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442 세종대왕 측우기 발명"이라고 나와 있지만
1441년(세종 23년) 음력 8월 장영실을 시켜
서운관(書雲觀)에서 빗물을 측정할 수 있는 그릇을 처음 제작하게 하였고
장영실이 5월 19일(음력 4월 29일) 발명한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었는데
측우기 발명가가 장영실이 아니라고? / YTN 웨더
https://www.youtube.com/watch?v=NgouyVY-zf0
세종대왕의 아드님 문종임금이 발명했다는 군요
측우기가 규격화되고 제도화된 것은
1442년(세종 24년) 6월 15일(음력 5월 8일)로 여겨진다.
이때부터 《조선왕조실록》에서 측우기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쇠로 제작된 측우기는 길이 1척 5촌(약 32㎝), 지름 7촌(약 15㎝)이며,
비가 그친 후 주척(周尺)을 써서 푼(分) 단위까지 재고,
비가 내리기 시작한 시간과 그친 시간을 기록하게 하였으며,
전국적으로 강우량을 측정하도록 했다 -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B8%A1%EC%9A%B0%EA%B8%B0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882 최초의 신식군대 별기군 창설"이라고 나와 있지만
훈련은 그 해 5월 9일부터 서대문 밖 모화관(慕華館)을 가교장(假敎場)으로 했다가
뒤에 현재 서울 사대부고(師大附高) 자리인 하도감(下都監)으로 옮겨 훈련하였다
- 별기군 [別技軍]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2046&cid=40942&categoryId=31748
1881년 5월에 창설되어 이미 5월 9일에 훈련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1881년 5월 19일 창설아님.
EBS(사회탐구)한국사-임오군란의 원인과 발단은?
1848
1890
1897
1922
동학 3대교주,
천도교 개칭 독립운동가 손병희 사망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2.5.19 손병희씨 장서 금일 오전 세시 상춘원에서 의약이 무효로 세상을 떠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2051900200101001&officeId=00020
1925
1927
독립운동가 송학선 사망
(사진 - 송학선 - 네이버캐스트1897.2.19~1927.5.19)
*.수정되었네요 |
송학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1893~1926)(x) ->1927.5.19(0)
1927
독립운동가 조문기 출생
1957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58.5.19 인간과 발명 '발명의 날'에 즈음하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051900209104001&officeId=00020
1961
(사진 - 위:조용수 사장/위키백과 - 아래:민족일보/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위키백과>
조용수(趙鏞壽, 1930년 4월 24일 ~ 1961년 12월 21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민족일보의 발행인이었는데, 박정희의 5·16 군사정변 세력에 의해 교수형에 처해졌고,
2008년 1월 16일에 법원 재심 결과 무죄와 국가 배상 판결을 받아 명예를 회복했다
조용수는 1960년 4.19 혁명 직후에 치러진 5대 총선에서 진보정당 사회대중당의 후보로
경북 청송에 출마했으나 3위로 낙선했고[1], 그의 패배를 비롯해 사회대중당이 4석에 그치면서
보수성향 민주당의 일당독주체제를 허용하자 진보세력의 단결 및 민주당 정권의 보수성향을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언론의 중요성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민단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
새 일간신문 창간을 구상한다.
1961년 2월 13일 일간신문 민족일보를 창간했다.
민족일보는 사시(社是)로
민족의 진로를 가리키는 신문, 부정과 부패를 고발하는 신문,
노동대중의 권익을 옹호하는 신문, 양단된 조국의 비원을 호소하는 신문 등
4개를 정하였고, 민족일보 사장 취임사에서
그는 “우리 민족일보는 이러한 민족의 분열과 비원을 영속화시키는 일부의 작용에 대하여
온갖 정력을 기울여 싸울 것”이라며 “특히 적극적으로 남북간의 민족의식의 추진과
생활공동체적 연대를 추구하는데 있는 지면을 과감하게 제공하는 것을 중요한 임무라고 생각한다”고 밝혀
평화통일이라는 주제가 민족신문 발행의 논조임을 강조하였다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집권한 군부에 의해 연행되었다.
그를 비롯한 민족일보 간부 13명을 "북한을 찬양·고무한 죄"로 구속한 뒤
이 중 그를 비롯한 8명에게 사형선고를 내렸다. 8월 12일 군사재판으로 열린 1심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 재판에서 육군대령이 재판장을 맡고 군인 2명과 민간인 2명이 심판관을 맡았는데,
이회창이 당시 민간인 심판관으로 참여해 이후 논란이 됐다
10월 31일 상고심에서도 사형이 확정되었다.
사형 이유는 조용수가 총련 자금을 받아 민족일보를 창간,
무분별한 평화통일론을 주장하여 북한을 이롭게 했다는 것이다.
조용수의 사형 판결이 정해지자 이에 대해 국제신문인협회(IPI), 국제펜클럽(PEN) 등
국제적으로 항의성명이 이어지고 구명운동이 벌어졌다
《민족일보》와 조용수 사건은 동생 조용준에 의해
2006년 1월 10일 《진실ㆍ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 진실규명을 신청했고,
같은 해 2006년 11월 28일 과거사위원회는 '사형을 선고한 혁명재판부의 판단이 잘못됐다'는 결정을 내리고
국가에 재심을 권고했다
2008년 1월 16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가 재심에서 북한의 활동에 동조했다는
특수범죄 처벌에 관한 특별법 혐의로 사형이 선고됐던 조용수에게 47년 만에 무죄를 선고했다
조용수의 유가족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는데,
이 소송에서 '국가는 99억 원을 배상하라'는 하급심 판결을 받았다.
그 후 대법원은 2011. 1. 13. 그 액수를 약 29억원으로 감액하는 취지로 최종 판결하였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9A%A9%EC%88%98_(%EC%96%B8%EB%A1%A0%EC%9D%B8)
1961
윤보선 대통령 하야성명 발표 & 하루뒤 번복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61.5.20일자(5.19일 사건) 윤대통령 하야성명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10520003291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1.5.21일자(5.20일 사건) 윤대통령 하야를 번의(번복)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1052100209201001&officeId=00020
1994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4.5.21일자(5.20일 사건,한국은 5.20 미국은 5.19)
세기의 연인 파란의 삶 거두다 재클린 여사의 생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52100329105001&officeId=00032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32.5.19 영흥농민 사건 삼십구명 송국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2051900209202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0.5.19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 조종은 임흥순씨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0051900209103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7.5.19 야권 맴도는 좌경 - 선명으로 위장 체제전복 부추겨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051900329203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8.5.19 제5공화국 비리 국정감사권 발동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51900289101001&officeId=000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5.19 광주9돌 전국 추모집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051900289101001&officeId=000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0.5.19 금남로 10만인파 추모집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51900289101001&officeId=000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1.5.19 6공최대 전국 40만 시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51900289101001&officeId=000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3.5.19 전국서 5.18 추모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51900289101001&officeId=000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5.19 5.18,광주만의 일인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51900289101001&officeId=000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5.19 종일 흐느낀 5.18/동티모르 학살 심판은 세계인의 몫/
불교tv 허문도 사장 물러날까?/대학내 성폭력, 학칙으로 없애자/이목사 검찰업고 선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5-19&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1] 1894 독립운동가 조병옥 출생 (0) | 2016.05.20 |
---|---|
[5.20] 1980 (10.26) 김재규 사형 확정선고 (0) | 2016.05.19 |
[5.18] 1904 독립운동가 이육사 출생 1963 독립운동가 오긍선 사망 1980 5·18 광주 민주화 운동 (0) | 2016.05.16 |
[5.17] 1976 독립운동가 김순애 사망 1980 신군부,17일 0시 비상계엄 전국확대 (0) | 2016.05.16 |
[5.16] 1931 신간회 해산 1961 군사쿠테타(군사반란) (0) | 2016.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