스> 2007-4-20 <태극기>
박영효(친일인명사전 등록된, 제국회의 귀족원 의원, 중추원 부의장)가
태극기를 처음 도안한 사람이라고 알려져 왔지만 실제론 고종황제라고 말한다.
특히 1882년 10월 2일자 도쿄 일간신문 '시사신보(時事新報)' 제179호에 실린 다음의 기사는
태극기 제작 배경을 확실히 하는 것으로 본다.
(사진 - 고종황제/태극기 제작배경 - 오마이뉴스 2007-4-20)
오마이뉴스 2007-4-20
"태극기는 천손민족의 표시..중국보다 앞서"
태극기의 원리와 변천과정을 담은 책 <태극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05515
역사채널e - 태극기
1846
조선 최초의 가톨릭 사제인 김대건이 새남터에서 처형되다.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3g1524a
1887
작곡가 나디아 블랑제 출생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0b1739a
1888
작가 프란스 실란페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408&cid=40942&categoryId=33476
1915
아동문학가 강소천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7113&cid=40942&categoryId=33385
아동문학가 강소천선생님 탄생 100주년 기념 영상
1931
리비아의 저항운동가 오마르 무크타르 사망 - 위키백과
1936
1980
심리학자 장 피아제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0052&cid=40942&categoryId=40226
1992
영국, 검은 수요일 사건 발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2%80%EC%9D%80_%EC%88%98%EC%9A%94%EC%9D%BC
한겨레신문 2005-2-11
영국판 외환위기 ‘검은 수요일’ 비밀문건 공개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7100005/2005/02/007100005200502111752192.html
1998
시인 박두진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7552&cid=40942&categoryId=33385
1999
동티모르 파병 결정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9.17일자 보병 400명 내달 동티모르 파병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9-17&officeId=00028&pageNo=1
2002
국방부, 남북 비무장지대(DMZ) 군 핫라인 개통에 합의 - 위키백과
통일뉴스 2002-9-16
남북 DMZ 軍핫라인 24일 첫 개통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09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7.9.16 월사금 불납한다고 수업중 백여명 축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7091600209205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9.9.16 김시현과 연락관계? 김한 등 돌연검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9091600209202001&officeId=00020
독립운동가 김시현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2672&cid=40942&categoryId=33384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38.9.16 조선광업령을 개정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8091600209102001&officeId=00020
조선광업령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9j2356a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4.9.16 다시 정보부 해체론 대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91600209201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8.9.16 전두환씨 새마을 성금 유용/내일 서울올림픽 개막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8-09-16&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2.9.16 안기부 정치공작부서 존속 - 대통령 선거 대비 의혹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2-09-16&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4.9.16 전두환씨'12-12쿠테타'부인/전씨답변은 날조-왜곡 일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4-09-16&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5.9.16 권력요직 "부산-경남"독식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09-16&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9.16 마오리족과 코인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9-16&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8] 1988 한겨레신문 제2대 대표이사에 송건호 대표 취임 (0) | 2016.09.10 |
---|---|
[9.17] 1940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창설 1980 계엄사 군법회의,야당지도자 김대중 사형선고 1988 서울올림픽 개막 1991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0) | 2016.09.10 |
[9.15] 1910 독립운동가/의병장 오성술 사망 1944 독립운동가 권병덕 사망 1950 인천상륙작전 (0) | 2016.09.10 |
[9.14] 1922 독립운동가 최팔용 사망 (0) | 2016.09.10 |
[9.13] 1990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 등 5위의 유해 봉환 (0) | 2016.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