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1.28] 1916 독립운동가 안진생 출생 1927 교수/민주화운동가 이문영 출생

by 딧플 2016. 1. 28.


(사진 - 1월 28일 - 위키백과)





1)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400 조선,제2차 왕자의 난"이라고 나와 있지만

음력입니다


<위키백과>

태조는 무명 장수 시절에 고향에서 처로 맞이한 한씨(훗날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 韓氏))에게서 

방우(芳雨)·방과(芳果)·방의(芳毅)·방간(芳幹)·방원(芳遠)·방연(芳衍)의 6남을 두었고, 

개경에서 새로운 처로 맞이하여 조선 개국의 막대한 도움을 받은 강씨(훗날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에게서 

방번(芳藩)·방석(芳碩)의 2남을 두었다.


개국 후 태조는 강씨를 현비로 책봉해 수비(首妃: 으뜸 왕비)로 삼고, 그로 1년이 지난 후에야 한씨를 

절비(節妃)의 시호를 내려 추증 왕비로 삼아 차비(次妃)로 삼았으며 강씨 소생의 왕자 중에서 왕세자를 선별하여 

막내아들인 방석을 왕세자로 책봉했다. 이후 강씨가 사망하여 태조가 강씨를 왕후로 추봉하니 

이는 비록 공식적으로 선포된 것은 아니나 결과적으로 한씨는 명실공히 후궁으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 

이에 한씨 소생의 왕자들이 더이상 분을 견디지 못하고 동복 형제들과 의기투합하여 

태조 7년(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에 난을 일으켰는데 이것이 제1차 왕자의 난이다

---중략---

정종을 압박하는 이방원의 행위에 여러 왕자들이 분개하다가 

그 중 이방원과 함께 비어있는 왕세자의 자리를 노리던 이방간이 

정종 2년(1400년) 음력 1월에 난을 일으키는데 이것이 제2차 왕자의 난이다. 

이를 제압한 이방원은 2월 25일(음력 2월 1일)에 왕세제로 등극하고, 

그 해 11월 28일(음력 11월 13일)에 정종에게 왕위를 양위받아 즉위하니 그가 태종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9%95%EC%9E%90%EC%9D%98_%EB%82%9C


정도전이 꿈꾼 세상 VS 이방원이 세우려던 조선

 - '육룡이 나르샤' 강사 설민석 https://youtu.be/827RPmmozSc


ebs 이야기 한국사 02강 냉혹한 군주 태종이방원 https://youtu.be/VojPQVUOBt4



2)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898 우리나라 최초로 궁궐에서 전화 사용(링크없슴)"이라고 나와 있지만

그 이전에 통화를 했거나 짐작케 하는 기록들도 있습니다


<두산백과>

1893년 11월 27일 정부가 총해관(總海關. 관세청)에 

일본서 궁내용으로 수입하는 전화기에 면세조치하라’고 명한 기록이 있다. 

이듬해 2월 전화기가 도착하자 정부는 한성총국에 의뢰하여 

많은 우리 관원들이 참관한 가운데 시험조작에 성공했다.


1897년 12월 5일에는 

명성황후 인산(因山) 때 전화를 가설한 공로로 관리 8명을 포상한 기록이 있다. 

12월 31일에는 정부가 전신·전어기 등 9상자를 면세하라고 

총세무사(總稅務司. 국세청장)에게 명한 기록에 이어, 

1898년 1월 28일에는 이미 궁내부에 전화를 설치하여 중앙 각 아문은 물론 멀리 인천까지 통화를 한 기록이 있다. 

전화기를 도입하여 한 달 이내에 인천까지 통화가 가능하도록 설치를 끝냈다는 것은 

이미 선로가 가설되어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김구 선생이 쓴 「백범일지」에 경인간 전화 통화가 이뤄지고 있었음을 뒷받침하는 기록도 있다. 

1896년 8월 명성황후를 시해한 일본군 장교를 처단한 죄로 

백범은 사형선고를 받고 인천감옥에 수감중이었는데, 

윤8월 23일 고종이 인천감리에게 전화를 걸어 그 죄를 감1등하도록 명령함으로써 목숨을 구해주었다는 내용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궁내부 전화 개통 (기록으로 본 한국의 정보통신 역사 1, 2012. 8. 3., 진한엠앤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2167&cid=42348&categoryId=42349



3)


타임라인 한국사앱에는

"1957 정부, 저작권법 공포"라고 나와 있지만


<시사상식사전/네이버지식백과>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률

(제정ㆍ공포 : 1957. 1. 29 법률 제432호, 

전문개정 1986. 12. 31 법률 제 3916호, 2009. 04. 22 17차 일부개정)

[네이버 지식백과] 저작권법 [著作權法]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4998&cid=43667&categoryId=43667














1077

카노사의 굴욕 - 위키백과


자음과 모음

왜 하인리히 4세는 카노사에서 굴욕을 당했을까? 1/3

https://youtu.be/QYXSHz5O2AY




1887

피아니스트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8920&cid=40942&categoryId=34380


Chopin - Heroic Polonaise Op. 53 - Arthur Rubinstein

https://youtu.be/VEl9zn8JPW8




1898

의사 백인제 출생 - 두산백과


<두산백과>

평안북도 정주(定州)에서 출생하였다. 

1915년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입학, 3·1 운동에 가담하여 한때 투옥되었다. 

석방 후 1921년에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병원 외과(外科)에서 근무하였다. 

1928년 경성의학전문학교 외과 주임교수가 되고, 

같은 해 도쿄대학[東京大學]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2년 총독부의 알선으로 6개월 동안 독일의학계를 시찰하고 귀국하였다가 

1934년 다시 독일에 1년간 유학하고 

1936년 돌아왔다. 귀국 후 서울에서 백병원(白病院)을 개업하였으며,

 당시 국내 의술계의 제1인자로 손꼽혔다. 

1950년 6·25전쟁 때 납북되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0273&cid=40942&categoryId=33384




1912

화가 잭슨 플록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8661&cid=40942&categoryId=34393


20세기 잭슨폴록

https://youtu.be/zvf7q-7Uw_w








1916

독립운동가 안진생 출생(안정근의 둘째아들) - 위키백과(1916.1.28 ~ 1988.12.24)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A7%84%EC%83%9D


독립운동가 안정근(안진생의 아버지,안중근의 동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A0%95%EA%B7%BC


독립운동가 안공근(안진생의 동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A%B3%B5%EA%B7%BC


독립운동가 안명근(안중근의 사촌동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B%AA%85%EA%B7%BC


[한국정책방송KTV] 히스토리텔링 동행 - 안중근과 조마리아

https://youtu.be/7JdmKl7hDuY


[국민TV] 권기옥, 지복영, 박차정, 안경신, 조마리아… (2015.08.13)

https://youtu.be/SVO24SHeYO0








1927

교수/민주화운동가 이문영 출생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AC%B8%EC%98%81


한겨레신문 2003-4-2

이문영 고려대 명예교수 민주화운동자료 1만점 기증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9000000/2003/04/009000000200304022214151.html


경향신문 2014-1-17

민주화운동 앞장선 학자, 이문영 고려대 명예교수 별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40100&artid=201401170906231


국회 2014-1-17 

평생을 반독재 민주화투쟁에 헌신해 오신 이문영 고려대교수의 영면을 애도한다

https://youtu.be/cTmqAY273os




1932

중국과 일본 간의 제1차 상하이 사변 발발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32.1.30일자 남은 소주하, 북은 본궁, 서는 철도선로일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2013000209201001&officeId=00020




1939

시인/극작가 윌리엄 예이츠 사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677&cid=40942&categoryId=34407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헤매는 잉거스의 노래」

https://youtu.be/pH7Zr3ViC8g




1978

미술사학자 아르놀트 하우저 사망 - 위키백과




1986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사고가 일어남.- 위키백과(미국시간)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86.1.29일자 미 챌린저호 공중폭발(현지시간 1.28일 한국시간 1.29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6-01-29&officeId=00032&pageNo=1




1995

오정해,일 영화비평가 협회 최우수여우주연상 수상 - 타임라인 한국사앱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5.1.29일자 일 비평가협회 최우수여우상 오정해 첫 수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5-01-29&officeId=00032&pageNo=1


배우 오정해의 눈물 '아! 선생님'

https://youtu.be/J20xOG8Iuz0




2002

동화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사망(말괄량이 삐삐 - 긴양말을 신은 피피)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9942&cid=40942&categoryId=33476


2015. 4. 11 빨간 머리 소녀 '삐삐'를 기억하시나요? / YTN

https://youtu.be/DwoU_JhdljE




2003

이종욱씨,세계보건기구 WHO 사무총장 선출 - 타임라인 한국사앱


한겨레신문 2003-1-28

WHO사무총장 이종욱씨 선출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3/01/005000000200301282204078.html




2003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사, 인터넷 마비 등 사태 사과.-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3-1-26일자

사상초유 `인터넷 대란' 발생 (종합)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10000000/2003/01/p010000000200301260853156.html




2003

세계최초 "캡술형 내시경" 국내에서 개발 - 타임라인 한국사앱


한겨레신문 2003-1-28

세계최소 '캡술형 내시경' 국내개발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5100031/2003/01/005100031200301282101162.html

 

2015. 4. 1

외부서 조종하는 '캡슐형 내시경' 본격 상용화 / YTN 사이언스

https://youtu.be/TVgs9MG4aFU




2010

한국 시간 기준, 이 날 애플에서 아이패드를 공개하였다.-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10-1-28

애플 태블릿 PC ‘아이패드’ 공개

http://www.hani.co.kr/arti/economy/it/401510.html


아이패드 미니4 ‘iOS9과 찰떡궁합’

https://youtu.be/uWinuhihCwg




2014

미국 조지아 주 상원에서 

한반도 동쪽 바다 동해 표기법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14-1-29일자

미 조지아주 상원, ‘동해 명기’ 결의안 만장일치 통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21946.html


2014. 1. 29

미 조지아주 상원, '동해 병기' 결의안 통과 / YTN

https://youtu.be/hPMt83Qf7Us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25.1.28 "이완용 후작 암살 미수범 이재명"의 유족으로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5012800209202005&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1.1.28 (27일 밤9시 사건) 김대중 후보집에서 사제폭발물 터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1-01-28&officeId=00020&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1.28 정호용-허삼수-허화평의원 "내란혐의" 영장 방침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1-28&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7.1.28 한보사태 국조권 발동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7-01-28&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9.1.28 울진1호기 증기발생기 비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9-01-28&officeId=00028&pageNo=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