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3.8] 1911 세계여성의 날 제정

by 딧플 2016. 3. 8.


(사진 - 3월 8일 - 위키백과)






1)


위키백과 오늘자에는 "1993 하나회 숙청"이라고 나와있지만

내용을 들어가보면,


<위키백과>

"김영삼 정부가 출범한 직후인 1993년 4월 2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빙고동 군인아파트에 익명의 군인에 의해 

'하나회' 명단이 살포되었다" -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D%95%98%EB%82%98%ED%9A%8C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75 시인 신석초 사망"이라고 나와있지만


다음백과,두산백과에는 사망년도가 1975년으로 되어있고

위키백과,다음검색-인물에는 1976년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8974&cid=40942&categoryId=33385



3)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725 오대산 상원사 종 조성"이라고 나와 있지만

날짜는?


<두산백과>

음관·유곽 등 한국 종의 전형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우수한 종이다. 

용뉴 좌우에 종명(鐘銘)이 음각되어 있어 주성(鑄成) 연대가 725년(신라 성덕왕 24)임을 알 수 있다. 

이 종이 주성된 후 어느 절에 소속되어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경상북도 안동누문(安東樓門)에 걸려 있던 것을 1469년(조선 예종 1)에 왕명에 의하여 

현재의 상원사로 옮겨온 것으로 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상원사 동종 [上院寺銅鐘]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9950&cid=40942&categoryId=33062



4)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440 남녀성혼기를 16세,14세 이상으로 정함(세종22년)(링크없슴)"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사진 - 1440년 음력 3월 8일자 -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5)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445 용비어천가 간행"이라고 나와 있지만

조선왕조실록 1445년 음력 4월 5일자에 나와 있습니다

1447년에 간행됨

(사진 - 용비어천가 - 위키백과)


<두산백과>

목판본. 10권 5책. 1445년(세종 27) 4월에 편찬되어 1447년(세종 29) 5월에 간행된, 

조선왕조의 창업을 송영(頌詠)한 노래이다. 모두 125장에 달하는 서사시로서, 

한글로 엮은 책으로는 한국 최초의 것이다. 왕명에 따라 당시 새로이 제정된 훈민정음을 처음으로 사용하여 

정인지(鄭麟趾)·안지(安止)·권제(權?) 등이 짓고,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이개(李塏) 등이 

주석(註釋)하였으며, 정인지가 서문(序文)을 쓰고 최항(崔恒)이 발문(跋文)을 썼다

[네이버 지식백과]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0070&cid=40942&categoryId=32868


"1445년(세종 27년)에 지어 1447년(세종 29년)에 간행하였다."-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9A%A9%EB%B9%84%EC%96%B4%EC%B2%9C%EA%B0%80

(사진 - 1445년 음력 4월 5일자 -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SBS [육룡이나르샤] - '설민석 강의 Full ver.'

https://youtu.be/u7_Q1hFIbes



6)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924년 - 프랑스의 물리학자 조르주 샤르파크."이라고 나와 있지만

내용으로 들어가면


<위키백과>

조르주 샤르파크(Georges Charpak, 1924년 8월 1일 ~ 2010년 9월 29일)는 

프랑스의 물리학자로, 1992년 다중선 비례 검출기를 개발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1879

화학자 오토 한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0942&cid=40942&categoryId=34352








1908

미국 여성 섬유 노동자 1만 5천여명, 

뉴욕서 생존권과 참정권 요구 대규모 시위 - 위키백과


<두산백과 - 세계여성의 날>

1908년 미국의 1만 5천여 여성 섬유노동자들이 정치적 평등권 쟁취와 노동조합 결성,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날을 기념해 제정한 날.

1908년 3월 8일, 1만 5천여 명의 미국 여성 섬유노동자들이 러트거스 광장에 모여 

10시간 노동제와 작업환경 개선, 참정권 등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날이다. 

1910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2차 여성운동가대회에서 독일의 노동운동 지도자 클라라 제트킨의 

제창에 따라 결의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세계여성의 날 [世界女性─]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2994&cid=40942&categoryId=32179


<세계 여성의 날 - 위키백과>

1908년 열악한 작업장에서 화재로 불타 숨진 여성들을 기리며 미국 노동자들이 궐기한 날을 기념하여 

1909년 2월 28일 첫 번째 '전국 여성의 날'이 미국에서 선포되었고 이에 영감을 얻은 유럽에서는 

1910년 8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여성노동자회의에서 독일의 여성운동가 클라라 제트킨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주장하기 위한 '여성의 날'을 제안했다. 이에 힘입어 이듬해인 

1911년 3월 19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스위스 등에서 참정권, 일할 권리, 차별 철폐 등을 외치는 

첫 번째 '세계 여성의 날' 행사가 개최되었다


Google 세계 여성의 날 2016 - International Women's Day 2016 https://youtu.be/lI5qO77hGjg

정치카페 92편(2부) - 2016.3.8 여성의날 '전쟁과 여성' https://youtu.be/Y2J6InV4qMo

2015-3-8 [경향신문] 광화문 광장을 눈물바다로 만든 '세계 여성의 날 기념식’ https://youtu.be/N6KuKiZJ1u4

100주년 세계여성의날 영상 https://youtu.be/RrKDLztWazs








1917

러시아 2월 혁명이 시작되다.- 위키백과


5분사탐-세계사 - 20강 러시아 혁명

https://youtu.be/TqNkWZbxcdc




1953

정부, 노동조합법·노동쟁의조정법·노동위원회법 공포 - 위키백과


<두산백과>

노동관계의 공정한 조정을 도모하고 노동쟁의를 예방 또는 해결함으로써 

산업평화의 유지와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제정한 법(1953. 3. 8, 법률 제279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6669&cid=40942&categoryId=31705


1.근로기준법 : 

노동자의 근로조건. 즉 임금, 노동시간, 휴일 및 연차유급휴가, 

안전위생 및 재해보상 등에 관한 최저기준을 규장한 법률이다. 근로보호법이라고도 한다.


2.노동조합법 : 

노동자가 단결하여 단체교섭이나 기타 단체행동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고 

구체적으로 보장하는 방법 등을 주정한 법률이다. 헌법상에도 정한 노동 3권을 규정한 법률이기도 하며 

이는 노동자의 단결할 권리인 단결권, 노동조합의 대표자가 사용자와 근로조건의 유지, 개설 등에 대한 

교섭권을 부여하는 단체교섭권, 노동자들이 권익 보호를 위해 노동자단체의 활동을 보장한 단체행동권을 

들 수 있다.


3.노동쟁의조정법 : 

노동쟁의를 공정하게 조정하여 노사간의 분규를 예방 내지 해결함으로서 

산업의 안정을 꾀하고 나아가 산업 및 경제의 안정적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이다. 

여기에는 제3자 개입 금지 조항이 있는데 이는 직접 근로관계를 맺고 있는 노동자나 당해 노동조합 

또는 법령에 의해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람을 제외하고는 노동자들의 단결과 단체교섭, 노사협의, 

그리고 쟁의에 관여할 수 없다는 규정으로, 노동법상의 제3자 개입을 금지하는 조항이다.


뉴스타파 - ‘헬조선’으로 가는 급행열차… ‘노동개악’(2015.10.22)

https://youtu.be/x6DFfSXA3g8




1960

대전광역시에서 3·8 민주의거.-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60.3.9일자 대전서도 천여학생 데모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0030900209103001&officeId=00020




1981

고려본 삼국사기 발견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1.3.9일자 고려본 '삼국사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1-03-09&officeId=00020&pageNo=1




1983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 주범 김현장, 문부식 사형 확정.-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83.3.9일자 두 사건의 대법원 판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3-03-09&officeId=00020&pageNo=1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0b0869a


mbc2000.9.24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어둠속의 외침 -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 

http://youtu.be/lZDL2zJ2SuQ




2001

김대중 대통령 방미,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1-3-9일자

[정상회담] “부시, 김대통령 빰때린 격”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7100001/2001/007100001200103091830002.html


배칠수 김대중 성대모사,부시와의 통화

https://youtu.be/mHCEhXTD0LM




2003

시인 조병화 사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B%B3%91%ED%99%94


ktv 인문학 열전 - 길 위의 인문학 "서정의 시 세계, 조병화 시인" 

http://youtu.be/bRCMzDiVaQ0


한겨레신문 2003-3-9

조병화 시인의 삶과 문학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9100003/2003/03/009100003200303091514356.html




2014

노동당 부대표 박은지 사망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14-3-8

노동당 박은지 부대표 사망…자살 추정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627362.html


"잘 가시게" 박은지 노동당 부대표를 보내며 (2014.3.8 추모영상)

https://youtu.be/EJh5ntjcCVA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36.3.8 상해 일본요인 모살한 맹혈단 오명 검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6030800209102001&officeId=00020


오면직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75413


맹혈단 - 다음백과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809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47.3.8 (신탁통치)탁치조항 철폐하고 자주정부수립 승인하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7030800209201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76.3.8 생활기록부 누기제 대입,취업까지 활용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5.3.8 대화무드에 찬물 

이민우 신민총재 일본신문회견의 파장 - 전두환 대통령 사퇴요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030800329203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7.3.8 "날치기 무효" 인간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7-03-08&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3.8 세계여성의 날 맞이 거리행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3-08&officeId=00028&pageNo=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