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임라인 한국사앱과 위키백과 출생란에는
"1888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지청천."이라고 나와 있지만
1888년 2월 15일생 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C%B2%AD%EC%B2%9C
<네이버캐스트> 백산(白山) 지청천(池靑天, 1888. 2. 15∼1957. 1. 15)장군은
독립된 조국의 품에서 눈을 감기까지 평생을 조국광복의 일념으로 생활한 참 군인이었다.
또한 광복된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정신까지도 이미 염두에 둔
문무겸전(文武兼全)의 화랑도이기도 하였다.
장군은 1888년 2월 15일 서울 삼청동에서 태어나
5살에 아버지를 여의어 홀어머니를 모시고 자랐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3640
1736
수학자/천문학자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6509&cid=40942&categoryId=34344
1759
시인 로버트 번스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0685&cid=40942&categoryId=34424
1870
1874
극작가 윌리엄 서머싯 몸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309&cid=40942&categoryId=34424
강신주의 감정수업8, '잔혹함, 욕망
1882
작가 버지니아 울프 출생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5&contents_id=255
강신주의 감정수업9 '동경, 멸시'
1886
한성주보 발간 - 국어국문학자료사전/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4768&cid=41708&categoryId=41711
1886
지휘자/작곡가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출생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8883&cid=40942&categoryId=34378
Schumann - Symphony No 1 in B flat major "Spring" Op. 38
- VPO, Furtwangler, 1951 (Remastered 2012)
1890
미국광산노동자연합 설립되다.-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Mine_Workers
<미국사 다이제스트 100/네이버 지식백과>
노동자연맹이 노동조합 딱지를 부착하지 않은 상품에 대한 불매 운동을 벌이자
시민들이 대체로 수긍하고 협조하게 될 만큼
미국노동자연맹은 사회에 굳건히 뿌리를 내리는 데 성공했다.
1890년 19만 명에 불과했던 회원 수가 1901년 100만 명, 1914년에는 200만 명을 넘어섰다.
[네이버 지식백과] 미국의 노동자여, 협상하라 - 노동자 기사단과 미국노동자연맹의 탄생(1886년)
(미국사 다이제스트 100, 2012. 10. 22., 가람기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694&cid=43055&categoryId=43055
<미국의 역사/노동자들의 투쟁/네이버 지식백과>
가장 전투적인 노동조합은 ‘국제산업노동자조합’이었다.
서부의 광산 노동자들이 노동 조건 개선을 위해 조직한 여러 노동조합이 연합해서 만든 이 조직은
1903년 콜로라도 광산 분규 및 해산 과정에서 폭로된 회사 측의 잔인한 행위로 유명세를 탔다.
이 조직은 공개적으로 계급 투쟁을 주장했으며, 1912년 매사추세츠의 로렌스에서 힘든 파업 투쟁을
승리로 이끌면서 수많은 지지자를 확보했다. 하지만 1917년 1차대전 중에 작업정지 투쟁을 벌임으로써
정부의 강력한 제재를 받았고, 결국 이 충격을 이겨내지 못하고 붕괴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노동자들의 투쟁 (미국의 역사, 2004., 미국 국무부 | 주한 미국대사관 공보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14058&cid=43938&categoryId=43951
1891
빈센트 반 고흐 동생, 테오 반 고흐 사망 - 위키백과
1903
독립운동가 박열의 아내, 가네코 후미코 출생 - 위키백과
독립운동가 박열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9&contents_id=4754
경상별곡 E40 문경편 조선을 사랑한 아나키스트,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
2015-10-8 [안동MBC] 오래된 약속 43편 조선을 사랑한 불령선인 독립운동가 박열
1913
1917
1929
독립운동가 이의준 사망 - 두산백과(1893 ~ 1929.1.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8235&cid=40942&categoryId=33384
이의준 - 다음백과(1893(고종 30), 평북 위원 ~ 1929.1.25)
일명 병준(秉俊)·한권웅(韓權雄).
1922년 8월 김창균(金昌均)과 같이 만주에 건너가 참의부에 가입했다.
김창균 등과 함께 평안북도 강계에 출동하여 군자금을 모집했으며,
1923년에는 청풍주재소를 습격하여 일본경찰 1명을 사살하고 건물을 불태웠다.
같은 해 4월에는 우체부를 습격하여 현금 1,500원을 빼앗고 우편물을 소각했으며
신의주와 강계 사이의 전선을 절단하여 일본경찰들의 통신을 차단했다.
6월에는 백운기·김석홍(金錫弘)·박제환(朴濟煥)·이선택(李善澤) 등과 같이
강계 방면에 출동하여 어뢰면주재소를 습격하여 일본경찰 2명을 사살했다.
8월에는 강계경찰서 청풍출장소를 습격하여 일본경찰 1명을 사살하고 건물을 방화했다.
1924년 5월 한만국경 지대를 순찰하기 위해 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가 온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이춘화(李春和)·김창균 등 10여 명의 대원들과 함께 평안북도 강계군 고산면 마사탄 강변에 매복하여
중강진에서 배편으로 오는 사이토 일행을 기다렸다.
5월 19일 사이토 일행이 탄 배를 발견하고 사격을 가했으나
기관조수 1명을 부상시키는 데 그쳤다.
같은 해 7월 김창균과 같이 친일주구 한일룡(韓一龍)과 장갈성(張渴成)을 처형했으며
1925년 강계에 출동하여 강계경찰대와 교전했다.
1926년말 만주에서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1928년 4월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2월 9일 평양복심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되어, 이듬해 순국했다. 1968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8a0215a
<위키백과>
대한민국임시정부육군주만참의부(大韓民國臨時政府陸軍駐滿參議府)는
1923년에 만주에서 결성된 무장 독립운동 단체이다.
육군주만참의부(陸軍駐滿參議府)라고도 하며, 흔히 참의부(參議府)로 지칭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B0%B8%EC%9D%98%EB%B6%80
서울신문/설민석 선생님
‘암살’로 보는 대한민국 독립운동사, 스페셜 영상 공개
1973
전남 진도군 지산면 세포리 앞바다에서
목포발 조도행 68.8톤급 여객선 한성호가 침몰, 13명이 사망하고 48명이 실종되다 -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73.1.26일자 진도 앞바다서 여객선 침몰 사망 실종 61명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73-01-26&officeId=00020&pageNo=1
국민TV
[프레지PT] 참사의 대물림…1973년 한성호, 세월호와 판박이(2014.08.28)
1989
헌법재판소 첫 위헌 결정 - 타임라인 한국사앱(국가보안법)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1.26일자 국가보안법 위헌 인정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9-01-26&officeId=00028&pageNo=1
이제는 말할 수 있다 044회 국가 보안법 1부. 반공의 총과 칼
이제는 말할 수 있다 045회 국가 보안법 2부.자유 민주주의를 위하여
1991
평화방송 노동조합의 파업 농성장에
공권력이 투입돼 농성중인 조합원을 연행했다.- 위키백과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1.1.26일자 평화방송 3명 구속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1-01-26&officeId=00028&pageNo=1
2003
한국에서 1·25 인터넷 대란이 일어나다. - 위키백과
한겨레신문 2003-1-25
전국 인터넷 마비 사태…KT 등 통신 접속 불능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10000000/2003/01/010000000200301251528001.html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40.1.25 반공친일을 원칙으로 중앙정부수립에 매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0012500209101001&officeId=00020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47.1.25 곡해,오견은 유감 - 하지중장/반탁에 관하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7012500329201001&officeId=00032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89.1.25 5공핵심 6명 사법처리 요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9-01-25&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4.1.25 차명거래에 구멍 뚫린 실명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4-01-25&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6.1.25 "일 2백해리 한국통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6-01-25&officeId=00028&pageNo=1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 한겨레신문 1998.1.25 한일어업협정 파기 결정 철회요구 시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8-01-25&officeId=00028&pageNo=1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7] 1987 김재준 목사 사망 2005 국제 홀로코스트 희생자 추모의 날 (0) | 2016.01.27 |
---|---|
[1.26] 1949 독립운동가 홍병기 사망 1963 독립운동가 연병호 사망 2011 독립운동가 안춘생 사망 (0) | 2016.01.26 |
[1.24] 1930 독립운동가 김좌진 장군 피살 1932 독립운동가 이장녕 사망 1932 재야운동가 백기완 출생 1953 더민주당 대표 문재인 출생 (0) | 2016.01.24 |
[1.23] 독립운동가 최용신 사망 (0) | 2016.01.23 |
[1.22] 1923 독립운동가 김상옥 자결 1926 독립운동가 노백린 사망 (0) | 2016.01.22 |
댓글